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사에게 필요한 교수 지식을 마련하고 교사를 교육하는 일은 궁극적으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교사에게 필요한 교수 지식을 마련하고 교사를 교육하는 일은 궁극적으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한국어 교육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더 시급하게 연구되어야 할 주제로 다루어 왔다. 이에 비해, 교사 교육에 대해서는 그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연구보다는 한국어 교사 양성을 위한 제도와 교육과정의 거시적 체계 마련에 목표와 초점을 둔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다. 본고는 이에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한국어 교육의 주요한 영역인 한국어 문법 교육을 연구 영역으로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어 문법 교수 지식의 본질과 목적이 한국어 교사의 한국어 교수 기능 수행을 돕는 데 있음을 논하고 이를 위한 한국어 문법 교수 지식의 내용을 마련하였다. 교수 지식의 마련은 이론적 연구와 함께 한국어 예비 교사들의 수업 설계 오류에 대한 관찰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한국어 문법 교수 지식의 내용은 교수 내용 지식과 교수 방법 지식으로 제시하였다. 첫째로, 교수 내용 지식은 한국어 문법 교수 내용과 이 교수 내용의 이해와 교육에 관여하는 수업 구성 요인에 대한 지식으로 제시하였다. 전자인 한국어 문법 교수 내용에 대한 지식은 문법 항목 지식과 문법 항목에 대한 설명 지식으로 나누었으며, 후자인 수업 구성 요인에 대한 지식은 교수 내용을 담고 있는 교재와 교수 자료에 대한 지식으로 제시하였다. 둘째로, 교수 방법 지식은 교수 내용을 교육하기 위한 방법 지식으로, 한국어 문법 교수 방법과 이 교수 방법 이해와 구현에 관여하는 수업 구성 요인에 대한 지식으로 제시하였다. 전자인 한국어 문법 교수 방법에 대한 지식은 수업 단계별 지식, 교수 자료 활용 지식, 교사 수업 발화 지식으로 제시하였다. 후자인 수업 구성 요인에 대한 지식은 교재, 학습자, 교사, 기타 수업 구성 요인에 대한 지식으로 제시하였다. 이렇게 마련된 교수 지식 중, 교수 내용 지식은 그 특성 상 한국어 문법 범주별로 상세한 지식이 마련될 수 있다는 점에 근거해, 한국어 ‘보조용언 구성’을 대상으로 교수 지식의 내용을 더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제시하였다.
이어서 한국어 교사와 예비 교사의 한국어 문법 교수 지식의 구현 양상을 분석하여 교수 지식 교육의 근거로 삼았다. 한 교사가 지닌 문법 교수 지식은 결과적으로 그 교사의 수업 지도안 작성과 수업 진행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고 보고 수업 지도안과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 지식 구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수업을 중심에 두고 분석하되 수업 과정에서 교수 지식 외에 다른 변인들이 작용하여 교사의 교수 지식이 잘 관찰되지 않을 것을 고려하여 그 교사가 수업을 위해 작성한 수업 지도안 관찰과 서면 인터뷰 진행을 통해 수업 진행에 다른 변인이 개입된 것이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교사가 지닌 교수 지식을 정밀히 파악하려 하였다. 분석은 본고에서 마련한 교수 지식의 내용을 기준으로 두고 교수 준거 항목별로 진행하였으며 구체적인 교수 지식의 내용을 근거로 분석하기 위해 분석 대상 수업을 ‘보조용언 구성’ 항목을 교육하는 수업으로 한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경험 교사와 예비 교사의 교수 지식 구현에서 나타나는 차이와 예비 교사들이 오류를 보이는 교수 지식에 초점을 두어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수 지식 구현 양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 지식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교수 지식 교육의 내용은 예비 교사들의 수업 오류를 예방하고 처방하기 위한 실질적인 지식이 되어야 함을 목표로 두고 본고에서 마련한 교수 지식이 교육 내용으로서 더욱 실제성을 띄도록 수정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 마련한 교수 준거 항목별 지식을 한국어 교수 전문가에게 제시하여 검토와 피드백을 받아 실질적인 교육 내용이 되도록 기술하였다. 전문가 검토 자료로 교수 준거 항목과 함께 각 준거 항목별 지식의 부재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예비 교사 오류를 함께 제시하여 전문가들이 본고에서 마련한 교수 지식과 예비 교사 오류를 비교하며 실질적인 검토 의견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교수 방법은, 교수 지식 구현 양상 분석을 통해 예비 교사의 수업 오류가 개개인에 따라 교수 준거 항목별로 다양하게 나타남을 확인하고, 개별 예비 교사에 초점을 두는 방식으로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교수 지식에 대한 원리적 이해가 실제 수업 진행으로 이어지지 않고 수업에서 많은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하고, 교수 지식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교수 지식 교육의 자료로 교수 준거 항목과 함께 각 항목별 지식의 부재에 따른 수업 오류 자료도 함께 제시하는 방식의 교육을 제안하였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