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 study on the analysis of high school music textbook for the curriculum focusing on the instrumental music. Seoeun, Kim Majo... ABSTRACT A study on the analysis of high school music textbook for the curriculum focusing on the instrumental music. Seoeun, Kim Major in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Advisor: Prof. Hyun, Kyung-shi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will proce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ransition process of instrumental music areas from 17 kinds of high school music textbooks following the curriculum. The features of instrumental music areas from 17 kinds of high school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first curriculum to the revised 2009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the proportion of the instrumental music area, playing the individual instrument, performing ensemble pieces, and performing a solo were analyzed based on this. The result and conclusion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the instrumental music area of 17 kinds of high school music textbooks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2009 curriculum was between 0% and 15%; the entire average was 8.6%. The textbook of the highest ratio was Cheonjae Education Inc. of the 7thcurriculum(15%) and the textbook of the lowest ratio was Art Education Publisher of the 2nd curriculum(0%). It is distinguishing that the ratio of the instrumental music area of the 2nd curriculum Dongseongmunhwa increased from 2.6% to 9.2% in the 3rd curriculum Donga Publisher. Second, the part that was written on more than one third pages of the textbook and that focused on one instrument was named individual instrument.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individual instrument, the western instrument which was suggested the most was the guitar and the Korean instrument was gayageum which was followed by the recorder and short bamboo flute. The kind of instruments became diverse as coming to the revised 2009 curriculum. For example, the recorder was classified into the alto recorder and soprano one, the guitar into the classic one and folk one. Although the kind of instrument did not change a lot, the pages assigned to the individual instrument increased as the curriculum changed and the learning activity became diverse. Third,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number of ensemble, the textbook which was suggested the most was Hwahaksa of the 4th curriculum, which had 8 tunes. The textbooks from the 1st curriculum national music research society and the 2nd curriculum art education publisher did not include the ensemble. The number of ensemble did not change a lot until the revised 2009 curriculum. Fourth, the number of solo in the instrumental music area was surveyed. The number of solos of 2009 revised curriculum textbook by Gyeonggido Education Office was 9; the number of solo was increasing as the curriculum was revised. The tune which was suggested the most in the ensemble was ‘on the dreamy way’ and one in the solo was ‘Arirang’. The diversity of the played tune is necessary for various performance activities and the number of played tunes in the textbook should be more than now.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strumental music area of each curriculum, the instrumental music area did not increase a lot compared to the past. The average ratio of the instrumental music area needs to be expanded more than 10%. It is desirable to suggest the kind of instrument diversely not to be organized in one instrument according to the instrument classification method. The number of ensemble did not change a lot until the revised 2009 curriculum. More ensembles need to be included in the textbook in the future for students to play diversely and choose the tune they want.
논문개요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17종 기악영역 변천과정의 분석을 통해 기악교육의 나아갈 방향 모색하는데 있다. 제 1차 교육과정부터 개정 2009 교육과... 논문개요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17종 기악영역 변천과정의 분석을 통해 기악교육의 나아갈 방향 모색하는데 있다. 제 1차 교육과정부터 개정 2009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17종의 기악영역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악영역의 비율과 개별악기 연주하기, 합주하기, 합주곡과 독주곡의 연주곡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 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17종 음악교과서 기악영역의 비율은 0%∼15% 사이로 전체 평균은 8.6%로 나타났다. 가장 비율이 높은 교과서는 15%의 제 7차 교육과정의 ㈜천재교육이였고, 가장 비율이 낮은 교과서는 0%의 제 2차 교육과정 예술교육출판사이었다. 제 2차 교육과정 동성문화사의 기악영역 비율은 2.6%에서 제 3차 교육과정 동아출판사에서는 기악영역의 비율이 9.2%로 증가한 것이 특징이다. 둘째, 교과서에서 3분의 1 페이지이상 기재되고, 하나의 악기가 중심인 부분을 개별악기라 칭하였다. 개별악기를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이 제시된 서양 악기는 기타였고, 한국 악기는 가야금이었다. 리코더와 단소도 그다음으로 많이 다루고 있었다. 개정 2009교육과정으로 오면서 악기의 종류가 다양해졌다. 예를들면 리코더는 알토와 소프라노 리코더, 기타는 클래식 기타와 포크 기타등으로 분류해 기재되고 있었다. 악기의 종류는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교육과정이 바뀌면서 개별악기에 할당되는 쪽수는 늘어났고, 학습활동도 다양해졌다. 셋째, 합주곡의 수를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이 제시된 교과서는 제 4차 교육과정의 화학사가 8개의 곡으로 가장 많았다. 제 1차 교육과정 국민음악연구회와 제 2차 교육과정 예술교육출판사의 교과서에는 합주곡은 없었다. 합주곡의 수는 개정 2009 교육과정까지 그 수가 크게 변화되지 않았다. 넷째, 기악영역에서의 독주곡의 수를 조사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의 교과서 경기도교육청은 독주곡이 9개로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독주곡의 수가 많아지고 있었다. 합주곡과 독주곡에서 많이 연주되는 곡을 살펴보면, 합주곡에서 가장 많이 제시된 곡은 ‘꿈길에서’이고, 독주곡으로는 ‘아리랑’이다. 다양한 연주활동을 위해서는 연주곡의 다양성도 필요하며 교과서에 연주곡의 수도 지금보다 많아져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별로 기악영역을 살펴본 결과 과거에 비해 기악영역은 크게 늘어나지 않았다. 기악영역의 평균비율이 10%이상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악기의 종류도 악기분류법에 따라 어느 한 악기에 편성되지 않도록 다양하게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합주곡의 수도 개정 2009 교육과정까지 수가 크게 변하지 않았다. 앞으로 교과서에는 더 많은 합주곡을 기재하여 다양하게 연주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선택해서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확대해야 할 것이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