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음악 전공생들의 취업진로선택에 관한 인식도 연구 : 수도권 소재 대학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wareness level regarding career decisions of applied music major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universities, it proposes the job competency according to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and an...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wareness level regarding career decisions of applied music major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universities, it proposes the job competency according to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and analyzes the status of metropolitan area university's curriculum to accomplish the purpose. Based on the analysis above, applied music major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for surveys to be carried out where a total of 267 students participated. The survey utilized for this study was made based on Kisun Park's 'Employment Awareness and Curriculum Research of Dance Major University Students' (2013), Jungseok Yang's 'Study on the Awareness of Taekwondo Major Students' Curriculum' (2002), and Jungkwon Kim's 'Applied Music Curriculum Study for Career Competency Development' (2012) by using the survey questions from these studies that were edited and reviewed to suit this stud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career awareness survey 88% of the applied music major student responded that they are ‘planning to work as an applied music profession artist after graduation’, and 91% of them responded that they are ‘planning to choose work in the field related to their major regarding their job choice’. Second, the most preferred jobs for vocal major students were in the order of ①vocalist(performer), ②music producer, ③instrumentalist, and the most favorable jobs for instrument major students were in the order of instrumentalist(performer), ②composer, ③music producer, and music composing/editing major students' most favorable jobs were in the order of ①composer, ②music producer, ③instrumentalist(performer), and Midi/computer music major students' most preferred jobs were ①composer, ②music producer, and ③computer music producer. And other applied music major respondent singer/songwriter major students' most favorable jobs were in the order of ①vocalist, ②composer, ③music producer. Third, applied music students mostly responded ‘I do not separately prepare for it’ regarding the employment preparation period, which means that the preparation for employment and the university level/year do not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Most students recognized ‘lack of individual qualification and ability’ as the cause that contributes to the difficulty in employment. In addition, half of the students perceived ‘lack of skills related to the major’ as a barrier to employment, more than 78% of students recognized ‘practical studies of the major’ as a factor that affects the students' employment, and 73% of the students perceived ‘personal skill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s employment. The desired path for employment were ①‘professor recommendation’, ②‘audition’ which both had around 30% of responses and the medium for career counseling were ①‘elder/senior students and colleagues’, ②‘professor’, ③‘do engage in counselling’ were all similarly responded by 26-32% of students. The method to gain employment information were through ①‘elder/senior students and colleagues’ ②‘guidance professor’ ③‘internet website’ and etc. that were responded. Fourth, 47% responded ‘somewhat confident (medium level)’ and 21% ‘not confident’ regarding questions related to confidence in employment. Fifth, 43% of the students responded ‘need to individually acquire it outside of class time’ in regards to acquiring applied music director license. Sixth, 67% of the students responded ‘individual's development of art creation skills’ as the essential part of applied music's curriculum and 42% of the students responded ‘there are not enough classes related to social advancement and employment based on applied music’ in terms of the current curriculum's problem. In addition, the problems of curriculum operations were found as ①‘school facility and lack of resources’, ②‘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institution)’, and for supplementary and desiring new classes, around 31% of the students responded they desired ①‘classes based on overall performance task in regards to performing art’ ②‘classes related to applied music education’.

수도소재 대학 실용음악 전공생들의 취업진로선택에 관한 인식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둔 본 연구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하는 직무능력을 제시하고, ...

수도소재 대학 실용음악 전공생들의 취업진로선택에 관한 인식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둔 본 연구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하는 직무능력을 제시하고, 수도권 소재 실용음악 대학의 교과과정 현황을 분석 하였다. 위의 분석을 토대로, 수도권에 위치한 실용음악 전공생을 임의로 선정하여 설문조사 하였으며 표본은 총 267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 구성은 박기선(2003)의 ‘무용전공 대학생의 취업인식도 및 교과과정 조사연구’, 양정석(2002)의 ‘태권도학과 학생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 조사연구’, 김정권(2012)의 ‘직무능력 개발을 위한 실용음악 교육과정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 문항을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 인식도 설문에서 설문 응답자 중 88%에 해당하는 전공생들이 ‘졸업 후 실용음악 전문 아티스트로 활동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91%에 해당하는 전공생들이 ‘직업 선택 시 전공 관련분야를 택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보컬 전공 1순위 선호 직업은 ①보컬(실연자), ②음악 프로듀서, ③연주자 순이었고, 연주 전공 1순위 선호 직업은 ①연주자(실연자), ②작곡가, ③음악 프로듀서 순이었으며, 작/편곡 전공 1순위 선호 직업은 ①작곡가, ②음악 프로듀서, ③연주자(실연자) 순이었으며, Midi/컴퓨터음악 전공 1순위 선호 직업은 ①작곡가, ②음악 프로듀서, ③컴퓨터음악 제작자 순이었다. 그 외 전공 응답자인 싱어송라이터 전공 1순위 선호 직업은 ①보컬, ②작곡가, ③음악 프로듀서를 가장 선호한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취업을 준비하는 시기에 있어 실용음악과 재학생들은 ‘별도의 준비를 하지 않는다’에 가장 많은 응답을 하여, 취업에 관한 준비와 학년과의 연관성이 크게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개인의 자질과 능력 부족’이 취업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절반이 넘는 학생들이 ‘전공실력 부족’이 취업 장애요인이라고 인식하고, 78%가 넘는 학생이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 ‘전공실기 공부’가 가장 영향을 미치며, 취업을 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는 73%의 학생이 ‘자기능력’이라고 응답하였다. 취업을 원하는 경로는 ①‘교수추천’, ②‘오디션’이라는 응답이 약 30%로 비슷한 수치를 보였으며, 취업상담을 하는 매개체에 대한 응답은 ①‘선배 및 동료’, ②‘교수’, ③‘하지 않는다’가 약 26~32%의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또한, 취업정보를 습득하는 경로에 있어 ①‘선배 및 동료’, ②‘지도교수’, ③‘인터넷사이트’ 등으로 정보를 얻는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취업에 관한 자신감에 대한 질문의 응답으로 약 47%가 ‘그저 그렇다’, 21%가 ‘자신이 없다’ 라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실용음악 지도자 관련 자격증 취득 제도에 있어 ‘수업 외 시간에 개인적으로 취득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약 43%였다. 여섯째, 학생들은 실용음악 교과과정의 가장 중요한 측면으로 ‘개개인의 예술창작 능력발달’에 약 67%의 응답을 보였으며, 현행 교과과정의 문제점으로 ‘실용음악을 중심으로 사회진출 및 취업과 연관된 교과목이 부족하다’에 약 42%가 응답하였다. 또한, 현행 교과과정 운영의 문제점은 ①‘학교시설이나 자재의 부족’, ②‘행정지원(제도)의 미비’라고 응답하였으며, 보충 및 신설 희망 교과목으로는 약 31%의 학생이 ①‘공연 예술에 있어서 무대 작업 전반에 관한 과목’, 약 28%의 학생이 ②‘실용음악 교육과 관련된 과목’이라고 응답하였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