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research study, using the habitus and champ theories of Pierre Bourdieu (1930-2000), the issues of the social vicious cycle that are repeatedly manifested in the works of the researcher from 2010 to 2015 are explained. Also through description...
In this research study, using the habitus and champ theories of Pierre Bourdieu (1930-2000), the issues of the social vicious cycle that are repeatedly manifested in the works of the researcher from 2010 to 2015 are explained. Also through description and analysis on the works of previous artists and of the researcher, this research study examines the role and influence of allegories in our modern society.
The researcher modelled her emotions and thoughts from her experiences by using metaphors using other objects and living organisms. During this process, the greatest focus was on discovering what social problems were observed to be repeatedly manifested in our times. This process was conducted while relying on personal subjective interpretation, and through the realization that there were shortcomings in the research due to a lack of objective judgement criteria, a method to overcome this was explored.
In section 2 of the research study, the influence that experiences dependent on social rank and education have on individuals and ‘habitus’, which was created through this process, are objectively described. This is animated within the inner existences of individuals, and when outwardly expressed, through the process of composing social structure, ‘champ’ is also described. Also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legories of traditional literature and also the history of allegories that are manifested in art, the modern theory on allegories that are applied to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re explored.
In section 3, through the allegorical proces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ve and through the novel ‘Animal Farm’ by George Orwell, who is a pioneering researcher on the methods above, the method of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author being applied to their own works is explained. Based on this research, the process during social self-reflection on the works of the negative perspectives and dark images being converted into <City Life> and <Unnatural Death>, which are works of the researcher, are described. Also the researcher’s perspective and the social perspective of the frog in the work are described, and the process of the critical thinking logic, which is deduced from linking the works, being transferred to the concept of reflection is explained.
In section 4 of this research study, through the subjective analysis of the personal <cover> exhibition by the researcher, the violence that the tool ‘language’, which is a symbolic power that makes people desire the familiarity of everyday, has is criticized, and the errors in the evaluating criteria based on this are pointed out. Based on this research, the subjective meaning and the allegory of the kidult and pla model manifested in the <Moonlight mile>exhibition are described. Also the process of overcoming social repression and stress through the rebellious tendencies of the artist are described through Storytell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tudy describe the reasons that the work was born out of a negative perspective while describing the ethical tendencies created out of this process and discussed the professional utopia strived for by the researcher. Through this research, the possibility of the allegorical process serving a role as a buffer or one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social ranks or within one social rank is examined.
본 연구는 2010년-15년까지 진행된 연구자의 작업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사회적 악순환에 대한 문제점들을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 1930-2000)의 아비투스(habitus)와...
본 연구는 2010년-15년까지 진행된 연구자의 작업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사회적 악순환에 대한 문제점들을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 1930-2000)의 아비투스(habitus)와 장(champ)이론을 통해 설명한다. 또한 기성작가들과 본인의 작업분석 및 진술을 통해 현대사회 속에 알레고리작업의 역할과 효과에 대해 모색하는 논문이다.
연구자는 경험을 토대로 느껴지는 감정과 생각을 다른 생물과 사물을 통해 은유적으로 모형화 하는 작업을 진행해 왔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점을 두었던 것은 동시대를 관찰하며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사회적 문제들이 무엇인지 찾는 것이었다. 이것을 개인의 주관적 해석에 의지하여 작업을 진행하였으나 객관적 판단의 부재로 심도 있는 연구가 부족함을 깨닫고 극복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 2장에서는 사회적 계급과 교육에 의한 경험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 된‘아비투스’가 어떤 것인지 객관적 자료를 통해 기술한다. 이것이 개인내면에 작동하여 외부로 나가 사회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장’을 설명해 나간다. 또한 전통적 문학의 알레고리가 가진 특징과 미술에 등장한 알레고리의 역사에 대해 알아본 후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문화에 적용되는 근대 알레고리이론을 되짚어본다.
본문 3장에서는 위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알레고리 작업이 창작되는 과정과 이러한 방식의 선행연구자인 조지오웰의 소설 동물농장을 통해 작가의 사회적 배경이 작업에 적용되는 방식을 설명한다. 이 연구를 중심으로 본인의 작업<Cty Life>와 <Unnatural Death>의 사회적 자아성찰과정 중 형성된 부정적 시각과 어두운 이미지가 작업으로 전화되는 과정을 진술한다. 또한 작품 속의 개구리가 가진 연구자의 관점과 사회적 관점에 대해 기술하고,韩语论文网站, 작업의 연계에서 도출되는 비판의식 논리가 반성의 개념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문 4장에서는 연구자의 개인전<cover>의 주관적 분석을 통해 일상의 익숙함을 추구하게 만드는 상징적 권력의 도구 ‘언어’가 가진 폭력성에 대해 비판하며, 이로 인해 생겨나는 판단기준들에 오류가 있음을 지적한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Moonlight mile>전에 나타나는 키덜트(kidult)와 프라모델 작업에 주관적 의미와 알레고리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사회적 억압과 스트레스를 예술가의 반항적 기질을 통해 극복하는 과정을 스토리텔링(Storytelling) 형식으로 진술한다.
결론은 부정적인 시각에서 출발한 작업의 이유와 이로 인해 생성되는 도덕적 성향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본인이 추구하는 작업의 이상향에 대해 논의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알레고리 작업이 사회 계층 간 또는 계층 내에서 하나의 소통방식이자 완충 역할로서의 가능성을 고찰한다.
,免费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