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사양성기관에서의 전통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pre-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s new light has recently been shed on culture and art education, multilateral contents of art 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pre-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s new light has recently been shed on culture and art education, multilateral contents of art education are included in kindergarten curriculums and Nuri curriculum. In order for pre-school teachers to give Korean traditional art education to children effectivel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 it is first of all necessary to give desirable education to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in pre-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re-school teachers' recognition and status of Korean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pre-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d provide basic data concerning a desirable direction for Korean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pre-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 do thi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First, does pre-school teachers' general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 education differ by variables? Second, does recognition of the direction and status of Korean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pre-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differ by variable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list of subjec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Korean traditional art education at universities and two- and three-year colleges nationwide, as revealed by the College Information Notification Center, was investigated; literature was reviewed in terms of the results and theories related to the theme of this study;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1.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drawn: First, pre-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Korean traditional art education could improve self-esteem as to our emotions and the nation. Teachers at higher education levels were more likely to suggest that Korean traditional art education should start to be given in pre-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Most teachers suggested the need of Korean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y said this was because Korean traditional art education might be required to deliver young children culture specific to Korea. Teachers working at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s, teachers working in eups and myeons, teachers as graduate school graduates, and vice-principals took significantly more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art education than the other variables. This is because the majority of pre-school teachers pursue a good sense of culture and identity establishment. In Korean traditional art education, pre-school teachers had some knowledge of Korean traditional art and music but had no knowledg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eachers working at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s had more knowledg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an those at private kindergartens. Teachers who were university graduates had more knowledg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art education. Second, pre-school teachers suggested the need to prepare subjects for Korean traditional art, supervisors and teaching methods, professional lecturers' general and special lectures, private group training, and teaching materials and facil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However, Korean traditional art education was not provid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hile most pre-school teachers studied there. Korean traditional art education, though it was contained in a curriculum, was an irregular course, not a regular one, and professional lecturers rarely gave general or special lectures. It was mostly given through a single cour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private group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art for pre-school teachers rarely participated in training.

본 연구는 유아교사양성기관에서 전통예술교육대한 유아교사인식을 분석한 것이다. 최근 문화예술교육이 새롭게 부각됨에 따라 유치원 교육과정과 누리과정에서 예술교육에 대한 내...

본 연구는 유아교사양성기관에서 전통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것이다. 최근 문화예술교육이 새롭게 부각됨에 따라 유치원 교육과정과 누리과정에서 예술교육에 대한 내용을 다각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교사들이 전통예술교육을 유아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에서부터 예비유아교사들에게 바람직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양성기관에서 전통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와 앞으로 유아교사양성기관에서 전통예술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일반적 인식은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 전통예술교육에 대한 실태와 방향에 대한 인식은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대학정보공시센터’에서 전국 4년제, 2-3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전통예술교육과 교과목 개설현황을 알아보고,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 결과와 이론들을 중심으로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21 버전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유아교사들은 전통예술교육이 우리 정서와 우리 민족에 대한 자긍심을 심어주는 것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전통예술에 대한 교육이 유아교사양성기관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사들이 전통예술교육이 유아교육기관에서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 이유는 유아들에게 우리나라 고유의 문화를 전달해주기 위해 전통예술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국공립유치원과 읍면지역에서 근무하거나 대학원을 졸업한 교사들, 원감의 경우 다른 변인보다 전통예술교육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았다. 그 이유로는 올바른 문화 의식과 정체성 확립 의식이라고 생각하는 유아교사들이 많았다. 전통예술교육에 대해 유아교사들은 전통미술과 음악의 경우 어느 정도 알고 있었지만 전통무용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고 있었다. 국공립유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은 사립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보다 전통음악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었다.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한 교사들은 전통음악, 미술교육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유아교사양성기관에서 전통예술에 대한 교과목 개설, 지도 교수 및 교수법, 전문 강사의 강연 및 특강, 민간단체의 연수, 교육자료 및 교육시설 등의 개설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하지만 유아교사들의 대부분이 유아교사양성기관에 재학하고 있을 당시 전통예술교육의 실태를 살펴보면, 유아교사양상기관에서 전통예술교육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전통예술에 대한 교육이 교육과정에 편제되어 있더라도 정규 교육과정이 아닌 비정규 교육과정에 편제되어 있었으며, 전문 강사의 강연이나 특강 또한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교사양성기관의 경우 대부분 1개의 강좌였으며, 예비유아교사들의 전통예술과 관련된 민간단체의 연수 참여도 많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