예술가들은 다양한 외적·내적 정보와 상호작용하며 작품을 창작한다. 창작과정 내에는 정보탐색행위가 내포되어 있으며, 예술가들은 다양한 정보요구를 가지고 있다. 예술분야 중 시각예... 예술가들은 다양한 외적·내적 정보와 상호작용하며 작품을 창작한다. 창작과정 내에는 정보탐색행위가 내포되어 있으며, 예술가들은 다양한 정보요구를 가지고 있다. 예술분야 중 시각예술은 예술가의 개인성과 자율성이 두드러지는 분야임에도, 국외의 예술가의 정보 요구에 관한 연구에서 공통적인 특징이 조사되었다. 그러나 국내 예술가의 정보요구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다른 분야에 비하여 부족한 상황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예술가들이 작품창작과정 내에 어떠한 정보요구를 가지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창작과정의 맥락을 통해 정보요구를 이해해야할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창작단계별 정보요구와 선호정보원, 정보탐색, 도서관 이용현황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또한 시각예술가 중에서도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하여, 기존 연구를 보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정보요구의 개념과 예술가를 대상으로 한 정보탐색행위연구를 파악하였다. 또한 창작 단계 모형 및 창작관련연구를 살펴봄으로서 전반적인 연구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둘째, 국내 16개 시각예술 창작스튜디오를 이용한 신진시각예술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온라인과 직접 방문을 통해 2016년 10월 17일부터 2016년 11월 25일 40일간 1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중 직접 방문으로 설문을 수집한 경우 12명을 대상으로 추가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69부(42.6%)의 유효한 설문지를 회수할 수 있었다. 셋째, 조사결과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신진시각예술가의 정보요구 및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기존 연구와 이를 비교하였다. 창작단계별 주요한 정보요구와 정보원을 밝히고, 도서관 이용특성을 바탕으로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창작과정동안 신진시각예술가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요구는 '예술과 관련한 전문 지식'과 '전시·공모전·작품판매·레지던시 등 경력'에 관한 정보였다. 창작과정 전반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원의 형태는 인쇄자료였으며, 특히 '예술분야의 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창작과정동안 예술가의 내부정보원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창작단계별로 나타나는 정보요구와 선호정보원은 다음과 같다. 작품구상단계는 예술작품이 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발견하는 단계를 가리키며, 이때에는 '영감을 위한 정보'와 '예술과 관련한 전문 지식'과 관련한 정보요구가 나타났다. 인쇄자료와 인터넷 형태의 정보원이 주로 이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이디어 개발단계는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확장시키는 단계를 말했다. 이 단계에서는 '재료·매체·기법·기술 관련 정보'와 '구체적인 이미지 정보'에 대한 요구가 조사되었으며, 예술작품과 같은 이미지 정보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작단계는 물리적으로 작품의 창작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며, '재료·매체·기법·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요구가 나타났다. '예술가 동료'가 주요정보원인 것으로 응답되었다. 창작완료단계의 경우 완성한 작품을 외부에 공개하는 단계로, 여기서는 '전시·경력을 위한 정보'와 '작품의 비평·피드백'에 대한 정보요구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예술분야의 전문가'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정보탐색 시 브라우징보다 구체적으로 필요한 자료를 찾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선택의 기준은 내용적 적합성과 출처의 권위, 신속성이었다. 응답자들은 정보탐색 시, 특정 주된 관심사에 관한 학제적이고 망라적인 정보를 필요로 하였다. 넷째, 정보를 입수하는 데 가장 어려움을 겪는 단계는 작품구상단계, 아이디어개발단계, 창작단계, 창작완료단계 순이었다. 그동안 이용하고 싶지만 이용하기 어려운 정보원은 예술과 관련한 학회나 세미나, 학원이나 학교 등의 교육기관의 강의로 나타났다. 신진시각예술가들은 필요한 정보원을 이용하기 어려운 이유로 정보가 어디에 있는지 잘 모르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도서관은 주로 예술관련 도서를 이용하기 위해 방문 하지만, 자주 이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서의 도움을 받기보다 스스로 필요한 자료를 찾는 경향을 보였다. 신진시각예술가들은 도서관에서 최신의 예술관련 자료를 확충 하고, 전자 도서관의 전자 자료를 개선시키기를 원하였다. 미술관처럼 기획력을 갖추고 특수한 컬렉션을 구축할 것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신진시각예술가들은 다양한 정보요구를 가지고 있었으며, 창작단계에 따라 정보요구 또한 변화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은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예술가의 특징을 가지면서도, 신진예술가로서의 특성 또한 나타내고 있었다. 이에 예술가를 비롯한 문화예술분야 이용자들을 위한 정보서비스 및 예술분야 자료 확충, 이용자 교육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예술가의 정보요구를 조사함으로써 예술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정보서비스를 확충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됨으로서, 예술분야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정보서비스가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