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sees how the level of life environment that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recognize affects maladjustment to the school and tries to find out a plan of intervention for prevention of their maladjustment to the school in terms of social...
This study sees how the level of life environment that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recognize affects maladjustment to the school and tries to find out a plan of intervention for prevention of their maladjustment to the school in terms of social welfare for the school.
A survey was done with the sample of 197 students attending more than 40 elementary schools in Busan city, Daegu city, and Gyeongbuk area and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from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
First, the extent of which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re not adjusted to the school is lower than the middle. Second, it shows that the level of life environment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depends on parents’ concern in the home surroundings, relationship to friends in the school surroundings Third, according to children’s feature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difference of maladjustment to the school tells that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ase of sex and the mothers’ academic background but not in the case of a grade, a parents’ mother country, and the fathers’ academic background. Fourth, the difference of maladjustment to the school according to cultural features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ells that the more they think their appearance different from other people, the more serious the extent of maladjustment to the school is. However, there is not meaningful difference in case of children’s ability in Korean, parents’ ability from other countries in Korean, children’s ability in the parents’ language, language using within home. Lastly, it is an economic standard of living under physical home surroundings, an attitude of parents’ support under emotional and mental home surroundings,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es and friendship under school surroundings, and community surroundings that have effect on maladjustment to the school among types of standard of living in the study.
The following proposes a practicable plan in terms of social welfare of the school for the prevention of maladjustment to the school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connection with and distribution of the resource of community is required for supporting tuition fee and living cost which are necessary to the economic life of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parents with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given customized training like skills for supporting children or consultation. In addition, they need to have a chance to get along with parents of general families and exchange information of children’s education. Thir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introduced to teachers, principals as well as children of general families lest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suffer discrimination, prejudice, bullying, and so forth due to the difference of their appearance. Lastly,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need to take lessons on types and contents of community resources in order to make full use of community environment. Especially, school social worker who in charge of social welfare of the school always pay attention to and utilize programs or benefits sponsored by a nation or private organizations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지각하고 있는 생활환경 수준이 학교부적응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고,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부적응 예방을 위한 학교사회복지적 개 입방안을 모색하는...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지각하고 있는 생활환경 수준이 학교부적응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고,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부적응 예방을 위한 학교사회복지적 개 입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북,대구,부산의 40여개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97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으 며,조사결과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부적응 정도는 중간보다 조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 다.둘째,다문화가정 자녀의 생활환경 수준은 가정환경에서 부모의 관심,학교환경에 서 친구관계를 가장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다문화가정 자 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부적응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과 어머니의 학력의 경 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학년,부모의 출신국가,아버지의 학력에서는 유의미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넷째,다문화가정 자녀의 문화적 특성에 따른 학교부적응 의 차이를 살펴보면 아동이 자신의 외모가 다른 사람과 다르다고 느낄수록 학교부적 응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아동의 한국어 사용능력,다른 국가 출신 부모님의 한국 어 사용능력,아동의 부모님언어 사용능력,다른 국가 출신 부모님의 한국어 사용능 력,아동의 부모님언어 사용능력,가정 내 사용언어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 나지 않았다.다섯째,생활환경 유형 중 물리적 가정환경에서는 경제생활수준,정서·심 리적 가정환경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학교환경에서는 학교수업과 친구관계,그리고 지역사회환경이 각각 학교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부적응 예방을 위한 학교사회복지적 실천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다문화가정의 경제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비나 생계비 보조를 위해 지역사회자원을 연계·제공하여야 한다.둘째,다문화가정 자녀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자녀양육기술 등 맞춤형 교육이나 상담을 제공하여야 하며,일반가정 부모들과 함께 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여 자녀교육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셋째,다문화가정 자녀의 외모차이 등으로 인한 차별과 편견,왕따 등을 겪지 않도록 일반가정 아동 뿐 아니라 교사와 학교장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넷째,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지역사회환경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자원의 종 류와 내용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특히 학교사회복지사는 국가나 민간단체 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혜택 등에 늘 민감해야 하고 적극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