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업무 스트레스, 회복탄력성과 의사소통능력 간 관계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업무 스트레스, 회복탄력성과 의사소통능력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수술실간호사의 업무만족도를 높이며 수술환자안전문화 조성 및 효율적인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업무 스트레스, 회복탄력성과 의사소통능력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수술실간호사의 업무만족도를 높이며 수술환자안전문화 조성 및 효율적인 인력관리를 통해 간호 조직 및 병원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한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 수술실 6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중 수간호사를 제외한 소독, 부소독 업무를 담당하는 간호사 136명이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6년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였으며, 연구의 도구는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 15문항, 의사소통능력 15문항, 언어폭력 경험 17문항, 업무 스트레스 43문항, 회복탄력성 25문항의 총 11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관련요인 간의 상관계수,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다. 1) 수술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은 평균 평점 5점 만점에 3.46(±0.41)이었다. 언어폭력 경험의 하위 요인 중 의사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은 평균 평점 4점 만점에 2.06(±0.48)점, 간호사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은 1.97(±0.57)점이었다. 업무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의사와의 갈등은 평균 평점 5점 만점에 3.99(±0.6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간호업무 3.84(±0.48)점, 근무표 3.64(±0.68)점, 심리적 부담감 3.58(±0.58)점, 전문지식 및 기술부족 3.56(±0.58)점, 역할갈등 3.53(±0.55)점, 보호자와 환자 3.49(±0.71)점, 대인관계 3.41(±0.64)점, 간호사대우 3.27(±0.89)점 순이었다.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지지는 평균 평점 4점 만점에 2.85±(0.5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지속성 2.57(±0.50)점, 낙관주의 2.37(±.56)점, 강인성 2.29(±0.51)점, 영성2.19(±0.69)점 순이었다. 2) 의사소통능력과 언어폭력 경험, 업무 스트레스, 회복탄력성 간 상관관계를 분석 한 결과 의사소통능력은 언어폭력의 하위요인 중 의사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 간호사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r=-.23∼-.25, p<.01), 업무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간호업무, 전문지식 및 기술부족, 근무표(r=-.19∼-.37, p<.01)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강인성, 지속성, 낙관주의, 지지, 영성(r=.22∼.60, p<.01)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수술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회복탄력성 의 하위요인 중 지속성(β=.41)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지지(β=.26)로 나타났다. 특히 의사소통능력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지속성, 지지는 긍정적으로, 업무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전문지식 및 기술부족(β=-.19), 언어폭력 경험의 하위요인 중 간호사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β=-.16)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요인들은 수술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을 49.0% 설명하였다(F=30.95, 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수술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은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지속성과 지지가 높을수록, 업무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전문지식 및 기술부족과 관련된 업무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그리고 간호사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 정도가 낮을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사소통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으로 수술실 간호사 대상의 많은 교육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러한 교육이 실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교육프로그램 또한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수술간호업무 중 응급상황에 원활하게 대처하고 업무를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성원 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전문화된 업무수행능력 요구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해 최신 의학정보를 지속해서 습득할 수 있는 E-learning 프로그램 개발이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operating room nurses by identifying the association among their verbal violence experience, job stress, and resil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and to provide base for improving perf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operating room nurses by identifying the association among their verbal violence experience, job stress, and resil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and to provide base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nursing and hospital organizations by cultivating surgical patient safety culture and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 participants were 136 scrub and circulating nurses recruited from ones, excluding head nurses, working in operating rooms of six academic and general hospitals located at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st to October 31th, 2016 and the instrument consists of 115 items including 15 items on job related characteristics, 15 items on communication ability, 17 items on verbal violence experience, 43 items on job stress, and 25 items on resili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on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ssociation among related factors, stepwise multi-regression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communication ability score(maximum 5) of operating room nurses was 3.46(±0.41). For the sub-items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 verbal violence experience from physicians and nursers scores(maximum 4) were 2.06(±0.48) and 1.97(±0.57), respectively. For the sub-items of job stress, the highest score(maximum 5) was conflicts with physician (3.99±0.68), and followed by nursing work (3.84±0.48), working schedule (3.64±0.68), mental burden (3.58±0.58),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3.56±0.58), role conflict (3.53±0.55), relationship with care provider (3.49±0.71), personal relation (3.41±0.64), and treatment for nurses (3.27±0.89). For the sub-items of Resilience, the highest score(maximum 4) was support (2.85±0.52), persistence (2.57±0.50), optimism (2.37±.56), rigidity (2.29±0.51), and spirituality (2.19±0.69). 2) The results of analysis of association between verbal violence experience, job stress, and resil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 ability has negative associations with verbal violence experience from physicians and nursers (r=-.23∼-.25, p<.01; sub-items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 and nursing work,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and working schedule (r=-.19∼-.37, p<.01; sub-items of job stress) while positive associations with rigidity, persistence, optimism support, and spirituality ((r=.22∼.60, p<.01; sub-items of resilience). 3) It was found that the strongest influencing factor on communication ability of operating room nurses was persistence (β=.41) and followed by support (β=.26), both sub-items of resilience and that these two sub-item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and the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β=-.19; sub-item of job stress) and verbal violence experience from nurse (β=-.16; sub-item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 have negative influences on communication ability of operating room nurses. These sub-items explained 49.0% of communication ability of operating room nurses. These results, in combination,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operating room nurse increases with increasing of persistence and support sub-items of resilience and with decreasing of stresses related to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sub-item of job stress and level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 from nurses sub-item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 There have been many educational programs for operating room nurses because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ommunication ability, these educations have little influence on practice and quality of the programs are poor. It is suggested, therefore, that the more specific and various program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members should be developed to facilitate proper response to emergency during surgery and rapid and accurate performance.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working-level education program using E-learning should be developed to update health informations for alleviation of stress caused by professional work performance.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