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 교육에서 학습 주체자인 학생들의 학교 영어 교사(공교육)와 학원 영어 강사(사교육)에 대한 태도 차이를 비교 분석, 학생들의 요구 사항을 파악하여 학생들이...
본 논문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 교육에서 학습 주체자인 학생들의 학교 영어 교사(공교육)와 학원 영어 강사(사교육)에 대한 태도 차이를 비교 분석, 학생들의 요구 사항을 파악하여 학생들이 기대하는 영어 교사의 전문성과 자질을 알아보는 데 있다. 궁극적으로 중등 영어 교사의 자질 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공교육 영어 교육을 강화하고 사교육 의존도를 낮추는 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 서울과 전주에 거주하는 중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처리는 SPSS for Windows 12.0를 사용하여 빈도 분석 및 t-test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규명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어 교사 자질로 학생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항목은 수업 내용의 전달력이었고,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도가 낮았던 항목은 교과 내용 지식 이었다. 여기서 우리는 학생들이 교사 자질로 교과 내용 지식보다는 수업 운용 기술에 더 큰 중요성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학교 영어 교사와 학원 영어 강사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차이 분석 결과, 다음의 8가지 자질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로 학원 강사에 대한 선호도를 보였다. 문항별 평균값 차이순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시 교사의 영어와 한국어의 사용 비율이었다. 학교 교사가 영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국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반면 학원 강사는 영어와 한국어를 반반 정도 사용했다. 이는 학교 영어 교사의 영어 구사력과 현실적인 수준별 수업의 어려움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둘째, 교사가 학생의 학습 개인차를 이해하는 정도였고, 셋째, 교사 친밀감 문항이었다. 이는 학생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학교의 현실적 제약이 반영된 걸로 분석되며, 이에 반해 학원은 정예화된 학생수로 반 편성되어 강사가 학생들의 학습 개인차와 요구에 대해 좀 더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넷째, 교사가 학생들의 오류를 수정하고 답변을 제공하는 정도, 다섯째는 교사가 학생들에게 수업에 집중하도록 하는 정도였다. 다음으로, 교사 영어 발음과 수업에 대한 열정, 교사의 영어 구사력 순이었다. 교사 자질 개선 뿐만 아니라 학교 수업 환경 개선도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다음은 학교 및 학원 영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영역별 실력 향상 인식 정도와 수업 만족도 결과이다. 학교 영어 수업에서는 문법, 읽기, 듣기 영역의 순으로 실력 향상을 인식하였고 소수의 학생들만 말하기와 쓰기 영역에서의 실력 향상을 응답하였다. 반면 학원 영어 수업에서는 각 영역별로 골고루 실력 향상의 인식 분포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학교 수업 만족도의 평균값은 2.65이고, 학원 수업 만족도의 평균값은 3.21로 학교 수업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이는 앞서 논의된 두 그룹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교사 자질 문항에서 학원 강사에 대한 선호도가 다소 높은 것과 같은 맥락의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중학교 영어 교육 개선에 대한 학생 요구 분석 결과와 교사 자질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영어 수업에 기대하는 점으로 집중이 잘되고 재미있는 수업, 실질적인 수준별 수업, 자세히 설명해서 이해가 잘되는 수업, 교사의 영어 구사력과 발음의 향상, 열정적인 수업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학생들이 학교 영어 교사에게 기대하는 상기 사항들과 학원 강사와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8가지 자질 문항에 대한 개선이 절실히 요구된다. 8가지 자질 문항을 짚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시 교사의 영어 사용 비율을 적절히 높인다.
둘째, 학생 개개인마다의 학습 개인차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셋째, 교사와 학생간의 친밀감을 높인다.
넷째, 교사가 학생들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다섯째, 교사가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하도록 좀 더 수업운용기술을 갖춘다.
여섯째, 교사의 영어 발음을 향상시킨다.
일곱째, 교사의 수업에 대한 열정을 높인다.
여덟째, 교사의 영어 구사력을 높인다.
상기 사항들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교사 자질 개선이 요구되며, 이를 통해 공교육 영어 교육은 강화될 수 있다. 나아가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여 사교육 의존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