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에서는 경제성장과 더불어 여가 생활이 늘어나 가족단위의 다양한 경험과 체험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다양한 문화를 체험 할 수 있는 공간이 ... 현대 사회에서는 경제성장과 더불어 여가 생활이 늘어나 가족단위의 다양한 경험과 체험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다양한 문화를 체험 할 수 있는 공간이 늘어나고 있으며, 그 중 비형식적 체험 교육기관인 박물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 시대의 경향에 따라 비형식 교육기관의 체험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함에 있어 시작하게 되었다. 성장발달과정에 있어 경험이 가장 중요한 시기인 만4세부터 12세까지 아동기를 대상자로 정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박물관에서는 관람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호기심과 자기 주도적 학습의 동기를 부여할 전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단순한 설명의 나열로 이루어진 전시가 아닌 직접 만지고 조작할 수 있는 눈높이에 맞춘 직접적 체험을 통한 전시가 필요한 공간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 어린이 대상 박물관에서는 전시의 교육내용과 방식이 일방적이며 체험의 요소가 많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관람자와 전시물, 전시공간의 상호작용이 미비하다. 그렇다면 어린이 박물관에서 관람자와 전시물, 전시공간이 상호 작용하고 방응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그것은 관람자의 행동을 유도·유발하고, 사물과 사용자의 관계를 형성하여 상호 반응하는‘어포던스 디자인’이다. 어포던스 이론은 심리학, 생태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제품의 인터렉티브 디자인에 국한되어 적용되고 있다. 어포던스 디자인이 제품에 국한되지 않고 체험·경험 공간에 적용된다면 사용자와 공간(사물)에 따라 상호 반응함으로써 교육적·문화적 만족감을 크게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관람자의 행동을 통해 전시물과 전시공간이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어포던스 디자인을 적용하여 체험형 어린이 박물관을 계획하고자 하였다. 먼저 어린이 박물관과 어린이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어포던스 이론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중 인터렉티브 측면에서 어포던스 이론을 확장시킨 하슨의 어포던스 디자인을 택하였다. 또한 어린이 박물관의 체험전시 개념을 정립하고 체험전시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체험전시 유형별로 하슨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인과 요소에 대해 분류 하였다. 첫째, ‘인지적 어포던스는 조작식 전시’이며, 둘째,‘물리적 어포던스는 모형을 통한 전시물 탐색’이다. 셋째, ‘기능적 어포던스는 작가의 의도와 목적이 들어간 행동유발’이며, 넷째, ‘감각적 어포던스는 오감을 통한 인터렉티브 전시’로 구분하고 그 의미를 재정리 하였다. 또한 이를 기준으로 사례분석을 통하여 체험형 어린이 박물관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와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론적 고찰과 공간분석을 종합하여‘관람자 중심의 체험형 어린이 박물관’의 실내계획 및 공간디자인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위 연구를 반영한 결과로 교육공간의 가변성과 실내외 전시흐름을 만들었고, 관람자 중심의 자유·선택 동선으로 전시, 직접 참여하여 전시하는 창의공방, 일반인들을 위한 카페, 교육과 공연을 할 수 있는 강당, 세미나실, 어린이들을 위한 어린이 도서관, 기획전시실 등을 계획하였다. 이를 종합한 하슨의 어포던스 관점에서 공간의 상호작용과 어린이 관람자를 위한 박물관 계획을 제안 하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 연구 자료가 또 다른 체험형 전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In modern society, the public concern for diverse experience and experience education on a family unit is ever increasing as the trend for leisure life increases along with economic growth. Thanks to such a phenomenon, the space available for experien... In modern society, the public concern for diverse experience and experience education on a family unit is ever increasing as the trend for leisure life increases along with economic growth. Thanks to such a phenomenon, the space available for experiencing various cultures is increasing, and among others, a museum as an informal experience education institution is getting a limelight for its importance. Hereupon, this research began with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xperience activity led by an in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 with the transitions of this current period as the background. As the research subject, this research set the childhood aged from 4 to 12 in full marking the period when experience is the most important in their growth & development process. A museum for children is the space in need of provision of exhibition programs for arousing children’s curiosity and motivating them to do self-directed learning by grasping a visitor’s characteristics, and also the exhibition through direct experience corresponding to children’s eye level which makes it possible for them to touch & operate displays in person other than the exhibition filled with simple enumeration of explanations of displays. However, in case of the museum for children in Korea, its educational contents and style of an exhibition is unilateral as yet; moreover, the museum is not only deficient in elements of experience but also insufficient in interaction between a visitor, displays and display space. If so, what method will make it possible for a visitor, display and display space to interact with, and react to each other at a children’s museum? The solution is the very ‘Affordance Design’ which creates a mutual response by inducing & arousing a visitor’s behavior and forming the relation between a thing and a visitor. The Affordance theory has been continuously researched and applied in diverse fields, not to mention psychology and ecology, and this theory is applied to interactive design of a product only. Should Affordance design be applied to direct experience & experience space, not being limited to a product, it’d be possible for a visitor to enjoy educational, cultural satisfaction greatly through the mutual response according to a user and space(a thing). Accordingly, this researcher intended to do planning of hands-on-experience-based children’s museum by applying the Affordance theory that makes it possible for a display and display space to do interaction through a visitor’s behavior. To this end, first, this research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 children’s museum and children, and inquired into the Affordance theory. Among others, this research adopted the Affordance Design of Hasun who extended the Affordance theory from the interactive aspect. Also, this research established the concept of experience exhibition of a children’s museum, classified the types of experience exhibition, and also classified Hasun’s Affordance Design factor & element by experience exhibition type as follows, and re-organized the meanings. First, ‘Cognitive Affordance is an Operant Exhibition’; second, ‘Physical Affordance is Dispay Exploration through a Model’; third, ‘Functional Affordance is Induction of Behavior, in which an author’s intention and purpose are included’; fourth, ‘Sensuous Affordance is an Interactive Exhibition through five senses’ Further, this research analyzed the Affordance design elements & trend of a children’s museum through case analysis on the basis of this , this research proposed the interior design planning of ‘a visitor-oriented hands-on-experience children’s museum, and design direction by putting together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space analysis. Through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above study, this research created variability of educational space and indoor & outdoor exhibition flow, and did the planning of the exhibition using a visitor-oriented free/optional moving line, creative workshop for an exhibition through visitors’ direct participation, cafe for the general public, auditorium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eminar room, children’s library for children and special exhibition, etc.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a museum for interaction of space, and a child visitor from the Affordance perspective of Hasun who synthesized these, and this research hopes that these materials could be utilized as basic ones for another hands-on-experience exhibition.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