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e and more marriage immigrants have been coming to South Korea and adapted to new culture. In this process they could be affected by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new culture, a difficulty of communication, a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 More and more marriage immigrants have been coming to South Korea and adapted to new culture. In this process they could be affected by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new culture, a difficulty of communication, a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m.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on life satisfaction of marriage immigrants. There have been lots of factors influencing on a life satisfaction of marriage immigrants. And the present study would concentrate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spouses,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of marriage immigrants. Even though there have been many existing studies about multiculture, they have several limitations. For example, some of them have been short of representativeness of samples, and have excluded marriage immigrants male and naturalized citizens from analysis, and haven’t analyzed the overall interrelation of various factors influencing on life satisfaction of marriage immigrants. For these reasons the present study tried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tudies. This study used the 2012 nationwide Multicultural Family Survey’s data. After merging household data, marriage immigrants⋅naturalized citizen data, and spouses data, the present study extracted 8,503 samples which include all the variables that this study would like to use, and then executed corelation analysis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executed Sobel Test in order to exa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of marriage immigrants.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whe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spouses were high, life satisfactions of marriage immigrants were high. Next,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marriage immigrants showed a mediating effect between a multicutural acceptability of spouses and a life satisfaction of marriage immigrants. And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of marriage immigrants showed a mediating effect between a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spouses and a life satisfaction of marriage immigrants as well.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present study explored a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detail, which is based on a multiculturalism model. And this study showed that a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a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a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a life satisfaction. Also the present study analyzed not only marriage immigrants female but also male, naturalized citizens as well, and enhanced reliability of analysis by using a nationwide panel data. As a result,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multicultural family programs so that they can reduce a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marriage immigrants and enhance life satisfaction of them. Furthermore it will be necessary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to understand multiculture in order to enhance life satisfaction of marriage immigrants. And there will be a need to organize environments where marriage immigrants can participate in local communities on their own. Lastly, given that more and more marriage immigrants have settled in city areas and the number of marriage immigrants male has increased, multicultural family programs to them need to be developed.
결혼이민자가 한국 사회에 점점 많아지면서 이들은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 의사소통의 문제, 외국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 등... 결혼이민자가 한국 사회에 점점 많아지면서 이들은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 의사소통의 문제, 외국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 등이 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본 연구는 배우자의 다문화수용성, 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만족도와 결혼이민자의 지역사회참여에 주목하였다. 이에 관하여 다양한 선행연구들이 있으나 이들은 대체로 표본의 대표성이 부족하고, 결혼이민남성과 귀화자를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으며,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의 전체적인 관계를 분석하지 않았다는 점 등에서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가구조사데이터와 결혼이민자⋅귀화자 등의 조사데이터, 그리고 배우자의 조사데이터를 합친 후,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변수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사례로 8,503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배우자의 다문화수용성, 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만족도, 결혼이민자의 지역사회참여,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 간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의 다문화존중과 다언어존중이 높을수록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우자의 다문화존중과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만족도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우자의 다언어존중과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만족도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우자의 다문화존중 및 다언어존중과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결혼이민자의 지역사회참여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연구는 다문화주의 모델을 근거로 다문화수용성을 자세히 설명하였고, 배우자의 다문화수용성이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만족도와 지역사회참여가 매개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으며, 결혼이주 ‘여성’과 ‘남성’, 그리고 귀화자까지 모두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전국 단위의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의 신뢰성을 높였다. 따라서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을 줄이고 다문화수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문화가족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고 이를 배우자에게 교육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족 구성원들의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육이 필요하고, 지역사회 주민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어야 하며 지역사회 내의 자원을 통합하여 결혼이민자 스스로 지역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점차 도시지역에 정착하는 결혼이민자가 늘고 있고 결혼이민자 중에 남성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할 때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가족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