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현재 결혼이주 등의 이유로 외국인의 유입이 급증하여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오늘날의 교육 현장에서는 여러 국적의 다문화가정 학생이 함께 교...
대한민국은 현재 결혼이주 등의 이유로 외국인의 유입이 급증하여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오늘날의 교육 현장에서는 여러 국적의 다문화가정 학생이 함께 교육을 받고 있다. 급기야 이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이 개발되고 보급되기에 이르렀다.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에게 있어 학습자들의 필요와 목적에 맞는 개별화 교육과정을 준비하고, 이를 위해 수업 대화를 분석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상황이다.
그동안의 선행 연구들은 주로 한국으로 유학을 온 학문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수업의 대화를 분석하였거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진행한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수업의 대화를 분석하여 수업에 참여한 교사, 학습자, 그리고 학부모를 비롯한 구성원들 간 말차례가 어떻게 오가는지, 상호작용의 양상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의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수업에서 말차례교대는 주로 어떻게 일어나는가?
둘째,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수업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 양상은 다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양상과 다른 특이점이 존재하는가?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전사 양식을 만들고, 총 네 편의 한국어 수업을 전사체계로 옮겼다. IRF 구조 및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 분석 항목 등의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대화연속체에 나타난 발화들을 도입(I)발화, 반응(R)발화, 환류(F)발화로 분류하였고, 각 발화들은 다시 일정한 기준에 의해 세분화하여 대화연속체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예시를 들어 서술하였다. 그리고 각 발화들이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 분석하여 수업 내 상호작용의 양상을 독립형[IR(F)], 병렬형[I(R)nF], 삽입형[(IR)nF] 그리고 혼합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먼저,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수업의 말차례교대는 주로 교사에 의해 도입되고, 학습자가 반응한 뒤 교사가 환류를 제공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수업이 교사 주도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수업에서 찾을 수 있는 말차례교대방식은 기존 선행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방식과 크게 다르지는 않았다. 그렇지만 환류 발화가 생략되거나 다른 학습자들의 반응 발화가 연속해서 나오는 등 특이한 대화구조도 발견할 수 있어 한국어 수업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교사가 아닌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통해서도 오류 수정이 일어나는 경우도 확인할 수 있었고, 학부모가 제공하는 환류 가운데 잘못된 환류도 존재하여 교사가 확인하고 바른 피드백을 제공해야함도 알 수 있었다. 수업에서 일어나는 모든 대화가 학습자의 학습을 돕는 것은 아님을 확인하여 개별화 교육과정 편성 시 참고해야할 사항들을 밝혔다고 할 수 있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