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은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한 훈련과 실무를 익히기 위해 다양한 기관에 나가 미술치료실습을 행하게 된다. 이 때 여러 어려움들을 경험하게 되는데 그 중 ...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은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한 훈련과 실무를 익히기 위해 다양한 기관에 나가 미술치료실습을 행하게 된다. 이 때 여러 어려움들을 경험하게 되는데 그 중 조기종결로 인한 어려움은 아직 훈련과정 중에 있는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에게 내담자나 기관과의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에 대한 좌절감, 치료사로써 책임을 다 하지 못했다는 죄책감, 조기종결 후 더 이상 볼 수 없는 내담자에 대한 걱정 등의 부정적 정서로 다가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미술치료사로써 성장하는데 장애가 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이 다양한 기관에 나가 미술치료실습을 행할 때 경험하게 되는 조기종결의 어려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또한 이러한 어려움을 받아들이는 실습생들의 태도와 반응에 대한 의미 탐색의 시도는 앞으로 미술치료사가 되려고 훈련을 받고 있는 실습생들을 위해 필요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이 다양한 기관에서 미술치료실습을 행하게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조기종결에 대한 체험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학 실습생들이 여러 기관에서 미술치료실습을 할 때 겪게 되는 조기종결로 인한 부정적 정서를 예비하고 미술치료실습의 지속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의 기관미술치료에서의 조기종결체험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인간의 삶을 설명하거나 예측하는 방법을 벗어나 인간 경험 자체에 대해 탐구하고 문학예술자료를 통하여 생생한 경험을 이해하도록 하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총 14명으로, 서울, 경기 지역 총 5개 대학원 미술치료학 석사과정 중에 재학 하고 있는 석사 3학기생 7명, 석사 4학기생 4명, 5학기생 2명, 그리고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졸업 후 1년 이내 1명이며 모두 정신건강증진센터, 특수학교, 다문화센터, 지역아동센터, 심리치료 기관 등 특수목적을 지닌 기관에서 미술치료실습을 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5년 6월부터 2015년 10월에 걸쳐 연구 참여자 총 14명으로부터 미술치료실습생의 기관미술치료에서의 조기종결체험에 대해 심층면담을 통하여 수집되었다.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총 13개의 본질적 주제와 35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기관에 의해 결정된 조기종결로 미술치료실습에 대한 사기가 꺾임>, <조기종결을 결정한 보호자와 소통이 되지 않아 답답함>, <나오지 않는 내담자를 기다리다 치료사로서의 고민이 시작 됨>, <나오지 않는 내담자에 대해 실망함>, <내담자와 함께 한 시간들이 사라져 버린 것 같이 느껴짐>, <어려웠던 미술치료 회기가 끝나 홀가분함>, <미술치료 조기종결에 대한 책임을 느낌>, <미술치료 조기종결로 치료의 기회를 놓친 내담자가 잘못될까봐 걱정이 됨>, <조기종결 된 기관을 피하게 됨>, <조기종결로 내담자와의 치료관계를 다시 돌아보게 됨>, <미술치료 실습이 계획대로 되지 않고 조기종결이 될 수 있다는 사실에 마음이 조급해 짐>, <조기종결에 대한 조언을 구할 곳이 필요함을 느낌>, <미술치료 조기종결로 아픈 만큼 성숙해 간다는 것을 경험함>
본 연구의 연구 결과인 본질적 주제를 바탕으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의 기관미술치료에서의 조기종결 체험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기관미술치료 조기종결체험을 통해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되지만 미술치료사로써의 성장을 위해 거쳐 가야 하는 단계로 받아들이게 된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기관의 일방적 통보로 인한 조기종결을 경험하게 되는 경우 기관의 결정을 수용하는 태도를 취하더라도 종결을 맺기 위한 회기 확보를 위해 목소리를 내야 함을 깨달았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조기종결 체험을 통해 미술치료실습이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고 조기종결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미리 염두에 두고 치료초기부터 내담자의 필요와 요구에 민첩하게 반응해야 함을 깨닫게 된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기관미술치료 조기종결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수퍼비전과 같은 조언을 받을 곳이 필요하며 조기종결 경험 대한 수퍼비전을 받았을 때 연구 참여자의 조기종결로 인한 부정적 정서를 넘어 조기종결 경험 대한 객관적 시각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받게 된다.
본 연구의 기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이 미술치료의 4가지 유형 중 하나인 기관미술치료 현장에 나가 미술치료실습을 행할 때 발생하는 조기종결 경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둘째, 조기종결 체험이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해 아프지만 필요한 과정으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에게 받아들여진다는 점에서 조기종결 체험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셋째, 본 연구는 기관미술치료 유형에서의 미술치료실습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미술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