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을 활용한 북한이탈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영향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targets North Korean escapee students born in China and currently living in Korea and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their self-efficacy that significantly affects the future life as well as adaptation in South Korea, and utilizes Nanta Acti...

This study targets North Korean escapee students born in China and currently living in Korea and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their self-efficacy that significantly affects the future life as well as adaptation in South Korea, and utilizes Nanta Activity(a type of drum play) as a coordination tool for music therapy. Given that the escapee students are unfamiliar with Korean language, it is assumed the activity using human body language, tapping, and sound which they can express their emotion with would be helpful. On this, researcher develops music therapy program that the dance music preferred by young generation and Nanta are combined to see how it influences on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Total 14 students at the age 13~18 in full who attend alternative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in 10 times of therapy program during 4 months from April to July. 2016. To collect data of changes in self-efficacy, the object of study answered questionnaire on subjective self-efficacy score before and after Nanta activity program. On top of this, researcher focuses on individual activity detected by questionnaire during 10 times of therapy program to see how the self-efficacy has changed as each session goes on. In addition, researcher expects that the group character of Nanta activity would enforce the homogeneity among participants and eventually the gap of self-efficacy among them be decreased. And the results are as below. It is turned out that Nanta activity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of participants in general. The difference of score based on subjective questionnaire done by participants shows significant increase in 2 out of 3 subcategories of self-efficacy, which are self-confidence and self-control efficacy. As for the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no meaningful result is found statistically, however, the score i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index barometer of researcher shows significant increase of self-efficacy in above three subcategories. Unlike the expectation that Nanta group activity would reduce the score gap among students, the deviation among the objective of study shows higher level after the activity. It can be analyzed that the participation in Nanta activity does not intensify the difference, but the individual student has their own pace of adaptation in spite of the increase of average score. Therefore, long-term participation can lead to the additional increase of self-efficacy. This result fits the original hypothesis that music therapy using Nanta would be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of North Korean escapee students. In the future, music therapy using Nanta can be applicable not only to North Korean escapee students, but to the wider range of patients. Therefore, further study is necessary regarding the issue.

본 논문은 현재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 태생의 북한이탈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남한 내 적응 및 이후 삶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자기효능감 향상에 중점을 두고 북놀이의 일종인 난...

본 논문은 현재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 태생의 북한이탈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남한 내 적응 및 이후 삶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자기효능감 향상에 중점을 두고 북놀이의 일종인 난타활동을 음악치료의 중재도구로 활용하였다. 특히나 이들은 아직 한국어가 서툰 관계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또 다른 방식인 몸동작과 두드림과 소리를 이용한 활동이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젊은 세대들이 좋아할 수 있는 댄스음악을 난타와 결합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 이 활동이 자기효능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한 대안학교의 만 13-18세 학생 14명으로 수업은 2016년 4월에서 7월까지 4개월 간 총 10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자기효능감 변화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난타활동 프로그램 전후로 참여자들의 주관적인 자기효능감 점수를 척도지 검사를 통해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주관적인 효능감 변화에 더해 연구자 역시 총 10회에 걸쳐 학생들 개개인의 활동에 주목, 그들의 자기효능감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매회 측정한 척도지를 통해 확인해보았다. 이에 더해 연구자는 난타활동의 집합적 특성이 회를 거듭할수록 참여자들 사이의 동질성을 강화, 그들 사이의 자기효능감 차이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척도지 검사를 기반으로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타활동은 참여자들의 전반적인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참여자들의 주관적인 척도지 검사를 기반으로 한 참여 전후의 점수차이는 자기효능감의 세 하위범주 중 자신감과 자기조절 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과제난이 선호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역시 점수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연구자의 척도검사표 결과는 이 세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자기효능감 증대를 보여주고 있다. 집합적인 활동으로서 난타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학생들 사이의 점수차이를 줄여줄 것이라는 연구자의 예상과는 반대로 학생들 사이의 편차는 활동 후 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난타활동의 참여가 학생들 사이의 이질성을 증대시킨다기보다는 전체적인 평균점수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학생들 사이의 적응속도가 차이를 보인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보다 장기적인 참여를 통해 추가적인 자기효능감 상승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이러한 결과는 난타를 활용한 음악치료가 북한이탈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본 연구의 예상에 부합하는 것이다. 앞으로 난타활동을 활용한 음악치료는 탈북청소년들 뿐만 아니라 탈북자 전반, 혹은 이와 유사한 내상을 겪고 있는 대상들에게 보다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들이 수행될 필요가 절실하다고 하겠다.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