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used the traditional story culture as a plan to form the dynamic interaction in the classroom while providing abundant and diverse 'Korean speaking and listening' activitie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site.
Hereupon, in chapter 2,...
This used the traditional story culture as a plan to form the dynamic interaction in the classroom while providing abundant and diverse 'Korean speaking and listening' activitie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site.
Hereupon, in chapter 2, the entire interaction aspect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narrator, listener, story, and story board on the basis of the Shuram's communication model with 'Story containing story' in order to extract the interaction aspect of the traditional story culture. As a result, the narrator used the story to persuade the listeners effectively and listeners interpreted the story according to their situational context. It was confirmed the story exchanged by the narrator and listeners contained the joy and information element, the rigorous atmosphere could be converted through the joy elements of the story and the sympathy could be formed by sharing the sympathy the narrator felt with others. Also, when the knowledge was structured into the story to deliver, the narrator was interested in that knowledge and a firm belief of having a value was delivered together, the listeners were influenced by him. The motive that listeners acquired the knowledge was arranged through the story that personalized the information element. Finally, the story board which was an entire frame of the interaction was examined intensively. The process aspect of the group intelligence formation could be confirmed.
In chapter 3, the utility to apply the interactivity of the traditional story culture to the Korean language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was discussed based on the chapter 2's analysis. Three types of utility could be deducted: first, utility as the material of the Korean language speaking and listening activity, second, utility as the teacher's conversational method, third, the utility from the learner-oriented teaching method. First, the utility as the material of the Korean language speaking and listening activity could provide the in-depth and practical Korean language speaking and listening activity, second, the utility as the teacher's conversational method could contrive the teacher's conversational method who could attract the classroom atmosphere that the sympathy was formed and could let learners feel interest in learning and participate in it autonomously. Finally, the utility from the learner-oriented teaching method provided the learner-oriented education model that learners could exchange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establish the collective intelligence by forming the learning community to share their stories.
In chapter 4, the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was suggested as a case to use the three utilities practicall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site. Adult learners possessing the Korean language skill level 4~6 were selected as ideal learning targets based on the basis of the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 criterion' at the Korean language examination test, and three types of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s were suggested each according to three utilities, and the teaching-learning plan was presented more concretely.
In chapter 4, the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was suggested as a case to use the three utilities practicall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site. Adult learners possessing the Korean language skill level 4~6 were selected as ideal learning targets based on the basis of the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 criterion' at the Korean language examination test, and three types of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s were suggested each according to three utilities, and the teaching-learning plan was presented more concretely.
The traditional story culture was a place where the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narrators and listeners was done through the media of story. They exchanged their stories, enjoyed and accepted the knowledge, information, wisdom, and joy that those stories implied to make their life smoother. Engrafting the attribute of this traditional story culture in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site will secure abundant oral statements, provide new speaking and listening activities, arouse the learners' interest and motive, and let learners participate in learning voluntarily and actively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level. In addition, this story-utilizing education is expected to be a good lubricant to the learners' life as the value of story and the narrative power of the story will affect the learners.
본고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풍부하고 다양한 ‘한국어 말하기·듣기’ 활동을 제공하는 한편, 교실 안에서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형성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전통 이야기문화를 활용하고자 ...
본고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풍부하고 다양한 ‘한국어 말하기·듣기’ 활동을 제공하는 한편, 교실 안에서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형성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전통 이야기문화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에 2장에서는 전통 이야기문화의 상호작용 양상을 추출하기 위하여 ‘이야기를 담은 이야기’를 슈람의 의사소통 모델을 토대로 화자, 청자, 이야기 그리고 이야기판에 각각 초점을 두고 전체적인 상호작용 양상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화자는 청자를 효과적으로 설득하기 위하여 이야기를 활용하였고, 청자는 이야기를 자기의 상황적 맥락에 따라 해석하여 자득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화자와 청자가 교환하는 이야기에는 재미와 정보 요소를 담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이야기의 재미 요소를 통하여 엄중한 분위기를 전환할 수 있었으며, 화자 자신이 느끼는 공감을 타인에게 공유함으로써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또한 지식을 이야기로 구조화하여 전달하였을 때, 그 지식에 대해 흥미를 느끼고, 가치가 있다는 확고한 화자의 신념이 함께 전달되면서 청자가 그에 감화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정보 요소를 인격화한 화자의 이야기를 통하여 청자가 지식을 습득하는 동기를 제공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상호작용의 전체 틀이라고 할 수 있는 이야기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집단지성 형성의 과정적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2장의 분석을 바탕으로 전통 이야기문화의 상호작용성을 한국어 말하기·듣기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효용성에 대하여 논의해 보았다. 이에 첫 번째, ‘한국어 말하기·듣기 활동의 제재로서의 효용성’, 두 번째, ‘교사 화법의 유용한 모델로서의 가치’, 세 번째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서의 교육적 의의’로 세 가지의 교육적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한국어 말하기·듣기 활동의 제재로서의 효용성’에는 심층적이고 실제적인 한국어 말하기·듣기 활동을 제공할 수 있었으며, 두 번째, ‘교사 화법의 유용한 모델로서의 가치’는 공감대가 형성되는 교실 분위기를 이끌어 내며, 학습자들이 스스로 학습에 흥미를 느끼고 자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교사의 화법을 고안해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서의 효용성’은 학습자들이 학습 공동체를 형성하여 이야기를 나눔으로써 지식과 정보를 교환하고 집단지성을 정립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 교육의 모형을 제공하였다.
4장에서는 세 효용성을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지도안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한국어 검정 시험에서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척도’를 기준으로 한국어 능력 4-6급을 소지한 성인 학습자를 이상적인 학습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세 효용적 의미에 따라 세 유형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각각 제시하여 더욱 더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전통 이야기문화는 이야기를 매개로 하여 화자와 청자의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는 장이었다. 이야기를 교환하면서 이야기가 내포하고 있는 지식과 정보 그리고 지혜, 재미 등을 함께 향유하고 수용하면서 자기의 삶을 더욱 더 윤택하게 하였다. 이러한 전통 이야기문화의 속성을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접목한다면 풍부한 구술성 확보는 물론, 새로운 말하기·듣기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흥미 및 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가 학습의 주체로서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여 한국어 수준 향상에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렇듯 이야기를 활용한 교육은 이야기의 가치, 이야기가 가진 서사의 힘이 학습자에게 작용하여 학습자의 삶에 좋은 윤활유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