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언어생활에 나타나는 한국어 말하기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인 결혼이민자의 언어생활 중 의사소통 대상에 따른 특성과 발화...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언어생활에 나타나는 한국어 말하기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인 결혼이민자의 언어생활 중 의사소통 대상에 따른 특성과 발화구성상의 특성, 의사소통 전략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결혼 이주 여성들을 대상으로 말하기 특성 분석을 하기 위해 예비 실험과 본 실험으로 나누어서 2차로 진행하였다. 먼저 예비 실험은 결혼 여성의 일반적인 언어생활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국인 결혼이민자 25명과 한국 결혼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추가로 중국인 결혼이민자 10명과 한국인 결혼 여성 2명의 인터뷰를 하였다. 예비 실험을 바탕으로 결혼 여성의 언어 사용 양상 중 빈도가 높게 나타나거나 표현의 난이도가 높은 담화 상황을 파악하였다. 2차 본 실험에서는 중국인 여성 결혼이민자 10명과 한국인 결혼 여성 10명을 직접 면담하고, 예비 실험을 통해 파악된 의사소통 대상에 대한 특성이나 대화 목적에 따른 특성을 반영하여 언어 역할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장면은 녹화하여 대화 내용과 모습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인 여성 결혼이민자는 가족 중 의사소통 대상이 달라도 같은 수준의 높임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비격식체인 '해요체'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해체’를 사용하는 경우도 간간히 나타났다. 가족 호칭어는 대부분 맞게 사용하였지만 대화 대상에 따라 남편의 호칭을 정확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상황에 따른 말하기 특징은 한국 결혼 여성보다 더 단정적이고 직접적인 발화 특성이 많이 나타났다. 자주 사용하는 의사소통 전략도 몸짓이나 표정 등 비언어적 표현이나 담화 표지, 도움요청, 반복, 자기수정 등이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중국인 여성 결혼이민자 말하기 특성을 분석하였다. 가족 구성원과의 원만한 의사소통이 중국인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 생활 적응이나 안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중국인 여성 결혼이민자의 말하기 특성 연구는 중국인 여성 결혼이민자 개인이나 다문화 가정 구성원 모두의 언어생활에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isclose characteristics of speech that can be found in the use of Korean language by Chinese marriage immigrants. In the study the usage of Korean language in their daily life was analyzed, and in particular characteristics in re... This study aims to disclose characteristics of speech that can be found in the use of Korean language by Chinese marriage immigrants. In the study the usage of Korean language in their daily life was analyzed, and in particular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listener, characteristics of speech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strategies were examined.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 of the Chinese marriage migrants a preliminary experiment and a final experiment were conducted in the study. In the preliminary experiment a survey was conducted on 25 Chinese marriage migrants and 10 married Korean women. Also,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10 Chinese marriage migrants and two married Korean women. In the final experiment 10 Chinese marriage migrants and 10 married Korean women were directly interviewe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were as follows. Chinese marriage migrants tended to use honorific expressions regardless of the object of communication in the family. In particular, they preferred to use the informal ‘해요체’ and there were also cases where ‘해체’ was used. Most of them were able to call their family members by their proper title, yet in many cases they were unable to use the proper title for their husband. In comparison with the married Korean women, the Chinese marriage migrants were more likely to use conclusive and direct speech. Moreover, other communication strategies, such as non-verbal expressions or gestures, asking for help, repetition, self-correcting and others were also used often.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speech of Chinese marriage migrants. Communication with other family members plays a critical role in their life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has a great significance both for individual Chinese marriage migrants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 general.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