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디자인 사업의 디자인 정책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서울디자인재단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정책은 공공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정부의 행동방침으로, 법률·정책·사업·사업 계획·정부 방침·정책 지침·결의 사항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서울시에서는 디자인 정책에 따른 디자...

정책은 공공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정부의 행동방침으로, 법률·정책·사업·사업 계획·정부 방침·정책 지침·결의 사항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서울시에서는 디자인 정책에 따른 디자인 사업을 시행함으로써 사회 문제 해결과 더불어 서울 시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그중 서울시장 직속 기관인 ‘서울디자인재단’을 대상으로 진행한 디자인 사업을 살펴봄으로써 당시 강조한 디자인 사업뿐만 아니라 디자인 정책과의 상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사회적 이슈의 영향으로 등장하게 된 디자인 사업 및 디자인 정책을 파악하는 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재단이 설립된 후, 실제 업무를 수행한 2009년부터 최근 2015년까지의 디자인 사업 결산 금액을 높은 순으로 나열하여 당시 비중 있게 다룬 디자인 사업에 대해서 짚어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업 유형과 수행 주체를 기준으로 분석 틀을 만들어 각각의 디자인 사업의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사업의 경우, 오세훈 서울시장이 집권한 2009년부터 2011년까지와 박원순 서울시장이 역임한 2012년부터 2015년까지 기간 동안 사업 성격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12년 이전에는 유형 요소를 지향하며, 기관 주도적인 사업의 비중이 높았던 반면, 2012년 이후부터는 무형 요소를 지향하며, 시민 참여형 사업 비중이 많아졌다. 이러한 디자인 사업은 당시 서울시장의 공약 및 디자인 정책과 관련이 있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서울디자인백서’와 ‘서울디자인서베이’ 등의 참고문헌과 서울시장의 공약을 참고하여 디자인 사업과 정책과의 상관성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적 이슈와 연관되어 등장하고 사라지는 디자인 사업 및 정책을 파악하기 위해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 이슈 등을 조사하여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는 도시 기반을 설립하기 위한 정책에서 시민 참여를 이끌어내는 정책으로의 변화를 꼽을 수 있다. 두 번째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는 서울시 브랜드 알리기 위한 정책을 더욱 활발히 진행하였다는 점이다. 세 번째로 2012년부터는 시민과의 소통을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이 활발히 시행되었다. 마지막으로 유형에서 무형 요소로의 사업 변화를 통해 보다 참여를 이끌어내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과 관련된 영역에 서울시 디자인 정책과 사업에 힘을 모으고 있다는 점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Policies are a course of action by the government to solve public problems. It appears in the form of legislation, policy, business plan, government policies, resolution, and policy guidelines. Seoul City has tried to solve social problems and improve...

Policies are a course of action by the government to solve public problems. It appears in the form of legislation, policy, business plan, government policies, resolution, and policy guidelines. Seoul City has tried to solve social problems and improve the quality of Seoul citizen life by carrying out the design projects according to the design polic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at recent design policies and projects affected by social issues and examine one of design projects which were conducted by Seoul Design Foundation (directly responsible to Mayor) to see the correlation between design projects and the design policies back then. The design projects has been conducted by Seoul Design Foundation since its foundation in 2009. To identify significance level of conducted design projects and its relation to design policy, the author reviewed respective projects by filtering its budget and annual accounts of each year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from 2009 to 2015). In the case of design projects, the author created an analysis framework based on the type of business and main performers to identify the character of each design projects. It showed distinct difference and change in the nature of the design projects depending on the mayor over the period of presidency. From 2009 to 2011, Oh Se-hoon was a former seoul mayor and Park Won-soon is currently working as a Seoul mayor from 2012.For example, Seoul city aimed at tangible objects and company or institutions which played a major role in leading business before 2012, on the other hand since 2012 Seoul city has pursued intangible elements and conducted citizen-centered projects. It was found out those design projects were related with the mayors’ election pledge as well as design policies. We tried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sign projects and policies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books titled ‘Seoul Design Report’, ‘Seoul Design Survey’ and the commitment of the seoul mayor. Also we studied related issues in politics, economy, social and culture in order to identify design policies and projects which life cycle were affected by social issue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ing. First of all, we could find the design policy model has been transformed from public administration for civil infrastructure to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 Secondly, we could see that past design policies from 2009 to 2011 had focused on reinforcing the city branding as Seoul city wanted to make better publicize itself. And third finding was that design policy has been actively delivered to solve social problems via communication with citizen. Lastly we could confirm that Seoul city has more committed to creating design policies and projects in area of program and system which can empower citizen to participate more by changing business nature via pursuing intangible factors over tangible asset.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