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선어말어미는 시제, 상, 양태 의미를 나타내며 여러 개가 나란히 결합되기도 한다. 이렇게 의미와 형태가 복잡한 선어말어미는 특히 상 언어이자 고립어인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의 선어말어미는 시제, 상, 양태 의미를 나타내며 여러 개가 나란히 결합되기도 한다. 이렇게 의미와 형태가 복잡한 선어말어미는 특히 상 언어이자 고립어인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들의 경우 습득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선어말어미의 시제, 상, 양태 의미의 습득 순서와 양상, 그리고 선어말어미 결합 구조의 습득 순서와 양상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선어말어미의 시제, 상, 양태 의미 습득과 의무 양태, 인식 양태 의미 습득에 대한 것이었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선어말어미 두 개 혹은 세 개가 결합한 구조의 습득에 대한 것이었다. 그리고 두 연구 문제 모두 숙달도 변인이 작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먼저 시제, 상, 양태의 개념과 체계를 정리하였다. 이어서 시제, 상, 양태의 습득과 관련된 이론과 가설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시제, 상, 양태가 어떻게 실현되는지 한국어 선어말어미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시제, 상, 양태 선어말어미 결합의 순서, 원리, 제약을 논의한 후 선어말어미 결합 구조들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어말어미가 사용된 문장에 대해 문법성을 판단한 후 틀렸다고 판단한 문장은 수정하여 쓰도록 하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60명과 한국어 모어 화자 30명을 표집하고 숙달도 검사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상위 집단 30명과 하위 집단 30명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문법성 판단 검사 결과는 수치화하여 함축도표를 작성하고 이원분산분석과 사후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학습자들은 ‘-었-’의 시제, 상, 양태 의미 순으로 습득하며, 숙달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겠-’의 의무 양태, ‘-겠-’의 인식 양태, ‘-더-’의 인식 양태, ‘-었-’의 인식 양태 순으로 습득하며, 숙달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셋째, 학습자들은 인접한 두 선어말어미의 의미가 유사한 ‘-었었-’, ‘-었더-’를 먼저 습득하고, 의미가 충돌하는 ‘-었겠-’, ‘-겠더-을 나중에 습득하며, 이때 숙달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넷째, 학습자들은 인접한 세 선어말어미들의 의미가 유사한지 충돌하는지에 상관없이 ’-더-‘가 결합되지 않은 ‘-었었겠-’을 먼저 습득하고, ‘-더-’가 결합된 ‘-었었더-’, ‘-었겠더-’를 나중에 습득하며, 이때 숙달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들은 과거시제 의미는 습득하였고 선어말어미 결합 구조는 습득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학습자의 모국어에 없는 목표어의 범주가 언어 보편적이면 습득이 가능하며, 목표어의 범주가 언어 특수적이면 습득이 어려움을 시사한다. 또한 학습자들은 인식 양태를 잘 습득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더-’를 습득하지 못해 ‘-더-’가 포함된 결합 구조에서는 다른 선어말어미들을 통해 그 의미를 파악하지만 ‘-더-’가 홀로 사용된 경우에는 그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였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교육적 시사점과 연구의 의의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가 교육적으로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와 의미 기능이 일대다의 관계를 목표 문법은 핵심 의미를 먼저 교수한 후 다른 의미들이 등장했을 때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둘째, 인식 양태는 명시적으로 의미를 설명하고 충분한 용례를 제시하며 학습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셋째, 문법 형태소의 결합 구조는 충분한 입력을 제공하는 한편 학습자가 이해에서 생산의 단계까지 갈 수 있도록 교수해야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시제, 상, 양태, 세 범주를 아울러 논의를 진행하였다. 둘째, 선어말어미 결합 구조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규명하였다. 셋째, 언어 유형학적으로 한국어와 다른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모국어에 따른 제2언어 습득의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넷째, 정적인 측면과 동적인 측면을 함께 살펴보았다. 앞으로 다른 언어권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과제를 통해 학습자의 이해와 생산의 측면을 다각적으로 관찰하는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