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에 나타난 의사소통전략 분석 : 한국어 모어화자와의 대화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중·고급 한국어를 사용하는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모어화자간의 대화 과정을 채록하여, 이 과정에서 중국인 학습자들의 의사소통전략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전략을 사용하게 ...

본 연구는 중·고급 한국어를 사용하는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화자간의 대화 과정을 채록하여, 이 과정에서 중국인 학습자들의 의사소통전략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전략을 사용하게 된 원인을 밝히고 전략 사용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육에서 말하기 교육이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부분이다. 말하기 중에서도 특히 큰 역할을 하고 있는 부분은 바로 의사소통전략이다. 그러나 현재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의사소통전략과 관련된 연구들이 아직까지 많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일상 상황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화자와 한국어로 대화를 나누는 과정에서 어떤 원인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또한 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어떠한 의사소통전략을 사용하였는지, 그 사용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관련된 연구가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중국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화자의 일상 대화에서 중국인 학습자들이 사용한 의사소통전략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먼저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이 연구의 대상과 방법을 간단하게 제시하였다. 그리고 의사소통 전략 사용 양상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말하기에서의 의사소통전략의 개념에 대한 기존 연구자들의 정의를 살펴본 후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의 의사소통전략의 개념을 다시 정의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들에서 제시한 의사소통전략의 유형도 공통점과 차이점으로 1차 분류하고, 이를 다시 분석하여 2차 분류를 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 절차를 설계하고 본 실험의 실시를 앞서 먼저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다. 예비 시험은 2차 의사소통전략의 분류표를 적용하여 피험자들의 전략 사용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예비 실험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말하기 전략의 분류표를 다시 수정하고 녹음 자료의 질과 양을 확보하며, 본 실험의 피험자 조건을 정한 다음 본 실험을 실행하였다. 본 실험에 쓴 10개의 녹음 자료의 대화를 녹취한 뒤 여러 차례의 분석과 함께 중국인 학습자들이 사용한 의사소통전략의 횟수와 간단한 분석을 함께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본 실험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모어화자와 대화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전략을 사용하게 된 원인을 밝혔다. 그리고 ‘어휘적 요인’, ‘문법적 요인’, ‘상황·맥락적 요인’, ‘시간적 요인’ 이 네 가지의 원인으로 학습자들이 각각 어떤 전략을 사용했고, 이 전략들의 사용이 또한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예문과 설명을 함께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제언도 함께 제시하였다. 현재 한국어교육에서 말하기에 대한 교육을 점점 더 중요시하고 있고, 말하기교육에서의 의사소통전략과 관련된 자료도 많이 필요하므로 의사소통전략의 사용 양상에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mainly aims at analyzing Chinese Korean-language learners' communication strategy with its underlying reason and aspects of using it, tape-recording the conversation between Chinese-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advanced level and native Ko...

This study mainly aims at analyzing Chinese Korean-language learners' communication strategy with its underlying reason and aspects of using it, tape-recording the conversation between Chinese-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advanced level and native Korean speak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peaking is the most fundamental and crucial part, and it is the communication strategy that constitutes the biggest part in speaking. However, so far few studies regarding the communication strategy have been conducted, namely, what poses the biggest problem to Chinese Korean-language learners in daily conversation and what kind of strategy they choose to overcome the difficulty, and how it is practiced in real life are questions that have hardly been asked. Therefore in this study, analysis of the way the tactics are used in conversations betwee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Korean learners comes into action. Firstly, in chapter one,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are stated with the object of the study along with its methodology. Then the study continues to examine the previous studies that cover different aspects of strategies of communication. In chapter two, the communication strategy is redefined after examining definitions in precedent studies. Furthermor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strategies in previous studies are assorted here by common points and difference, and after that,the secondary assortment is made through a more accurate reanalysis. In chapter three, after designing the study, a preliminary experiment before the actual one is conducted. This preliminary experiment is an analysis of participants' use of strategy in light of the classified table that is concluded from the secondary assortment mentioned above. Afterward, the classfied table is adjusted slightly, ensur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recording materials along with setting up conditions necessary for the participants of the actual experiment. Later in the texts, ten recording materials used in the actual experiment are dictated in the pages. After multiple examinations of them, the frequencies of each strategy and a brief analysis of the result are attached. In chapter four, it clarified the reason for using the strategy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actual experiment. Meanwhile, using "vocabulary factor", "grammar factor", "occasion and context factor" and "temporal factor", it also lays out the strategies each learner opted for and what other aspects they could possibly have in distinct contexts alongside examples and explanations. The final chapter five, summarizes the result of the study and suggests how this could be applied in future oral education of Korean. The oral section of Korean education is gathering more weight recently, and since it requires plenty of references of communication strategies, further relevant researches are required.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