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육적 조건이 취약하고 학급활동에 무관심한 유아를 대상으로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교수방법으로는, 유아들에게 학습적으로 취약한 점을 보안하기 위해 그들의 흥미를 중심...
본 연구는 교육적 조건이 취약하고 학급활동에 무관심한 유아를 대상으로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교수방법으로는, 유아들에게 학습적으로 취약한 점을 보안하기 위해 그들의 흥미를 중심으로 하는 프로젝트 접근법을 시행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5년 8월 26일부터 10월 7일까지이며, 유아들이 관심 있어 하는 개미를 프로젝트 주제로 삼아 동영상, 녹음, 성찰일지, 반성적 저널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아들의 변화과정을 진술할 수 있었다.
연구를 실행하며 가장 큰 변화는 유아들의 주도성이었다. 교사가 제시하는 활동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던 유아들이 개미에 대해 알기 위해, 알고 있는 것을 소통하기 위해, 또래와 교사에게 소통하기 시작하였다. 스스로 개미를 찾고, 개미를 관찰하며, 개미에 대해 궁금한 것을 책이 닳도록 보고, 직접 실험을 하며 계속해서 탐구해 나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탐구의 방향은 교사보다는 유아에게 더욱 치중하였고 유아들은 생활과 학습이 일치되며 그 속에서 더욱 깊숙이 열중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유아들은 이 속에서 기존에는 일로만 느꼈던 책읽기, 쓰기도 탐구의 수단으로 여겨 스스로 읽고, 쓰는 변화를 보였고, 또래와 소통하며 단답형으로만 끝나던 유아들이 서로의 지식을 소통하며 갈등까지 함께 해결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또, 시도조차 하지 않던 새로운 재료도 다양한 경험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개미의 다리, 더듬이, 게임을 하기 위해 수세기와 셈하기도 자연스럽게 익히는 계기도 되었다.
유아들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기존에 교실활동과는 현저히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기존 놀이의 패턴만 반복 하던 것이 아닌 다양한 탐구, 놀이의 기술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다. 또한, 활동의 주제와 유아들이 이원화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일원화 되어 더욱 활기 넘치는 교실 속 유아들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를 통해 도시보다 교육적으로 취약한 지리적, 문화적, 교육적 환경에 놓인 유아들에게 기존의 형식적인 교육활동이 아닌 그들의 흥미를 중심으로 하여 유아들과 소통하고 싶었다. 또한, 교육취약계층의 유아들과 관련된 정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하는 조건부적 관련 사업이 아니라 유치원 현장에서 보다 밀접하게 그들의 상황, 환경에 맞는 활동을 통하여 유아들의 교육적, 문화적 상황을 보안하고 싶었다. 이 연구는 교육받는 환경으로부터 취약한 유아들에게 그들을 더욱 밀접히 마주할 수 있는 교육현장에서 즐겁게 학습할 수 있는 변화에 그 의의를 두었다.
이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처럼 교육적으로 취약한 지역에서 교실활동에는 관심 없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수방법을 고심하고 있는 교사에게 유아의 흥미를 중심으로 탐구하는 방법인 프로젝트 접근법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