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운용현황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아이덴티티(identity)는 자신만의 고유의 영역을 표시하고 싶어 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에서 시작된 개념이고 지방자치단체 아이덴티티는 그 지방자치단체만이 가지고 있는 역사성·고유...

아이덴티티(identity)는 자신만의 고유의 영역을 표시하고 싶어 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에서 시작된 개념이고 지방자치단체 아이덴티티는 그 지방자치단체만이 가지고 있는 역사성·고유성 등 지역 문화에 기반하여 다른 지방자치단체와는 차별화 되는 고유한 지방자치단체다움, 지방자치단체의 정체성을 말하는 것이다. 세계가 글로벌화되면서 국가의 경계를 넘어 도시(지역) 경쟁력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지방자치단체 아이덴티티의 확립을 통한 인지도 제고로 경쟁력을 높이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이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성공과 번영을 위하여 필요하지만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외국자본, 우수인력, 관광객 등의 제한 자본을 유치하여 타지역 또는 다른 국가와의 경쟁력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지방자치단체 자체를 하나의 상품으로 인식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유·무형 자산을 브랜드화 하여 자산가치가 높은 지자체 브랜드 구축을 통해 긍정적인 인지도를 높이면 지방자치단체의 대내·외 인식 제고로 강력한 경쟁력을 갖춘 지방자치단체가 되는 것이다. 이런 필요성으로 우리나라는 2002년부터 경쟁적으로 지방자치단체에서 브랜드가 도입되기 시작하여 2015년말 기준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총 17,154건의 브랜드 상표권를 보유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성시대’가 도래하게 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보유와 운용현황을 대상으로 한 지방자치단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역할과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전국 243개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에 게재된 관련 자료와 운용현황을 조사·비교 분석하고 지방자치단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성공 또는 문제점으로 기사화 된 다양한 사례들을 조사하여 이를 기초로 한 가설 검증으로 지방자치단체 브랜드 아이덴티티 운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지방자치단체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보유하고 있는 곳은 155개 지방자치단체(64%)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매뉴얼 보급율은 36%(56곳), 지방자치단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담당하는 부서로 디자인 관련 담당부서는 9곳(5%), 디자인 전문 인력이 근무하는 곳은 15곳(10%)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이미지 자료를 지원하고 법적 규제를 없앤 곳은 49%(76곳) 밖에 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 아이덴티티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 고유의 자체 콘텐츠를 민관협력 거버넌스를 통한 일체화 된 노력으로 성장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 콘텐츠 상품을 지방자치단체 아이텐티티와 연관·확장성을 갖는 지방자치단체 브랜드 아이덴티티로 개발하여 차별화 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지방자치단체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관련 전문인력 확충과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져야하며 다변화하는 매체들을 적극 활용한 IMC 전략으로 차별화된 지방자치단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지방자치단체장의 이미지 홍보나 전시행정의 수단으로 개발·도입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활성화 방안이 지방자치단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가치 제고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지방자치단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활성화와 효용성을 높이는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초석이 되었으면 한다.

“Identity” is a concept which stemmed from the instinctual desire of human beings to mark their own territories; the identity of a local government refers to each local government’s uniqueness and what sets them apart, including their own region...

“Identity” is a concept which stemmed from the instinctual desire of human beings to mark their own territories; the identity of a local government refers to each local government’s uniqueness and what sets them apart, including their own regional cultures encompassing history, characteristics, etc. Local governments have been attempting to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firm identity in this globalized world,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mpetitiveness on a smaller regional–not national–level. The purpose of improving competitiveness is to get into an advantageous position when competing against other cities or countries by attracting limited resources such as foreign investments, a talented workforce, and tourists–all of which are necessary, yet scarce, for a local government’s success and prosperity. A local government becomes a powerful competitor when the internal/external perceptions are improved by positively recognizing the identity that turned its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into a “brand” and makes the government a marketable product. The local governments of South Korea started competitively introducing the concept of having their own “brand” in 2002. As of the end of 2015, a total of 17,154 trademarks are owned by the South Korean local governments; this is referred to as “The Golden Age of Local Governments’ Brand Identity.” This study introduces a hypothesis on the role of a local governments’ brand identity and the effective management of it based on the current possession condi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the local governments’ brand identity. The management system of 243 different local governments throughout the nation and the materials listed on their websites were studied and compared, along with different examples of successes and problems of the local governments’ brand identity;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blems of current management systems and offers a solution by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There were 155 local governments (64%) that possessed a brand identit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governments’ system, only 56 (36%) of them had a manual and design-related departments (5%) and professional designers (10%) were close to non-existent. Furthermore, only 76 (49%) of those governments provided visual materials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their brand identity and removed the related regulations. It is obvious that the statistics would yield an even worse percentage if all of the 243 local government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revitalize the brand identity of local governments, each entity must attempt to promote their own content through a partnership and unified effort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e same content needs to be recognized as an extension of the brand identity of these governments which will set each government apart from one another. Additionally, the need of experts in the related fields and the construction of a new system was evident in order to revitalize the local governments’ brand identity. Developing a new advertising system which utilizes the quickly-changing promotion methods of the current situation is a must. Local governments can also establish their unique brand identity by promoting through different online and offline channels. Lastly, the brand identity of local governments must not be developed in order to change people’s perception of the entity or as a way of mere display, if the goal of the local governments is to revitalize their brand identity. Hopefully, the suggested revitalization solution in this study will be able to assist in improving the value of each local government’s brand identity and be a cornerstone of a new and more effective management system.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