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방문교육서비스에 대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조사대상은 한국어 방문교육서비스를 받은 여성결혼이민자 10명이며, 2014년 9월부터 11월까지 ...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방문교육서비스에 대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조사대상은 한국어 방문교육서비스를 받은 여성결혼이민자 10명이며, 2014년 9월부터 11월까지 일대일 심층면접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게 된 배경은 어떠한가? 둘째,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방문교육서비스 이후의 변화에 대해 어떻게 지각하는가?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방문교육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로 설정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욕구의 배경은 개인, 사회관계,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개인적 요인으로는 언어적 의사소통 장벽, 문화적 차이와 차별, 답답함,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요인으로 사회적 관계망과 지원의 부재이다. 즉 원가족과의 관계단절, 친구의 부재, 남편과의 갈등, 시부모와의 갈등, 자녀돌봄문제로 나타났다. 사회환경적인 요인으로 사회적 지원체계에 대한 부족함이다. 즉 교육환경의 열악함, 한국사회에서의 삶에 대한 불안감, 복지서비스접근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여성결혼이민자에게 실시한 한국어 방문교육서비스 이후의 변화는 마찬가지로 개인, 사회관계,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개인적 요인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 자신의 개인적 역량강화이다. 즉, 한국어 방문교육서비스를 통해 의사소통하는 능력이 향상되고 문제에 대한 상황이해와 대처능력이 생겨나고 정서적 안정과 학습의 동기 부여를 강화시켜줌으로 개인의 역량을 한층 강화시켰다고 본다. 사회적 요인으로 가족의 태도변화이다. 다시 말해 한국어 방문교육서비스를 통해 여성결혼이민자는 남편을 이해하게 되고 감정과 생각을 나누게 됨으로 오해와 불신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자연스럽게 가족 간의 관계 개선과 연결되고 건강한 부부체계, 부모자녀체계로의 변화를 가져왔다. 사회환경적인 요인으로 한국사회에 대한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도 증진이다. 즉 한국어 방문교육서비스를 통해 여성결혼이민자는 문화적 배경의 차이를 이해하고 고착된 가치관과 사고방식을 유연하게 변화되었음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어 방문교육서비스에 대해 갖는 요구는 형식적인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나누어졌다. 형식적인 측면에서 한국어 방문교육서비스 대상자 적용에 대해 여성결혼이민자의 입국 5년 이하의 제한기간을 확대해 줄 것과 서비스 유료화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내용적인 측면에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접근에 대한 다양한 방식요구, 일반국민에 대한 다문화 이해교육요구, 개별적인 특성과 환경을 고려한 교사의 전문성을 요구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종합해보면 여성결혼이민자들은 한국사회현실에 대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한국어교육을 선택하였으며. 한국어 교육은 여성결혼이민자의 개인역량강화와 가족태도변화와 더 나아가 한국사회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따라서 다양한 가족유형의 복지에 대한 정책을 지향하되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수요자 중심의 언어교육만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맞춤형지원책이 요구된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