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행정직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Burnout)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의 목적은 행정직원들을 상으로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 직무만족의 수준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가 소진과 직무만족미치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행정직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 직무만족의 수준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가 소진과 직무만족에 미치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논문 및 관련 문헌 등의 문헌조사와 실증연구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연구의 대상은 충북소재의 한 개 대학의 행정직원으로 하였고, 실증연구의 설문은 크게 3가지로 직무스트레스, 소진, 직무만족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총 120부를 배포하여 최종 연구에 105부를 분석하는데 활용하였고, 설문조사결과의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18.0을 활용하였다.
응답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검정을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직무만족의 응답자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직무만족 간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행정직원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중 직무요구와 조직체계가 높게 나타난 반면 관계갈등과 직장문화는 보통으로 나타났다. 소진의 수준은 보통이상으로 나타났고, 직무만족 수준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행정직원들의 결혼여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 직무만족에 대한 T검정 결과 소진과 직무만족에서 미혼인 직원들이 기혼의 직원보다 소진이 높게 나타났고, 직무만족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근속연수에 따른 요인별 차이분석 결과 3년 이상 근무한 직원들이 3년 미만 근무한 직원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며 소진도 높게 나타났다. 고용형태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계약직보다 정규직인 직원들이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현부서 근무년수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현부서에 3년 이상 근무한 직원들이 3년 미만 근무한 직원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며, 소진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 행정직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직무요구, 관계갈등, 직장문화가 유의적으로 나타나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 행정직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관계갈등, 조직체계, 직장문화가 유의적으로 나타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비추어 봤을 때 조직차원에서 일과 관련 된 스트레스원천을 제거하는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변화가 필요 할 것이다. 각 분야별 직무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인적자원을 관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조직차원에서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예방하는 인적자원관리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장기 근속자에 대한 처우개선과 직무분석을 통한 업무표준화로 업무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job 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s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heir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o this end, questionnaires are conducted for li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job 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s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heir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o this end, questionnaires are conducted for literature and empirical research on the existing research s and related literatures. The subjects of empirical study are administrative staffs in a university located at Chungbuk, and the questionnaires of empirical research largely consist of three factors, such as job 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 total of 12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mong which 105 copies were analyzed in the final study, and the findings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8.0, a statistical program.
The frequency analysis was implemented to understand general features of respondents, and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ing tools. In addi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also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job 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respondents' features,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effects among job 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in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s is stronger than moderate. Among sub-factors, job-demand and organizational system were severe, whereas, relationship conflict and workplace culture were moderate. The burnout was stronger than moderate, and job satisfaction was moderate.
Second, the T-test of job 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marital status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s showed that the burnout was stronger, but the job satisfaction was weaker for unmarried staffs, than for married one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difference by factor according to years of service exhibited that job stress and burnout were stronger for staffs with more than 3 years of service, than for those with less than the same years of service. From the differences analysis depending on employment type, it was found that regular workers had stronger job stress, than did irregular ones. The difference analysis according to years of service in the current department indicated that job stress of burnout of staffs with more than 3 years of service were stronger than those of staffs with less than the same years of service.
Third, effect of the job stress in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s on the burnout was analyzed to show that the job-stresses' sub-factors, such as job-demand, relationship conflict and workplace culture were significant, so the job stress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burnout.
Fourth, the effect of job stress in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s on the job stress was analyzed to exhibit that the job stresses' sub-factors, such as relationship conflict, organizational system and workplace culture were significant, so the job stress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In the light of such findings, change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eliminations of stress sources related with works in organizations would be necessary. The job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in each field, and human resources be also managed depending on the findings. Moreover,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institution must be developed to prevent job stress and burnout in organizations. The job efficiency should be enhanced with job standardization through the job analysis and better treatments for long-term employees.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