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과 교사의 유치원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교육과정 리더십과 유치원교육과정 실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과 교사의 유치원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교육과정 리더십과 유치원교육과정 실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상의 연구의 목적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 하며 배경변인(연령, 담당학급, 경력, 학력, 학급규모)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들의 수준은 어떠하며 배경변인(연령, 담당학급, 경력, 학력, 학급규모)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과 교사의 교육과정실행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사립유치원 교사 281명을 표집하여 조사한 설문 자료 가운데 275부를 본 연구의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최윤정(2008)이 제작한 설문지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고, 유치원교육과정 실행을 측정하기 위해 박창현(2012)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0.0 통계프로그램으로 t 검정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e의 사후 검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결과, 전체 평균은 4.15점(SD=.67)으로 높게 나타났고, 하위 요인 교육과정 책무성 및 비전(M=4.21, SD=.66)이 가장 높았다.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 전체 평균에 관한 유치원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에서는 학력(M=4.24, SD=.67)과 학급규모(M=4.28, SD=.61)에 따른 인식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왔다. 학력이 낮을수록 그리고 학급규모가 작을수록 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에 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의 연령, 담당학급, 경력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교사의 교육과정실행의 수준차이 연구 결과, 전체 평균은 4.14점(SD=.52)으로 높게 나타났고, 하위요인 교육계획수립(M=4.21, SD=.60)에 대한 실행 수준이 가장 높았다. 유치원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수준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에서는 연령(M=4.33, SD=.49)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왔다. 담당학급, 경력, 학력, 학급규모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과 교사의 교육과정실행의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 4개 하위요인들과 사립유치원 교사의 유치원교육과정 실행 5개요인들 사이의 상관은 교육과정 전문성 및 지원능력과 교육평가가 상관이 상대적으로 높았고(r=.56, p<.001), 유치원 원장의 교외협력 및 조정 능력과 교사의 교육계획수립 간의 상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r=.38, p<.001).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 요인과 사립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간 상관이 높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관리자를 넘어서는 리더로서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 역량발휘가 유치원의 효과성(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ead person's Curriculum leadership and teacher's perception of execution of the Curriculum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then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 person's Curriculum leadership and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ead person's Curriculum leadership and teacher's perception of execution of the Curriculum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then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 person's Curriculum leadership and teacher's perception of the Curriculum. For this, study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hat is teacher's perception of head person's Curriculum leadership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what difference d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ge, undertaking class, career, academic background and class size) make of?' Second, 'What is teacher's level for the execution of kindergarten Curriculum and what difference d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ge, undertaking class, career, academic background and class size) make of?'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 person's Curriculum leadership and teacher's execution of the Curriculum in private kindergartens?' In order to get answer to above questions, a questionnaire survey of 281 teachers in kindergartens was carried out and the data of 275 respondents were used in study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head person's Curriculum leadership, the author restructured the questionnaire by Choe Yun-jeong (2008). And for the test of the execution of kindergarten Curriculum,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of Park Chang-hyeon (2012).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0.0 program, and such analytic techniques as t-test, one-way ANOVA, Scheffe's post hoc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eacher's perception of head person's Curriculum leadership in private kindergartens, the mean of total was 4.15 (SD=.67) and it was high. And such sub-variables as Curriculum responsibility and vision were most high M=4.21, SD=.66). Regarding teacher's background variable-oriented perceptual difference in the total average of head person's Curriculum leadership in private kindergartens, teacher's perception by academic background (M=4.24, SD=.67) and class size (M=4.28, SD=.6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is lower and class size is smaller, teacher's perception of head person's Curriculum leadership is more positive. However, teacher's age, undertaking class and career presen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regarding teacher's level for the execution of Curriculum, the mean of total was 4.14 (SD=.52) and it was high. The level of execution for the sub-variable of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lan (M=4.21, SD=.60) was most high. Regarding the difference by teacher's level of execution of Curriculum and background variables in private kindergartens, the difference by age (M=4.33, SD=.49)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difference by undertaking class, career, academic background and class size was not significant. Third,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head person's Curriculum leadership and the sub-variables of teacher's execution of the Curriculum in private kindergartens, the relationship with all the variables was positive (/).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4 sub-variables of head person's Curriculum leadership and the 5 sub-variables of teacher's execution of the Curriculum in private kindergartens,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expertise and support ability and educational assessment was relatively high (r=.56, p<.001), whe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 person's external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ability and teacher's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lan was relatively low (r=.38, p<.001). In conclusion, study findings present the fact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head person's Curriculum leadership and teacher's perception of execution of the Curriculum in private kindergartens is high. In this vein, the exertion of head person's Curriculum leadership not only as an administrator of a kindergarten but also as a leader of i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ffectiveness (quality) of the private kindergarten. ,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