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fluence of institutional environment that is surrounding the establishment of a school organization that operates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and the aspects of confrontation within the fr... The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fluence of institutional environment that is surrounding the establishment of a school organization that operates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and the aspects of confront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micro-neoinstitutionalism. This was prompted to explore a practical change in the school curriculum, in which school organizations are asked to conduct a welfare functions as well as educational functions. These practical changes are conducted by the interactions of institution and performance in the field of a school organization, and for deep analysis, this study has been discussed by selecting a specific case. This study is setting up research issues such as : First, what is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chool organization and how do that affect the school organization? Second, how does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chool organization respond to the influence of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chool organization was divided into formal and informal environments, and the result was discussed by the effects of the consequences. The effects of formal institutional environments are five. First of all, the impact of the “budget split” phenomenon has led to a reduction in efficiency. Second, the task allcation method has disrupt the ‘teaching and learning’ that is a core technology of school organizations. Third, the education welfare community was symbolized according to the normative pressure of the professionalism. Fourth, the ‘teacher circulation system’ has impeded the smooth institutionalization in the school organization. Fifth, the operational model centered on the ‘lack perspective’ revealed the fundamental limits of dispensational services. And the effects of informal institutional environments are three. First, the school culture center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ed as a intangible protective barrier surrounding the school organization to a connection between welfare and education functions. Second, the effect of the uncooperative domestic environment has been shown to hinder the revitalization of the project’s operations. Third, the positive attitude and open notion of the school superintendent to Educational welfare have become a source of momentum to the project. And the following illustrates the analysis of the aspects of confrontation responding to institutional influences as a Oliver’s theoretical model. Concerning to the formal institutional effects, the school adopted a variety of strategies such as Bargain, Buffer, Conceal, Comply, Challenge. And concerning to the informal institutional effects, the school adopted a strategies such as Pacify, Challenge, Comply. Such research results are discussed in a view that the school organization can’t simply bring about one form on the institutional impacts, but it can deal with in a more aggressive manner. And these strategies are conducted by the “Power” that is establishing and changing the institution, and it emphasizes on the understanding the interests and political implications surrounding educational financial program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have been proposed. First, it is necessary to mitigate institutional regulations to encourage an autonomous and systematic reform in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school organizations. Secondly, the support system for out of school surrounding students needs to be faithfully fulfilled. Third, the project needs to be diversified to provide welfare connection programs for teacher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leadership skills for organizing and programming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Fifth, the authorities, the schools and the people in school are required to establish a practical perspective on education welfare. Keyword : Institutional environment, Neoinstitutionalism,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School organization
본 연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조직이 그를 둘러싸고 있는 제도적 환경의 영향에 대해 미시신제도주의적 관점에서 어떠한 대응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 탐구한 질적 ... 본 연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조직이 그를 둘러싸고 있는 제도적 환경의 영향에 대해 미시신제도주의적 관점에서 어떠한 대응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 탐구한 질적 연구이다. 이는 학교조직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으로부터 기존의 교육적 기능에서 나아가 복지적 기능을 수행하기를 요청받고 있다는 점에서, 학교 교육과정 상에 실제적인 변화가 나타나는지 탐구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이러한 실천적 변화는 학교조직의 장(Field)에서 제도와 행위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뤄지는데, 심층적 분석을 위해서 본 연구는 특정 사례를 선택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있다. 첫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학교조직을 둘러싼 제도적 환경은 무엇이고, 학교조직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둘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학교조직은 제도적 환경의 영향에 어떤 방식으로 대응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A 초등학교를 연구대상 학교로 선정하였다. A 초등학교가 소속된 △△구교육지원청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연구자료, 정책보고서, A 초등학교 연간 교육과정 운영계획표 등의 문헌 자료를 분석하는 한편, A 초등학교 관리자와 사업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개방코딩 과정 후 분석 매트릭스를 통한 심층코딩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우선 교육복지우선지원 학교조직을 둘러싸고 있는 제도적 환경을 공식적 제도적 환경과 비공식적 제도적 환경으로 나누어, 그 영향으로 인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공식적 제도적 환경의 영향은 다섯 가지이다. 첫째, 교육지원청 운영 지침의 영향으로 ‘예산 쪼개기’ 현상이 일어나 효율성이 약화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둘째, 교사 1인 1업무 배정방식으로 인해 학교조직의 핵심기술인 교수-학습을 방해받는 양상이 나타났다. 셋째, 전문적인 교육복지공동체 형성에 대한 규범적 압력에 따라 교육복지공동체는 상징화되었다. 넷째, 교원순환근무제가 학교조직 내 사업의 원활한 제도화를 방해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다섯째, 결핍 관점을 중심으로 하는 운영모델로 인해, 수혜형 사업의 근본적 한계가 드러났다. 한편 비공식적 제도적 환경의 영향은 세 가지이다. 첫째, 교수-학습 중심의 학교조직 문화가 학교조직을 둘러싼 무형의 보호막으로 작용하여 복지적 기능과의 연계를 막고 있었다. 둘째, 비협조적인 가정환경의 영향이 사업 운영의 활성화를 방해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나타났다. 셋째, 교육복지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태도 및 관념이 개방적이고 긍정적이기 때문에 사업 추진력의 원천이 되었다. 위와 같은 제도적 영향에 의해 학교조직은 디커플링 전략을 활용하여 대응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Oliver(1991)의 전략적 대응 방법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더욱 다양한 대응 양상을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공식적 제도적 영향에 대해 학교조직은 거래(Bargain), 완충(Buffer), 숨김(Conceal), 순응(Comply), 도전(Challenge) 등 다양한 대응 전략을 활용하였다. 또한 비공식적 제도적 영향에 대해 완화(Pacify), 도전(Challenge), 순응(Comply) 등의 대응 전략을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학교조직이 제도적 영향에 대해 단순히 하나의 형태로 귀결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변화 기제를 가지고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논의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대응 전략은 제도를 형성하고 변화하게 하는 ‘힘’에 의한 것으로, 재정지원사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와 정치적 작용에 대한 이해가 조직 연구에서 더욱 강조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교육복지우선지원 학교조직에서 학교교육의 자율적인 혁신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제도적 규제를 완화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학생을 둘러싼 학교 밖 지원체계가 충실히 마련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이 대상을 보다 다양화하여 교사를 대상으로 한 복지 연계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복우 사업을 총괄하고 기획하는 리더들의 리더십 역량을 키울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육복지의 실천적 관점을 확립하기 위한 민·관·학의 공동노력이 요구된다. 주제어 : 제도적 환경, 신제도주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학교조직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