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적 접근을 통한 대중문화의 프레임, 콘텐츠, 해석 및 담론 연구 : 아이유 Zeze의 원작 변용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은 대중문화 텍스트의 형식, 내용, 해석 및 담론에 대한 미학적 접근을 대중문화의 미적 가치와 감성적 작용에 대한 논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중문화에 대...

본 논문은 대중문화 텍스트의 형식, 내용, 해석 및 담론에 대한 미학적 접근을 한 대중문화의 미적 가치와 감성적 작용에 대한 논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중문화에 대한 질적 논의는 대중문화 소비의 근본적 이유, 즉 즐거움, 아름다움 혹은 감동이라는 가치에 대한 주목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이 이성보다 감성을 통해 인식되는 가치임에도 불구하고, 대중문화의 감성적 인식 작용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미학적 접근을 통한 대중문화에 대한 감성적 인식의 논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대중문화 생산에서의 원작 변용의 문제를 미학적으로 접근해보았다. 원작의 재구성은 새로운 창작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큰 어려운 과제일 수 있다. 성공적인 원작 변용을 위해서는 원작의 재구성 과정에서 발생한 형식적⋅내용적 변화와 그것이 실제 수용자들에게 작용하는 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원작 변용의 사례로 아이유의 노래 <Zeze>를 선정했고 그것의 텍스트와 이를 둘러싼 수용자 담론에 대한 미학적 접근을 시도했다. 구체적으로는 텍스트의 미학적 형식 및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기호학적 분석, 해당 곡을 둘러싼 해석 차이의 발생 원인을 발견하기 위한 SNS 비평 담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Zeze>를 둘러싼 창작자-텍스트-수용자의 감성적 인식 작용을 파악하기 위한 홀(S. Hall)의 ‘부호화-해독’ 모델과 에코(U. Eco)의 예술 소통 이론을 적용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래 <Zeze>에 관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노래 <Zeze>는 원작의 구성 요소, 즉 캐릭터 성격, 관계 설정, 중심 내용 등을 새롭게 재구성하여 원작과는 다른 텍스트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와 같은 미학적 재구성(Aesthetic Reconstruction)을 통해 노래 <Zeze>는 원작과 다른 새로운 담론을 형성할 수 있었다. 둘째, 아이유 <Zeze>를 둘러싼 SNS 비평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해 <Zeze>를 둘러싸고 담론적, 사회적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파악했다. 노래에 대한 해석의 충돌은 가사 속 원작 파괴와 사회적 금기 위반의 요소에 대한 관점의 차이에 기반한 것이었다. 셋째, 본 연구는 홀의 ‘부호화-해독’ 모델과 에코의 예술적 소통 이론을 활용하여 노래 <Zeze>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창작자-텍스트-수용자 간 의미작용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해당 곡이 사회적 논쟁을 일으킨 근본적인 이유는 원작의 아우라와 사회적 금기에 대한 창작 과정에서의 부호화와 수용 과정에서의 해독이 서로 충돌했고, 이로 인해 작품에 대한 사회적 동의, 즉 소통을 이루지 못한 것에서 기인했다. 본 연구는 대중문화 비평에서의 질적 논의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대중문화 텍스트 및 해석, 담론에 대한 미학적 접근을 시도했다. 이는 기존의 대중문화에 대한 논의에서 간과되었던 대중문화의 본질, 즉 본연의 미적 가치에 주목하고자 함이었다. 본 연구는 창작 단계에서 감성적 가치가 텍스트의 미학적 요소로 부호화되는 과정과, 동일한 미학적 요소들이 수용 단계에서 감성적 가치로 해독되는 과정에서이루어지는 의미작용을 비교 분석했다. 이를 통해 대중문화의 질적 논의를 위한 대안으로서의 미학적 접근을 살펴보았으며, 실제 적용 가능성의 하나로서 창작자와 수용자를 연결시키는 커뮤니케이션 관계에 연구의 필요성을 제고하는 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discussing the aesthetic value and emotional action of popular culture through the aesthetic approach to the form, content, interpretation and discourse of popular culture texts. The qualitat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discussing the aesthetic value and emotional action of popular culture through the aesthetic approach to the form, content, interpretation and discourse of popular culture texts. The qualitative discussion of pop culture should begin with a focus on the fundamental reason for popular culture consumption, that is the value of joy, beauty or touch. However, most of these are values ​​that are perceived through emotion rather than reason, and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on emotional perception of popular culture.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discussing emotional perception of popular culture through aesthetic approach. This study has aesthetic approach to the problem of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work in today's popular culture. Reconstructing a complete work can be as much a challenge as new creation or more. In order to successfully transform the original work,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form and contents that occurred in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the original work and how it actually works for the audience. This study selected the song <Zeze> as an example of the original adaptation and attempted aesthetic approach to its text and its audience discourse. Specifically, it utilized semiotics analysis tools for analyzing the aesthetic form and contents of the song,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for analyzing SNS criticism discourse to discover the causes of interpretation difference on the song. It applied the 'encoding-decoding' model of Hall and the art communication theory of Eco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ensibility respon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ext about the song <Zeze>, it was found that the song has a different textual characteristic from the original by reconstructing the original composition. Through such aesthetic reconstruc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song <Zeze> forms a new discourse that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discourse on <Zeze> through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SNS criticism on the song. The clash of interpretations of the song was based on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 on the violation of originality and social taboos. Third, this study examined the semantic interactions between the creator, the text, and the audience based on the ‘encoding-decoding’ model of Hall and the art communication theory of Ec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undamental reason of the social controversy about the song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the original work and the social taboo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meaning in the acceptance process were in conflict with each other, and the social communication of the work was not achieved. This study examined the aesthetic approach to popular culture based on the necessity of qualitative discussion in the popular culture criticism. It was to pay attention to the essence of popular culture, that is, its aesthetic value, which was overlooked in the existing discussion on popular culture.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the emotional value being encoded into the aesthetic element of the text at the production stage, and the semantic action of the same aesthetic element in the process of decoding into the emotional value at the consumption stage. As an alternative to qualitative discussion of popular culture, this study aims to raise the need for interdisciplinary attention to the aesthetic approach to popular culture and the communication relation between producers and audiences.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