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전문성을 추구하는 영유아교사의 학습공동체 경험 탐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what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through a learning community activity and what it means to them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nine months from Mar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what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through a learning community activity and what it means to them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nine months from March to November at K day care center of D city. The subject of the research was ‘What does teachers’ learning community mean to early childhood teachers?’ To deal with this subject,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joined a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ctiv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were designed in consultation with learning community members,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tudy. The research was made sure to abide by the research ethics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Research references are made up of the transcription from the interview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regard to thei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the researcher’s log,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reflection . To analyze the collection of the references, the following procedures are employed; ‘repeated reading processes’, ‘terminology extraction process’ which is to classify similar contexts, ‘sub-subject select process’ which is to categorize the references in sub-subjects, and ‘meaning construction process’ which involves thoroughly reading the sub-subject contexts and finding meanings in them.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study, triangulation and the confirmation procedur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carried out and the experts’ opinions were taken into account. The following results are summed up through the procedures mentioned above. From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tie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themselves as a ‘half expert’, ‘a person who has potential to grow and mature’, ‘a person who uses both cognition and reality’, ‘three sectors of good instruction’ and etc. To them, a learning community means ‘becoming a partner’, ‘the puzzle pieces of being a teachership’, ‘growth rings as a teacher’, ‘establishing a relationship among triple roles’, ‘building an active viewpoint toward a child’, and ‘making suggestions for challenges’ and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 a learning before teaching. Second, they learn together with peer colleagues beyond their bounds. Third, they are growing everyday towards half-relationship or partnership. Fourth, thery are building a bond as partners. And the teachers think of education as hope. In conclusion, the research suggests further follow-up studies based on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first, since this research has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participants from one kindergarten, it does not reflect various features of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Thus, it is shown that a further study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the teaching profession is necessary reflecting various types and diverse features of child care centers. Secondly, due to the limited work experience of 3 to 4 years by the participant teachers, varied interests and concerns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al phases might not be fully reflected in this research. Therefore , a study is needed which includes variations of directions, learning desires or interest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al phases of teachers in a teachers’ learning community. Besides,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a study, which deals with the composition of a long-term learning community ranging from a basic to an advanced course of contexts and the composition of long- term working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conducted. Thirdly, teaching profession, instructional self-efficacy and teacher’s identity seems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participation in a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 study that covers this relationship appears to be worth being conducted since not many studies have been done. Lastly, due to the fact tha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based on the research participants’ narrations, it was difficult to observe and monitor how the research subjects are transforming as a teacher through the process. The follow-up research on how teachers’ perception and point of view are changing is recommended. Keyword: Early childhood teacher, Learning community, Teaching professionalism.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들이 수업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해 원내 학습공동체 활동을 함으로써 경험하는 것과 영유아교사에게 학습공동체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들이 수업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해 원내 학습공동체 활동을 함으로써 경험하는 것과 영유아교사에게 학습공동체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는 D시에 위치한 K어린이집에서 3월부터 11월 까지 9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문제는 ‘유아교사가 경험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의미는 무엇인가?’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에 자원한 연구 참여자는 3명의 영유아교사이다.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은 예비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학습공동체 구성원과 협의하여 구성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의 전 과정에서 연구윤리를 준수하고자 노력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주로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면담한 전사 자료와 그밖에 연구자 일지, 연구 참여자의 반성적 글이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읽는 ‘반복 읽기과정’과 유사한 맥락을 분류하는 ‘용어 추출 과정’을 거쳐 소주제로 범주화하는 ‘소주제 선정과정’과 소주제 내용을 반복 읽으며 의미를 찾는 ‘의미 구성 과정’을 가졌다.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삼각검증, 연구 참여자의 확인 과정과 전문가의 의견을 수용하였다. 이상의 과정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교사들은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절반의 전문가’, ‘성장하고 성숙하고 발달 가능자’, ‘인식과 실제의 혼용자’, ‘좋은 수업의 삼요소’ 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교사들에게 학습공동체가 의미하는 바는 ‘동반자 되어가기’, ‘교사다움의 퍼즐’, ‘교사로의 나이테’, ‘1인 삼색 관계 맺기’, ‘능동적 아동관의 형성’, ‘도전을 위한 제안’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로서 유아교사. 둘째, 동료교사와의 학습의 장, 셋째, 전문가로서 점진적 성장, 넷째, 동반의 관계형성. 마지막으로 교육은 희망으로 본다로 말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하여 제언을 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어린이집 한 곳의 3명의 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실시한 것이므로 다양한 유아교육기관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국공립 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등의 다양한 유형의 유아교육기관의 특성이 반영된 교사학습공동체와 수업 전문성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둘째,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의 제한된 배경(경력 3년-4년, 동일학교 출신)으로 인하여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교사의 관심사와 개인의 문화적 특수성이 연구에 반영되지 못한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라 관심사와 학습욕구와 지향하는 바의 차이를 반영하는 연구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기본에서 심화 과정으로 맥락을 이어가는 장기적인 학습공동체의 구성과 유아교사의 장기적인 근무조건의 형성도 함께 연구되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수업 전문성과 교수 효능감, 자아 정체성은 교사학습공동체 참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나 아직 연구되어진 것이 많지 않으므로 앞으로 연구할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넷째, 본 연구가 연구 참여자의 진술만을 토대로 이루어지고, 연구자가 동일 기관의 원장이었다. 따라서 연구자의 해석이 원장의 시각에서 완전하게 자유롭지 못했던 점과 연구자의 시각 변화 과정이 나타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과정에서 연구자의 시각과 인식변화의 관련도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주제어 : 영유아교사, 학습공동체, 수업전문성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