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ly, the aging of Korea has progressed rapidly compared to the OECD member countries, resulting in a change in the quality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at the same time causing various social problems. The so-called nuclear family, which has led... Recently, the aging of Korea has progressed rapidly compared to the OECD member countries, resulting in a change in the quality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at the same time causing various social problems. The so-called nuclear family, which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a declining birth rate, has significantly weakened the ability of the elderly to bear the burden on individuals, and the role of the nation to take charge of elderly has increased. However, the welfare problems of the elderly include not only the biologic aging phenomenon inherent to the elderly but also the loss of role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loss of economic means due to retirement and unemployment, conflicts due to changes in generational values, There is a difficulty in deriving an effective elderly welfare service program. Therefore, in order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hange the policy such as the construction of the elderly welfare service.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welfare needs, satisfaction of welfare needs, and social capital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examined how these factors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Survey method and literature survey were performed in parallel. ANOVA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verify differences and causality between groups . The results showed that welfare needs, welfare needs satisfaction, and social capital variabl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their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as also different from group to group. Especially the indicators related to the economic level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habitants showed a large different influence between groups, and If the elderly are able to live independently, their quality of life is also hig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compatibility of elderly welfare service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in Korea, it should be reflected more actively on the demand of the elderly as policy subjects. In particular, differentiated welfare services should be applied according to population and sociological variables. Second, the level of social capital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pulation and sociological variables of elderly people.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welfare service in terms of economic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for the elderly in the socially marginalized clas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welfare needs, welfare needs satisfaction, and social capital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population and sociological variables of the elderly, and have the meaning of proposing policy alternatives. But also, we have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is study has limitations of object and area.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research to all elderly people in Korea, except for Seoul. Secon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adopted for research and analysis. In order to reflect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re is a limitation that uniform criteria are applied due to the nature of questionnaire. Therefore, in proceeding stud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other indicators in order to understand comprehensively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최근 우리나라 고령화 현상은 OECD 회원국들과 비교해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노인인구의 질적 변화를 초래함과 동시에 여러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노인인구 증가와 더불어 출산율 감... 최근 우리나라 고령화 현상은 OECD 회원국들과 비교해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노인인구의 질적 변화를 초래함과 동시에 여러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노인인구 증가와 더불어 출산율 감소로 이어지고 있는 이른바 핵가족화 현상은 개개인에게 부담되는 노인부양 능력을 크게 약화시켰으며, 이에 국가가 담당해야할 노인부양의 역할이 커지게 되었다. 하지만 노인복지 문제는 근본적으로 노인 고유의 특성인 생물학적 노화현상 뿐만 아니라 산업화‧현대화에 따른 역할 상실, 퇴직과 실업으로 인한 경제수단 상실 및 세대 간 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갈등과 사회적 고립문제 등이 포함되어 효율적인 노인복지서비스 프로그램의 도출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노인들의 다양한 욕구 충족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노인복지서비스의 구축과 같은 질적 차원의 적극적인 정책전환이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복지욕구 중요도, 복지욕구 만족도, 사회 자본을 조사하고, 이 요인들이 노인들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조사 방법은 설문조사 및 문헌조사를 병행하였으며, ANOVA 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집단 간 차이 및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 개인특성에 따라 분류한 집단별로 복지욕구 중요도, 복지욕구 만족도, 사회 자본 변수들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들이 노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 또한 집단별로 다르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경제수준, 동거인 유무와 관련된 지표들에서 집단별 영향력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들이 자립생활이 가능할수록 삶의 질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노인복지서비스의 현실 적합성을 높이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노인복지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정책대상자인 노인들의 수요를 적극 더 반영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집단 간 차별적인 복지서비스가 적용되어야 한다. 둘째, 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사회 자본의 수준 또한 다르게 나타났으며, 궁극적으로 사회적 소외계층에 속한 노인들을 위한 경제적·사회문화적 환경 측면의 복지서비스 확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수에 따라 노인의 삶의 질에 복지욕구 중요도, 복지욕구 만족도, 사회 자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정책적 대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연구의 제한점 또한 갖고 있다. 첫째, 본 연구는 대상 및 지역의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서울이 아닌 우리나라 전체 노인들을 대상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조사 및 분석을 위해 설문지 조사방법을 채택하였는데, 연구대상의 전체적인 특성을 반영하기에는 설문지법의 특성상 일률적인 기준이 적용된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