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도덕적 상상력에 미치는 영향 : 자아개념과 자기표현 변화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연구자가 사진교육 활동을 해오면서 사진교육을 통한 긍정적 변화들을 체감한 것을 바탕으로 사진을 활용한 교육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시도였다. 또, 사진교육이 더 많은 이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사진교육 활동을 해오면서 사진교육을 통한 긍정적 변화들을 체감한 것을 바탕으로 사진을 활용한 교육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시도였다. 또, 사진교육이 더 많은 이들에게 소개되고 예술을 접목한 교육이 다양한 교육현장에서 적용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연구는 시작되었다. 연구의 목적으로는 ‘사진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도덕적 상상력에 미치영향자아개념자기표현 변화를 중심으로’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하나는 ‘사진교육 프로그램자아개념의 도덕적 상상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이고, 다른 하나는 ’사진교육 프로그램이 자기표현의 도덕적 상상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이다. 본 연구는 2016년 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속의 학교예술강사로 일하면서 3월부터 10월까지 매주 수요일 서울 소재의 K 고등학교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진행한 수업을 바탕으로 했다. 실험에 참여한 인원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15명씩 총30명이 참여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정유경(2008)이 수정·보완한 자아개념 척도와 자기표현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검사결과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했고 결과 값을 대입해 t검증 분석을 기초로 했다. 연구에서 실시한 사진교육 프로그램은 이승자, 허현주(2013)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와 정경열(2009)의 PIE 사진교육방법을 기본 틀로 참조했다. 또, 로웬펠트 & 브리테인의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과 글랜 M. 랜드 & 리차드 D. 자키아의 『사진교육론』을 수업의 기본 지침서로 활용했다. 총 21회의 사진교육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실시하여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나는 사진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자아개념의 도덕적 상상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하나는 사진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자기표현의 도덕적 상상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진교육 프로그램이 자아개념과 자기표현의 도덕적 상상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고, 그 결과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확인했다. 앞으로 진행될 후속연구에서는 소집단을 표본으로 한 반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성별에 따른 분류나 지역에 따른 분류 등 더 세분화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수업장면에서 참여 대상에 대한 적극적인 이해와 연구자의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was aimed at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using photographs, which based on positive changes that the researcher have learned from photo-education programs. Furthermore, the research have begun in mind that photography tr...

This research was aimed at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using photographs, which based on positive changes that the researcher have learned from photo-education programs. Furthermore, the research have begun in mind that photography training is introduced to more people and the educations with the arts are applied to various educational fields. The purpose of research is 'The effects of photo-education program on the characteristics of teenagers' moral imagination centering around the change of self-concept and self-expression'.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The one is 'How does a photo-education program affect the moral imagination of the self-concept?' and the other is 'How does the photo-education program affect the moral imagination of self-expression?'. The research was based on a series of creative activities at K high school in Seoul from March to October every Wednesday, working as a school art lecturer as a member of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The each number of whom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s fifteen and the total is thirty.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elf-concept and self-expression scales modified by Jong Yoo-kyung(2008)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tests us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based on T verification analysis by reflecting result values. In this research, I referred by Lee Seung-ja, Huh Hyun-ju(2013)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and Jong Kyong-ryeul(2009) PIE Photo Training Method as a basic framework of the photo-education program. Also, Lowenfeld & Brittain 『Art Education for Humans』 and Glenn M. Rand & Richard D. Zakia 『Teaching Photography』 have been used as the basic guide for the class. The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of twenty-one programs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re as follows. The one is that the photo-education program was able to confirm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improving the moral imagination of the students' self-concepts. The other is that the photo-education program was able to confirm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improving the moral imagination of the students' self-expressions. This research finds out the effects of photo-education program in the moral imagination of self-concepts and self-expressions. As a result, I identified that there was a positive impact. In future follow-up researches, repetitive studies targeting small groups and more subdivided research including gender classification according to sex or classification according to regions should be conducted. First of all, it will have to be accompanied by an active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nts in the lesson and the efforts of the researcher.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