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자기 성장 주도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Robitschek, Ashton, Spering, Geiger, Byers, Schotts, & Thoen.(2012)의 자기 성장 주도성 척도Ⅱ(Personal Growth Initiative Scale-Ⅱ)를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자기 성장 주도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Robitschek, Ashton, Spering, Geiger, Byers, Schotts, & Thoen.(2012)의 자기 성장 주도성 척도Ⅱ(Personal Growth Initiative Scale-Ⅱ)를 국내 대학생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한국판 예비척도를 제작하고 요인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자기 성장 주도성이란 성장 과정에서 개인의 구체적이고 의도적인 참여를 의미하는 개념이다(Robitschek, 1998). 이는 상담을 찾는 개인이 기대하는 주요한 결과 중 하나로서 상담의 목표이자 효과로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개인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개념으로서 그동안 국내에서는 주도성, 주장성, 자기 주도 학습성 등 주도성에 관련된 개념들이 타당화되어 사용되고 있었지만, ‘전반적이고 포괄적인 성장 과정’에서의 개인의 ‘주체성’을 측정하는 개념은 자기 성장 주도성만이 가지는 중요한 특징으로서 구별된다. 이러한 자기 성장 주도성 개념은 국내 소수의 연구를 통해서 소개된바 있으나 당시 사용되었던 척도는 자기 성장 주도성 척도Ⅰ으로서 이는 피험자들의 대표성의 한계, 단일차원으로 인한 개념의 낮은 효용성 및 해석의 어려움 등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던 척도였다. 또한 사용된 척도는 번안과정에 그쳤을 뿐 타당화 과정을 거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적절한 대표성을 띄며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발전된 자기 성장 주도성 척도Ⅱ를 최초로 소개하였으며, 번안과정에 그치는 것이 아닌 국내 실정에 맞게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가 진행된 구체적인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에 능통한 3인의 도움을 받아 원척도의 16개 문항들을 번역 및 역번역 과정을 거쳐서 한국판 예비척도를 제작하고, 예비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확인을 위한 관련 척도들을 포함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인터넷 리서치 전문 회사를 통해 고정 패널 209명에게 예비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 자료를 바탕으로 문항분석을 실시하여 문항의 양호도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예비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예비연구 분석 결과, 예비척도의 요인 구조는 3요인 구조로 나타났으나 누적 비율을 높이고 이론적 근거에 따라 4요인 구조로 결정하였다. 또한 요인 부하량이 낮고 이론적 근거에 부합하지 않는 1개 문항(12번)을 삭제하였다. 따라서 총 15개 문항 4요인 구조를 최종 척도로 결정하였다. 둘째, 최종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 연구 대상자와 다른 표집대상 206명의 새로운 자료를 바탕으로 문항분석을 실시하여 문항의 양호도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4요인 구조의 구성타당도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문항은 양호하였으며 4개의 하위요인으로 각각의 구성개념을 측정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원척도의 4요인 모델이 수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판 자기 성장 주도성 척도Ⅱ (Korean version of Personal Growth Initiative Scale-Ⅱ)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하위요인별 내적합치도(Cronbach’s α) 값을 산출한 결과 .79-.87로 양호한 수준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본 척도의 문항들이 신뢰롭게 구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준거관련타당도 중 동시타당도의 검증을 위하여 관련 척도들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척도와 주도성 척도, 자기 주장성 척도, 내외 통제성 척도와의 상관분석 결과, 자원활용과 내외통제성을 제외하고는 한국판 자기 성장 주도성 척도Ⅱ의 모든 하위 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를 통해 본 척도의 구성개념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준거관련타당도 중 예측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척도와 정신적 웰빙 척도와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 성장 주도성이 정신적 웰빙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자기 성장 주도성이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자기 성장 주도성을 측정하는 척도를 번안하고 타당화하여 국내 대학생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활용이 가능한지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그동안 국내에서 자기 성장 주도성은 여러 가지 한계점을 가진 척도Ⅰ의 번안과정만 거쳤으며 여러 변인들 중 하나의 변인으로만 사용되면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척도Ⅱ가 부재한 상황이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처음으로 자기 성장 주도성 척도Ⅱ를 타당화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타당화 된 본 척도를 통해서 상담에서 내담자의 강점 및 자원을 발견하고 상담을 통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