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is developed since the last century 80's achieved a lot of achievements during the year to just 30 years.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North Korea's foreign language Gimjungseop, Johyeonyong ...
A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is developed since the last century 80's achieved a lot of achievements during the year to just 30 years.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North Korea's foreign language Gimjungseop, Johyeonyong (1996) can be seen the start. Close to 20 years now was in progress can be said to be a lack of research each week.
In this in 2011, 2012, North Korea's Kim Il Sung University in 2014 with four Chinese students in these interviews received the Korean language training as a foreign language that was used in the North 'Reading' teaching of <<Korean language Reading 3 (current student)>> and 'Speaking' teaching of <<Korean language conversation 3 (current students)>>. The North's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the basis of status and North Korea and Chosun Exchange Scholarship 'program between the Chinese government background, linguist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f North Korea's Korean language teaching as a foreign language , operating methods and classes for vocabulary and speaking classes feature of the education of looked at found one by one. The size of North Kor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rough it, how education could be utilized to determine the overall appearance and about and teaching of materials.
Kim Il Sung University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n important organ of North Korea as a Korean language to foreigners with undergraduate education Masters, PhD has been made but it seems that the master's and doctoral courses are very limited progress. In addition, Mercy life "and" life azeotropic 'In term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the Korean exchange scholars' program that seems to attract the mercy limitations of life in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which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North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ents receive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Kim Il Sung University in recent years, except for Chinese students were able to identify primarily on Mongolia, Vietnam, and in European countries such as Russia and the Czech Republic, Slovakia and Bulgaria.
In the third chapter of this interviewed participants who use the materials in North Korea, "the Korean language Reading 3 (current student)" and "Korean language conversation 3 (current student)" analyzes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of the North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apter 4 examines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vocabulary and speaking.
In a recent in the center of the 'Korean language exchange scholars' program of Kim Il Sung University looked at the aspects of North Kor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o the appropriate liaison partner that can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to look forward to even study which will be needed. We will also have a chance to secure the person to finish the language training people returning from the North to compensate for uncertainties that could see a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as well as quantitative research to explore the more the North's Korean language education.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은 지난 세기 80년대 이후 발전하여 오늘까지 불과 30년 동안 상당히 많은 성과를 이루었다. 한편 북한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에 대한 연구는 김중섭·...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은 지난 세기 80년대 이후 발전하여 오늘까지 불과 30년 동안 상당히 많은 성과를 이루었다. 한편 북한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에 대한 연구는 김중섭·조현용(1996)부터 시작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현재까지 가까이 20년이 진행되었는데 연구 성과가 매우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2011년, 2012년, 2014년 북한의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연수를 받은 네 명의 중국 유학생의 인터뷰 자료와 이들이 북한에서 사용했던 '강독' 교재인 『조선어강독 3(류학생용)』과 '회화' 교재인 『조선말회화 3(류학생용)』을 토대로 북한의 조선어교육 현황 및 북한과 중국 정부 간의 '조선 교환 장학생' 프로그램의 배경, 북한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의 언어적·문화적 내용의 특징, 수업 운영 방식 및 수업에서의 어휘와 말하기 교육의 특징에 대해 순차적으로 밝혀 보았다. 이를 통하여 최근 북한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의 규모, 교육의 방식, 교재의 활용과 교수법 등에 대해서 총체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의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조선어교육의 중요한 기관으로서의 김일성종합대학의 조선어교육은 학부과정과 함께 석사과정, 박사과정이 이루어져 있지만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이 매우 제한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비생'과 '공비생' 측면에서 보면 북한과 중국 정부 간의 '조선 교환 장학생' 프로그램은 북한의 조선어교육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에 북한에서 자비생을 유치하는 데에는 제한된다고 보인다. 중국 유학생 외에는 최근 몇 년에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조선어교육을 받은 유학생은 주로 몽골, 베트남, 그리고 러시아와 체코, 슬로바키아, 불가리아 등 유럽 나라에서 온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고의 제3장에서 인터뷰 참여자들이 북한에서 사용했던 교재인 『조선어강독 3(류학생용)』 과 『조선말회화 3(류학생용)』을 분석하여 북한 조선어교육의 교재의 특징을 살펴봤다. 교재에서 나타난 가장 큰 특징은 사회주의 색깔이 농후하다는 것이다. 북한의 언어 정책은 북한의 혁명전통과 언어관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고, 교육 내용 속에는 이러한 언어관에 바탕을 두고 이념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특징은 '여성주의' 관념이 강하다는 것이다. 교재에서 외국인 학습자에게 북한의 여성의 사회 지위가 높다는 것을 전달하고, 또한 여성 자신의 책임과 의무도 상대적으로 많다고 보일 수 있다. 셋 번째 특징 혹은 문제점으로 보는 것은 속어, 의성 의태어, 그리고 욕설 등 복잡한 용어들이 많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재에서 나오는 내용은 일상생활을 반영하지 못하면서 주제가 너무 단순화된 것도 문제로 보인다. 대부분의 본문은 김일성과 김정일에 대한 찬양과 무조건 숭배, 주체사상, 선군 시새의 사회 건설 등에 벗어나지 못하여 학습자의 진학이나 취업을 위한 학습 목적을 고려하지 않은 데에서도 문제가 있다고 보인다.
제4장에서 강독과 회화 수업의 운영 모습을 재구성하는 것으로 교실 안에 교사와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보고 어휘와 말하기 교육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교재에서 나온 어휘들은 수량이 매우 많고 어려운데다가 상호 관련성도 덜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교사는 어휘 교육할 때 한 단어의 뜻과 비슷한 다른 단어들이 많이 제시하며 단어의 어원과 품사 변형 방법도 함께 제시해준다고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어휘에 대한 연습은 주로 문장 짓기 과제로 실행된다고 보인다. 영화 대본을 가지고 수업하는 회화 수업은 주로 대본의 내용을 간접인용 표현으로 이용하여 다시 말하고 외우는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최근 몇 년간의 김일성종합대학의 '조선어 교환 장학생'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북한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의 면면을 살펴봤지만 앞으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적절한 참여자를 섭외하여 이에 대한 연구도 살펴봐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와 같은 질적 심층 인터뷰 방식이 보일 수 있는 불확실성을 보완하기 위해 북한에서 언어 연수를 마치고 돌아온 사람들의 인원을 충분히 확보하여 북한의 조선어교육을 보다 양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회도 있어야 할 것이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