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ile public goods in a city play important roll to enhance regional development and quality of people’s lives, it is not just to affect regional changes in a positive way. Current phenomenon to force people out of the mainstream comes to the fore i... While public goods in a city play important roll to enhance regional development and quality of people’s lives, it is not just to affect regional changes in a positive way. Current phenomenon to force people out of the mainstream comes to the fore in society owing to industrialization within a city. The main cause of such phenomenon is a rise of rental fees. Especially, developments caused by the public implants expectation of property prices and accordingly such property prices of the region move up before the business is executed. The study mainly focuses on the sequence of industrialization which cultural values are changed to capital values in Hongik University Area. Development encouraged by public goods in Hongik University area arouses industrialization as it fosters a favorable environment. Due to the fact that, cultural placeness in Hongik University became lost as it kicked out by capitals of cultural producer. The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the regions in the time of before and after and shows that the results of involvement method of public goods show not only positive parts of regional development, but also side effects and accordingly, it draws needs the changes of involvement method of public goods about the region. Hongik University is the representative area as it has been changing into industrialized area and its cultural identity become faint. We understand that users’ experience in Hongik university area were changed to commercial experience as shown before 2008 and in 2015 thru keyword analysis with ‘Hongik University’ in internet portal site. Main change was changed to ‘café’, ’gourmet restaurant’ from the keyword under ‘performance’, ‘music’, and ‘art’. As the increment of ‘café’ and ‘gourmet restaurant’ shown thru keyword analysis was important phenomenon of industrialization in the area of Hongik University, changes of restaurant was analyzed in priority. Quantitative increment of restaurants in the area of Hongik University shows dramatically increasing patterns at the time of intervention rather than progressive changes.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n the placeness thru major events occurring with commercial changes at the time of input of public goods. Thru the results of the study, public goods could represent the influence close to industrialization. The study emphasizes that the inherent placeness of an area should be protected from industrialization in a space and by extension, the nature of public goods should be introduced in regard to public goods thru participation of diversified main agents who produce culture in the area of Hongik University.
도시에서 공공재는 지역의 개발과 사람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중요한 역할로 작용하지만 공공재가 지역의 변화에 긍정적인 요인만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도시에 상업화로 인한 내... 도시에서 공공재는 지역의 개발과 사람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중요한 역할로 작용하지만 공공재가 지역의 변화에 긍정적인 요인만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도시에 상업화로 인한 내몰림 현상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내몰림 현상의 주요 원인은 공간의 임대료 상승이다. 특히 공공에 의한 개발은 주변지역에 대한 부동산 가격 상승의 기대를 심어주게 되어 사업이 실행되기 전부터 지역의 부동산 가격은 상승하게 된다. 본 논문은 홍대지역의 문화적 가치가 자본적 가치로 변질되는 상업화 과정에 주목하고 있다. 홍대지역의 공공재에 의한 개발이 상업적으로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게 되면서 상업화를 유발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홍대지역의 문화적 장소성은 문화생산자들이 자본에 의해 밀려나면서 상실되게 되었다. 공공재의 개입이 이뤄지는 전·후 시점의 지역변화를 분석하여 공공재 개입의 결과가 지역의 발전에 대해 긍정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부작용도 함께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지역에 대한 공공재 개입방식의 변화가 필요함을 말하고자 한다. 홍대는 서울의 대표적 문화지역이라는 장소성이 상업지역으로 변화하면서 장소의 문화적 정체성을 상실하고 있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홍대’ 관련 키워드 분석을 통해 2008년 이전과 2015년에 나타나는 홍대에 대한 이용자의 경험이 문화적 경험에서 상업적 경험으로 변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주요변화 는 ‘공연’, ‘음악’, ‘예술’ 키워드 중심에서 ‘카페’, ‘맛집’으로 변화 된 것이다. 키워드 분석을 통해 나타난 ‘카페’, ‘맛집’의 증가가 홍대 상업화의 중요한 현상으로 보고 음식점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홍대의 음식점의 양적증가는 점진적으로 이뤄지기 보다는 공공재의 개입 시점에 급격하게 증가되는 패턴을 보였다. 패턴이 나타나는 시점을 중심으로 언론 기사를 탐색하여 변화와 관계된 주요 사건을 조사하고 공공재 및 상업시설이 홍대의 장소성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공공재는 상업화와 밀접한 영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었다. 공공재의 개입 시 공간의 상업화로부터 지역 고유의 장소성이 보호될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아가 홍대 문화생산의 다양한 주체들의 참여를 통해 공공재에 대하여 공동재적 성격을 도입 필요함을 말하고자 한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