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구 분석을 통한 직업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for occupational purposes. It aims to aid learners to come into social relations with korean people, in addition to improving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korean social culture busin...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for occupational purposes. It aims to aid learners to come into social relations with korean people, in addition to improving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korean social culture business cultures. With the aim of this study being to develop korean curricula for occupational purposes through needs analysis of foreign workers(korean learners), korean colleagues at work, and korean teachers, the ultimate goals are to build improved intellectual,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 infrastructure through an improved learning infrastructure.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and needs in this study are presented, and previous literatures on Korean for specific purposes which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Korean for academic purpose and Korean for occupational purposes are reviewed.
In the second chapter, the background on how language education for specific purposes has been generated is addressed and its subordinate concept, Korean education for occupational purposes, is defined in order to clarify and set the range of this study. Also, basic principles to construct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 material for occupational purposes are considered with firstly, Learner-Centered Instruction being adopted for designing korean language program for specific purposes. Secondly, Communicative approach being applied for teaching methods. Thirdly, notional?functional syllabus is discussed so as to select course contents. A notional?functional syllabus expands the learner's competence, so that korean learners for occupational purposes are able to better express themselves, to understand what korean people say, and to improve job performance at work through improved korean communication .
In the third chapter, the needs analysis for developing korean curriculum for occupational purposes is carried out. It primarily presents the target, procedures and measures of survey research. And methodology for the study is presented and in accordance with it, the needs survey is conducted. After the survey, all the need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objective needs, the subjective needs and the contents needs. Also, communicative situations at work and the functional needs which foreign workers want to achieve in their work environment are covered from the learners point of view.
In the fourth chapter, with the results of the needs analysis, educational aims and purposes are established, then ultimately the development of a korean course is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needs analysis, the learner centered language contents are selected, after all practical notional?functional syllabus are designed and suggested.
Finally, the concluding chapter provides a synthetic summar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curriculum for occupational purposes. After considering all the restrictions and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will be presented alongside with some suggestions.

본 논문은 요구분석통한 직업 목적한국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이다. 직업 목적한국교육과정은 외국인들이 한국어 의사소통을 통해 한국인과의 사회적 유대관계를 형성하...

본 논문은 요구분석통한 직업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이다. 직업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은 외국인들이 한국어 의사소통을 통해 한국인과의 사회적 유대관계를 형성하게 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한국인과 한국 문화 혹은 한국 기업 문화의 이해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내외 우수한 외국 인력들을 한국 사회 안으로 수용함으로써 지적·경제적·문화적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한국인 동료 직원,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한 요구조사를 통해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을 모색해 봄에 있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특정 목적 한국어 교육의 선행 연구들을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으로 분류하여 검토한다.
2장에서는 논의의 방향과 범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특정 목적 언어가 나타나게 된 배경들을 살피고 특정 목적 한국어 교육의 발생과 이의 하위범주로서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의 개념을 정의한다. 그리고 직업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연구에 이론적 기초가 되는 구성 원리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우선 과정 설계를 위한 원리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선정한다. 교수 방법을 위한 원리로는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법을 적용한다. 그리고 내용 선정을 위한 원리로 개념·기능 중심 교수요목에 대해 논의하기로 한다. 개념·기능 중심은 직업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로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거나 대화 상대의 표현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한국어 의사소통을 통해 직장에서 자신이 맡은 역할이나 행동을 잘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는 차원까지 확대한다는 의미이다.
3장에서는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요구분석을 실시한다. 먼저 본 연구의 대상과 범위를 정하고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을 제시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방법에 따라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요구조사를 실시하도록 한다. 이 후에 조사 대상자들의 요구조사 결과를 과정에 대한 객관적 요구, 주관적 요구, 내용 요구로 분류해 정리하고 한국어 학습자들의 입장에서 직장에서의 의사소통적 상황과 한국어로 직장 내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기능적 요구들을 파악하기로 한다.
4장에서는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동료 직원들의 요구분석과 교사들의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의 목표와 목적을 설정하고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제시하도록 한다. 앞서 실시한 요구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내용을 선정하여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실제 개념·기능 중심의 교수요목을 설계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연구를 종합적으로 제시하며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하겠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