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실제성 연구 : 교환·환불 대화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한국어 모어 화자의 교환‧환불 대화와 한국교재의 교환‧환불 대화문을 비교한 연구이다. 한국어 교육은 외국인의 한국어로의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하고 ...

본 연구는 한국어 모어 화자의 교환‧환불 대화와 한국어 교재의 교환‧환불 대화문을 비교한 연구이다. 한국어 교육은 외국인의 한국어로의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 교실에서 가장 주요한 학습 도구이고 한국어 교육의 목표 달성을 효율적으로 돕도록 제작되었다. 그 중 교재의 대화문은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등의 언어의 네 기능을 골고루 연습할 수 있어 수업 중 활용도가 높다. 또한 학습자는 교실 밖 상황에서 교재 대화문을 토대로 한국어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교재 대화문이 교실 밖으로 전이될 수 있도록 실제성 있게 구성되어야 한다. 이때 요구되는 실제성은 구조적이고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실제성이다. 본고에서는 교재 대화문이 구조적이고 내용적인 측면에서 실제성을 갖추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대화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대화분석은 언어 공동체의 실제 언어 사용을 분석하여 언어 공동체의 언어생활 기저에 존재하는 대화 원형과 언어 사용 전략 등을 연구하는 언어 연구 방법이다. 본고는 이러한 대화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어 모어 화자의 교환‧환불 대화의 기능단계와 기능단계별 대화이동 연속체를 분석하였다. 그 후에 교재 대화문의 기능단계와 기능단계별 대화이동 연속체와의 비교하여 교재 대화문이 실제성 있게 구성되었는지 검토하고 개선 방향과 실례를 제시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교재는 의사소통 향상을 목표로 하는 주제 중심, 상황 중심, 기능 중심의 교재였다. 한국어 모어 화자의 교환‧환불 대화 분석과 한국어 교재의 교환‧환불 대화문은 세 가지 주요한 차이가 있었다. 첫째, 교재 교환‧환불 대화문에는 한국어 모어 화자의 교환‧환불 대화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상황이 있었다. 한국어 모어 화자의 교환‧환불 대화는 문제 상황이 교환 혹은 환불 상황임이 명확하게 규정되었으나 교재 교환‧환불 대화문에서는 문제 상황이 ‘문제가 있는 제품의 문제 해결’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따라서 교환 상황인지 환불 상황인지가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거나 중간에 교환에서 환불로, 교환에서 수리로 그 상황이 바뀌기도 하였다. 둘째, 기능단계와 기능단계별 대화이동 연속체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교재 교환‧환불 대화문은 한국어 모어 화자 대화와는 다르게 기능단계의 생략 현상과 기능단계별 부분단계의 생략 및 추가 현상이 나타났다. 대화이동 연속체도 모어 화자의 대화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대화이동 연속체인 ‘제안―수용’, ‘재요청―재거부’, ‘사과―반응’ 연속체가 나타났다. 셋째, 한국어 모어 화자의 교환 대화에서는 구매를 취소하고 결제하기 위한 휴지가 나타났고 환불 대화에서는 구매 취소를 위한 휴지가 나타났다. 하지만 교재 교환‧환불 대화문에서는 구매 취소와 결제를 위한 휴지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차이점은 학습한 언어 상황이 실제 상황으로 전이되지 않기 때문에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를 떨어뜨릴 수 있다. 또 한국어 언어 공동체 구성원의 기저에 존재하는 담화 구조를 알지 못하여 예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유창성과 정확성 향상을 방해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마지막으로 교재 교환‧환불 대화문의 실제성을 고려하지 않은 대화문 구성의 요인에 대해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그 예시로 수정한 교환‧환불 대화문을 제시하며 마무리하였다.

This study is a study comparing exchange and refund conversations of Korean native speakers with exchange and refund dialogues on Korean textbooks. The Korean textbook is the most critical learning tool and made to help effectively accomplish the goal...

This study is a study comparing exchange and refund conversations of Korean native speakers with exchange and refund dialogues on Korean textbooks. The Korean textbook is the most critical learning tool and made to help effectively accomplish the goal of Korean education. Among the variety of elements the dialogues are actively utilized because they provide learners with four language skills such as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Furthermore, the learners are able to use Korean based on the dialogues outside the classroom. Therefore, the dialogues on textbooks should be constructed with authenticity so that they spread to real situations outside the class. Here, the authenticity is considered in aspects of structure and content. This thesis used conversation analysis to verify whether the dialogue on textbook is authentic. The conversation analysis is a method which analyses real language use of a certain language community to study dialogue patterns and language use strategy underlying it. This thesis analyzed the functional phase in exchange and refund conversations and the sequence of each functional of Korean native speakers making use of the method. After, it compared those two factors: if the dialogue on textbook is composed authentically, and suggeshions for improvement directions and actual cases. A subject-oriented textbook for progress in communication, a situation-centered textbook, and a function-oriented textbook were used for analysis. Three main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exchange and refund conversations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exchange and refund dialogues on Korean textbooks. First, the former exclusively had a point. There was a specific prescription of situation such as of exchange or refund in the former, but the latter just focused on 'problem solution for a certain problematic product.' Thus, in the latter it was equivocal whether each player had a conversation for exchange or refund, so the situation actually converted from exchange to refund or from exchange to repair. Second, there was also a huge difference in aspect of the functional phase and the sequence of each functional. In exchange and refund dialogues in Korean textbooks presented the omission of functional phase and omission and addition of certain level of phase, which was dissimilar to exchange and refund conversations of Korean native speakers. Furthermore, the former had the sequence of each functional which the latter did not have. Third, there occurred a pause for cancelling purchase and paying in exchange conversations of Korean native speakers while there showed a pause only for cancelling purchase in refund conversation of them. However, in exchange and refund dialogues on Korean textbook, there was no pause for any case. If learned language from text situation failed to spread to real contexts, motivation of learners might go down. Moreover, Not knowing the dialogue structure underlying Korean language community members possibly disturbs improvement of fluency and accuracy. Therefore, this thesis in conclusion proposed practical improvement directions which considered the authenticity of exchange and refund dialogues on Korean textbook, presenting modified exchange and refund dialogues.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