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학교폭력태도, 정서적 안정성,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학교사회복지 실천영역에서 중학생의 학교생활 질 향상...
이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학교폭력태도, 정서적 안정성,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학교사회복지 실천영역에서 중학생의 학교생활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로 이루어졌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3월 19일부터 7월 11일까지였으며,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하는 2개 중학교 1학년 321명으로 실험군은 B중학교 162명, 대조군은 S중학교 159명이었다.
이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 학교폭력태도는 양주연(2004)의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정서적 안정성은 김화숙(2008)의 정서적 안정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강점·난점은 영국의 Robert Goodman이 1997년에 Rutter Questionnaire를 기본으로 하여 개발하고, 안정숙 등(2003)에 의해 한국어판으로 번안된 것을 사용하였다.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은 Eggert(1994)의 “Anger Management for Youth: Stemming Aggression & Violence”, 문정화(2001)가 번안한 “나를 찾는 여행”,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가 개발한 “다시 한 번 생각해봐(2005)”, “난 아주 특별해(2009)”, “소중한 만남을 위하여(2010)”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중학생에게 적합하도록 재구성한 8회기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Paired Sample t-test, ANCOVA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은 학교폭력태도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t=-2.30, p=.022).
둘째,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은 정서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t=1.43, p=.152). 하위요인에 대한 효과분석결과 공격성, 열등감, 긴장수준 중 공격성은 유의한 효과가 있지만(t=2.48, p=.014), 열등감과 긴장감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강점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했으나(t=2.06, p=.040), 난점의 하위요인인 “과잉행동(t=-1.17, p=.242)”, “정서증상(t=-.01, p=.992)”, “품행문제(t=2.10, p=.037)”, “또래문제(t=.13, p=.897)”에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교폭력태도, 정서적 안정성의 하위척도인 공격성, 강점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따라서 학교현장에서 발생하는 폭력문제에 대한 하나의 대응방안으로써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용 및 정착에 이 연구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