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 애드버토리얼의 레이아웃 특성과 소구유형에 대한 내용분석 연구 : 국내 유명 리빙 잡지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Most of consumers meeting advertising have the disposition to evade advertising phrases, and in case of print media like news, they have some interest only chiefly in the article but pay no attention to the advertising in the bottom or a full-pa...

Most of consumers meeting advertising have the disposition to evade advertising phrases, and in case of print media like news, they have some interest only chiefly in the article but pay no attention to the advertising in the bottom or a full-page advertisement, and when they see a magazine, they pass by a page with advertisements in many cases. In the situations where consumers evade the advertising, companies take pains to set the publicity strategy of products and the brand to secure people’s concern. The advertorial which appeared as a new strategy of this advertising publicity is a fusion of the merits of advertising and press media where the ads are run with the editing method like articles. Therefore, a consumer who is absorbed in news or articles and is doing an active information processing recognizes advertorial as news or articles as well, and pays attention to an advertorial message. The researches related advertorial progressed up to the present have been mostly progressed centered on news, but this study selected 3 types of living magazines named ‘Maison’, ‘A House Full of Happiness’, ‘CASA Living’ which are Korean living style magazines keeping the lead as the object of research, and analyzed them by classifying by the content of advertorial, by the layout components of advertorial, and by the appeals type. For the analysis from February 20, 2016 to April 10, 2016, we analyzed 1,134 cases of advertorial run in 3 types of magazines published in 2014 and 2015. The result of analysis thereon is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review of the content of advertorial appeared in living magazines, as the main readers of living magazines are women, it could be known that the weight as to beauty and living supplies was high. In addition, we could figure out that companies progressed the advertising top introduce a new brand for the unique purpose of advertising rather than emphasizing the images of the companies by introducing the flow of trend like culture or lectures. Second, as for components of layout of advertorial run in the living magazine, chiefly 50:50 ratio composition and achromatic color, general text, symmetrical balance with Hangeul were chiefly much used, so it appeared that they highlighted the recognition of articles rather than more strongly and reflected the characteristic of advertorial. Third, it appeared that the message type of advertorial appearing in the living magazine used rational message types more than emotional message types. As seen in the result of analysis by the content, this suggests that the advertorial of the living magazine mainly aims to introduce a new brand and presents a priority to relay a detailed introduction of the products.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in figuring out the layout property and appeals type of magazine advertorial run in a living magazine unlike previous preceding researches. Nonetheless, owing to the limit of time for the progress of the research, we attempted the analysis targeting only a part of living magazines instead of the whole magazines and there is a limit in generalizing the result of analysis into all the magazines. In future, our study raises the necessity to grasp layout property and appeals type of advertorial by analyzing varied magazines by the type.

광고를 접하는 소비자들은 대부분 광고 문구를 회피하는 성향이 있어 신문과 같은 인쇄매체의 경우 기사에만 주로 관심을 가질 뿐 하단의 광고나 전면광고에는 관심을 주지 않고, 잡지를 볼...

광고를 접하는 소비자들은 대부분 광고 문구를 회피하는 성향이 있어 신문과 같은 인쇄매체의 경우 기사에만 주로 관심을 가질 뿐 하단의 광고나 전면광고에는 관심을 주지 않고, 잡지를 볼 때에도 광고가 실려 있는 페이지는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소비자들이 광고를 회피하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사람들의 관심을 확보하기 위해 제품과 브랜드 홍보 전략을 세우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이러한 광고홍보의 새로운 전략으로 등장한 애드버토리얼은 광고와 언론 매체의 장점을 융합한 것으로 기사와 같은 편집방식으로 광고가 게재된다. 따라서 뉴스나 기사에 몰입하여 능동적인 정보처리를 하는 수용자는 애드버토리얼 역시 뉴스나 기사로 인식하고, 애드버토리얼 메시지에 주목한다. 지금까지 진행된 애드버토리얼 관련 연구는 대부분 신문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본 연구는 한국 리빙 스타일 잡지로서 선두를 유지해오고 있는 '메종', '행복이 가득한 집‘, ‘CASA 리빙’ 3가지 종류의 리빙 잡지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애드버토리얼의 내용별, 애드버토리얼의 레이아웃 구성요소별, 소구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6년 2월 10일부터 2016년 4월 10일까지 2014년과 2015년에 출간된 3가지 종류의 잡지에 게재된 애드버토리얼 1,134건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빙 잡지에 나타난 애드버토리얼의 내용을 살펴본 결과, 리빙 잡지의 주 구독자가 여성들인 관계로 뷰티와 생활용품에 대한 비중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화와 강연과 같은 트렌드 흐름을 소개하여 기업의 이미지를 강조하기 보다는 광고의 고유 목적, 즉 새로운 브랜드에 대한 소개를 목적으로 광고가 진행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리빙 잡지에 게재된 애드버토리얼의 레이아웃의 구성요소로 주로 50:50 비율 구성과 무채색, 일반 텍스트, 국문과 대칭적 균형이 주로 많이 사용되어 광고보다는 기사라는 인식을 보다 강하게 부각시켜 애드버토리얼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빙 잡지에 나타난 애드버토리얼의 소구유형은 감성적 소구유형보다는 이성적 소구유형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용별 분석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리빙 잡지의 애드버토리얼이 새로운 브랜드 소개를 주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세밀한 소개를 우선으로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리빙 잡지에 게재된 잡지 애드버토리얼의 레이아웃 특성과 소구유형을 파악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 진행을 위한 시간적 한계로 인해 잡지 전체가 아닌 일부 리빙 잡지만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기 때문에 분석 결과를 잡지 전체로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종류별로 다양한 잡지를 분석하여 애드버토리얼의 레이아웃 특성과 소구유형을 파악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