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전승 자료로 본 한국 업(業) 신앙과 중국 보가선(保家仙) 신앙 비교연구 (2)[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research object of this dissertation is the Korean Eop and Chinese home-guarding fairy belief. Applying the comparative literature approach, this study analyzes the attributes,characteristic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ideology bet...

The research object of this dissertation is the Korean Eop and Chinese home-guarding fairy belief. Applying the comparative literature approach, this study analyzes the attributes,characteristic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ideology between the people in two countries through the folk heritage data. Also this study examines the causes of the constitution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rom multi-angle. Korean Eop and Chinese home-guarding fairy belief have a larger transmission scope, and a great number of stories are related to the oral literature. At the same time, these two beliefs have great similarities, such as they have similar animal creatures' beliefs which all have the ability to bring disaster. Nevertheless, the two beliefs have not been compared at the same level before, and this study will fill the gap in this field of study. For belief could reflects human ideology, we can see the ideology of a nation directly from the folklore materials. The story is often the artistic processing of ideology, which could reflect the ideology of a nation through this kind of word-of-mouth literature story material. The combined study of folklore materials and word-of-mouth story literature materials, which can examine the ideology of human beings, has the distinct superiority compared with the unilateral study materials. I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Korean and Chinese stories, this research method has not yet appeared and this study will be a tentative practice.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folklore, this dissertation uses the method of comparative literature to draw the conclusion of comparative culture. In the data collection process of the story, the field investigation method is used to obtain the valuable first-hand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arrangement, the story narrator's original narrative features are tried to be maintained, which could make it easier to reflec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olk beliefs in Korea and China.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The chapter describes the research focus and reviews the research history; the research methods and chapters contents are also introduced. The second chapter is the investigation into the belief pattern of folklore. Based on the folklore data of Family Faith in Korea and Compilation of Folk Materials in Chinese Local Records,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actual distribution and beliefs of Korean Eop and Chinese Home-guarding Fairy Belief, and then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beliefs in different regions. Pictures are used to understand the two bodies of faith, and the two attributes of faith are analyzed through folklore data. In the process of comparison, we found that both of the beliefs are creatures that have the ability to cause disaster. The most obvious difference is that there are human beings in Korean Eop Belief, and Chinese Home-guarding Fairy Belief has its anthropomorphic characteristics.

연구한국 가신신앙인 업과 중국 민간신앙인 보가선을 대상으로 비교문학의 방법론으로 한·중 민간전승 자료를 통해 신앙의 성격과 특징 등을 분석하고 한중 업 신앙의 공통점과 차이...

연구한국 가신신앙인 업과 중국 민간신앙인 보가선을 대상으로 비교문학의 방법론으로 한·중 민간전승 자료를 통해 신앙의 성격과 특징 등을 분석하고 한중 업 신앙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는 동시에 이런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난 원인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 업 신앙과 중국의 보가선 신앙은 한중 양국에서는 널리 분포되어있을 뿐만 아니라 이런 신앙에 관한 구비설화도 많은 편이다. 이런 두 가지 신앙은 많은 유사점이 있어 비교할 만한 과제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간 이 두 신앙을 같은 측면에 두지 않고 비교연구도 미흡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업 신앙과 보가선 신앙의 비교연구 연구사의 빈 부분을 보충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신앙에 관한 민속학 자료와 설화자료로 사람의 원형적인 생각을 엿볼 수 있다. 신앙은 원형적 생각의 직접적인 표현이고 설화는 이러한 원형들의 예술적 표현이다. 민속학 고사 재료와 구비문학 자료를 포괄하여 연구하는 방법은 구비문학적 연구방법으로서 우월성이 있으며 한중 이야기 비교 연구에서도 아직 시도된 적이 많지 않으므로 본 연구는 이 연구 방법의 첫 시도이다. 본 연구는 비교민속학의 시각에서 출발하며, 비교문학의 방법을 통하여 비교 문화학적 결론을 내리기 위해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현지조사법으로 수집된 중국 이야기를 원래 있는 서사 특색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을 기준으로 번역했기 때문에 비교할 때 한중 양국 신앙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잘 드러낼 수 있다. 제1장에서는 서론 부분이며 연구 대상과 목적, 선행 연구, 연구 방법을 밝히겠다. 제2장에서는 민속학을 바탕으로 신앙의 양상을 정리하고 다종 민속학 자료를 중심으로 업 신앙과 보가선 신앙의 지역적인 특징과 신체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통해 두 신앙의 성격을 분석하고 양 신앙에 있는 유사성 과 차이성을 밝힌다. 다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동물 재물신 신앙이고 가장 뚜렷한 차이성은 업 신앙은 신앙대상에 사람이 포함되고, 보가선 신앙은 동물 자신이 인격화된 신앙이다. 그리고 보가선 신앙은 업 신앙이 없는 인격화와 수련성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제3장에서는 한국 업 신앙을 중심으로 구비설화에 나타난 신앙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먼저 수집된 자료들을 분류한 다음 민속학 자료에 있는 신앙의 성격을 정리하였다. 또한 업 설화의 서사구조와 의미를 밝히고 마지막으로 사람과 업의 소통방식을 통하여 이런 관계 가운데 나타난 관점을 탐색하였다. 신앙적 관점에서 주로 업은 재복과 재앙을 관련이 있고 잘 대접하면 재복을 받고 거부감을 갖으면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 마지막에 업 신앙은 농업사회의 신앙이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사람들은 업을 거부하는 마음이 없어야 발복에 이르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4장에서는 중국 보가선 신앙을 중심으로 구비설화에 나타난 신앙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논의한 과정은 제3장 한국 업과 동일하다. 보가선 신앙도 사람에 대한 경외와 포용이 동시에 드러나고, 인격화와 수련성을 지니고 있다. 수련성과 인격화는 긴밀한 관계가 있고 이 두 성격은 문하전승의 측면에 탐색하였고 이 두 성격은 문화전승에 따라 유전해 오는 것을 밝혔다. 제5장은 업 신앙과 보가선 신앙에 나타난 사람들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비교하고 분석하겠다. 공통점에는 자연 속 미물의 힘에 대한 경외와 포용, 농업 종사자들의 평화주의 의식이다. 반면 차이점은 신앙동물의 편차가 있는데 그 원인으로 한중 양국의 문화 배경을 보기로 한다. 또한 양국 사람간의 세계관 차이도 드러난다. 앞의 관점을 민간전승 자료로 확인하고 다음에 공통점과 차이점을 바탕으로 이런 공통점과 차이점을 형성한 원리를 논의하였다. 업 신앙은 야생동물부터 가축으로 동물부터 사람으로 확산하는 신앙이라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자연적, 종교적, 심리학적 등 다양한 원인을 탐색하였다. 6장에서는 논문을 요약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발전 전망을 제시하였다.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