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기본 미각어 '달다, 쓰다, 짜다, 시다, 맵다'류의 고빈도 미각 고정표현을 가르치고자 한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의 특성에 맞게 효과적인 ... 본 논문은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기본 미각어 '달다, 쓰다, 짜다, 시다, 맵다'류의 고빈도 미각 고정표현을 가르치고자 한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의 특성에 맞게 효과적인 교육방안을 제안하였고, 또한 이러한 교육방안을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되면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의미론적 측면 및 비교 언어학적 측면에서 한⦁중 미각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으며, 본 논문의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도 함께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한⦁중 양 언어의 미각어에 대한 기본적 논의를 살펴보았다. 우선 한⦁중 사전 및 선행연구에서의 미각어에 대한 정의를 정리하였고, 그 미각어의 정의 에 대한 공통점 및 차이점을 밝혔다. 또한 미각어의 형태적 특징 및 의미적 특징을 함께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달다/甜'류, '쓰다/苦'류, '시다/酸'류, '짜다/咸'류, '맵다/辣'류를 중심으로 한⦁ 중 미각어의 파생의미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한⦁중 미각어의 파생의미들은 그 대응 양상에 차이점이 드러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그 파생의미로 구성된 한⦁중 미각 고정표현을 비교하여 서로 간의 대응관계를 밝혔다. 4장에서는 먼저 교재 분석을 통해 한국어 미가 고정표현의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찾았다. 분석함을 통해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파생의미 및 미각 고정표현에 대한 교육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고빈도 미각 고정표현의 학습 목록을 추출하였고, 또한 중국인 고급 학습자들의 한국어 미각 고정표현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하였다. 그 후에 한국어 미각 고정표현을 난이도별로 나누었다. 이 미각 고정표현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하여 한⦁중 대조를 토대로 공기관계 및 맵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5장에서는 4장에 제시된 한국어 미각 고정표현의 교육방안은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되면 효과가 있는지 검증한 내용이다. 우선 본 논문의 실험 대상을 각각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었고, 그리고 실험 절차를 설계하였다. 이어서 통제집단 및 실험집단의 수업 모형 및 수업 강의안을 작성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지를 통해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에 따라 실험집단에게 한⦁중 대조를 토대로 공기관계 및 맵을 활용한 교육방안은 통제집단의 일반적 교육방안보다 더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6장은 결론 부분으로, 본 논문의 논의를 요약하고 본 논문의 의미와 한계점을 밝혔다. 이어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미각 고정표현의 교육 방안을 부록의 형식으로 첨부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 고정표현에 대한 교육이 중요하게 강조된 것은 많은 선행연구에서 반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파생의미 및 미각 고정표현에 대한 교육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한⦁중 미각 고정표현 간의 차이점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미각 고정표현의 학습이 체계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본 논문을 시작하여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실용적 교육 방안을 모색했다는 데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그러나 실제 다양한 한국어 미각어들을 모두 다루지 못한 점과 제안된 교육방안은 실제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과 겹치는 부분이 있지만 중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 미각 고정표현을 학습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고 검증하였다. 앞으로 미각 고정표현에서 외국인 학습자에게 재미있고 효율성이 높은 자료를 구축하고 학습자에게 쉽게 배울 있고 잘 기억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방안을 많이 연구해야 할 것으로 바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korean pragmatic conventional expressions of flavors for chinese advanced learners. An analysis is done in Chapter Ⅲ by centering about the extended meaning of five basic flav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korean pragmatic conventional expressions of flavors for chinese advanced learners. An analysis is done in Chapter Ⅲ by centering about the extended meaning of five basic flavors "sweet", "bitter", "sour", "spicy", "salty" and focusing on contrastive analysis of pragmatic conventional expressions of five basic flavors in Korean and China. Chapter Ⅳ was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high frequency of korean pragmatic conventional expressions and about teaching methods. Firstly, analyze the textbooks designated by the main South Korean education authorities. it was tuned out that the education about korean pragmatic conventional expressions of flavors had not yet taken place currently. Secondly, select highly used korean pragmatic conventional expressions of flavors lists for chinese advanced learners. Meanwhile, a questionnaire survey i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and demand for korean pragmatic conventional expressions of flavors. And according to the level of difficulty sorted korean pragmatic conventional expressions of flavors. In ChapterⅤ, based on the observation done before, it does the search about education programs of korean pragmatic conventional expressions of flavors, which is subjected to Chinese leaners. In the real educational class, educational effect is measured through a test in which Chinese learner were educated with the method of korean pragmatic conventional expressions of flavors. Finally Chapter is the conclusion part, which concludes the argument of this research and points out the meaning and shortcomings of this research. An education proposal for chinese advanced leaners who study South Korean is put forwards in the appendix. This research realizes the difficulties that Chinese learners will meet while learning korean pragmatic conventional expressions of flavors in South Korean and tries to solve these problems in practical teaching. This research is dedicated to find out the ways suitable for South korean education scenes in the process of contrasting. However, the research has shortcomings such as the teaching method had been used in practical education, be limited to five basic flavors, etc. which are expected to be studied in the future.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