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붐세대 여성의 죽음불안, 죽음준비, 감사성향 및 삶의 질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In Korea, baby-boom generation who were born between 1955 and 1963 combine with an aging phenomenon and they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with social and historical experience as well as population size. Today’s baby-boom gene...

In Korea, baby-boom generation who were born between 1955 and 1963 combine with an aging phenomenon and they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with social and historical experience as well as population size. Today’s baby-boom generation women, in this situation, should be concerned about life satisfaction on their later years and supporting role for their family(elderly parents and youngers) and themselves. Recently, it has been ed many researches about the development of old age, that is, successful aging and adaptation to old age. We stud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eath anxiety, death preparation, gratitude and the degree of quality of life in baby-boom generation women. This study is for offering base data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the baby-boom generation women standard of living. The subjects were enrolled 144 baby-boom generation women who live in more than two administrative district. We used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and several tools such as Collett-Lester’s Fear Death Scale (FODS), Templer’s Death Anxiety Scale (DAS), Thorson and Powell’s RDAS (Revised Death Anxiety Scale), Park’s revisional death anxiety tool, Lee’s death preparation tool, McCullough’s Gratitude Questionnaire-6 (GQ-6) and Kwon’s GQ-6, and Noh’s quality of life measurement tool. The data was collected from February 23rd to March 20th in 2016 and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OVA, Pearson’s correlation with SPSS/WI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death anxiety of the subjects was 2.41 points on average, the death preparation score was 20.10 points on average, the gratitude score was 34.57 points on average, and the quality of life score was 155.69 point on average.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level of subjects and the death anxiety.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ath preparation and the form of pension payments. (t=2.79, p=.006). 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atitude and the level of education (F=6.82, p=.001) and religion. (t=2.49, p=.014). 5.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ife of quality and the level of education (F=5.32, p=.006), the form of pension payments (t=2.38, p=.019), the perceptive economic status (t=-3.75, p<.001), and the perceptive health status (t=-4.89, p<.001). 6.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gratitude and death anxiety (r=-.17, p=.048), the death preparation (r=.29, p=.001), the quality of life (r=.35, p<.001). In conclusion, we found the gratitud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study variables in baby-boom generation women. Based on these results, we would be looking for ways to reduce the death anxiety and to establish a proper mental attitude about the death.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ay continuous attention about improvement of the gratitude and death preparation education as well as professional nursing. To do that, it requires many studies about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in baby-boom generation women. In this ,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ath anxiety, the death preparation, the gratitude and the quality of life. We found the gratitud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baby-boom generation women. Finally, we suggest that the further study which verified the impact factors, and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 which provide the successful later years in baby-boom generation women.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세대는 우리나라의 고령화와 맞물려 있는 인구집단으로서의 크기뿐만 아니라 그들이 경험한 사회적, 역사적 경험이 이전 세대와는 확연히 다르다는...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세대는 우리나라의 고령화와 맞물려 있는 인구집단으로서의 크기뿐만 아니라 그들이 경험한 사회적, 역사적 경험이 이전 세대와는 확연히 다르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따라서 간호사는 오늘날의 베이비붐세대 여성이 노부모와 자녀를 위한 부양역할과 스스로의 길어진 노후를 위한 대비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잡으며 잘 준비해 나아가야 할지, 어떻게 하면 성공적으로 늙어가며 보람 있고 행복한 노후의 삶을 살아갈 것인가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삶의 현장에서 베이비붐세대 여성의 죽음불안, 죽음준비, 감사성향삶의 질 정도와 관계를 파악하여 성숙된 노화의 삶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베이비붐세대 여성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2개 시·군에 거주하는 베이비붐세대 여성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지 조사법이며, 연구도구에서 죽음불안은 Thorson과 Powell (1992)이 수정한 RDAS (Revised Death Anxiety Scale)를 박은경(1995)이 한국인을 대상으로 수정 보완한 죽음불안도구, 죽음준비는 이예종(2005)이 개발한 도구, 감사성향은 McCullough 등(2002)이 개발하고 권선중 등(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한국판 감사성향 척도(K-GQ-6), 삶의 질은 노유자(1988)가 개발한 삶의 질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2월 23일부터 3월20일까지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등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죽음불안은 평균평점 2.41점, 죽음준비는 평균 20.10점, 감사성향은 34.57점, 삶의 질은 155.69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불안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대상자의 죽음준비는 연금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감사성향은 교육정도와 종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삶의 질은 교육정도, 연금형태, 지각된 경제상태, 지각된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감사성향과 죽음불안(r=-.17, p=.048), 감사성향과 죽음준비(r=.29, p=.001), 감사성향과 삶의 질(r=.35, p<.001)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베이비붐세대 여성들의 죽음불안, 죽음준비, 감사성향 및 삶의 질 상관관계에서 감사성향이 죽음불안, 죽음준비, 삶의 질에서 모두 상관관계가 있음을 고려해 볼 때, 감사성향이 중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세대 특성을 고려하여 죽음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형성하고 죽음에 대한 불안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죽음준비도 실질적 죽음준비 뿐만 아니라 죽음준비교육 등 여러 영역에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간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성공적인 노화의 삶을 위한 감사성향의 증진을 위하여 더욱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관심과 행정적 지원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기위해서는 베이비붐세대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각적인 차원에서 접근해 보는 연구와 베이비붐세대 여성들이 성공적인 노후를 보낼 수 있는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