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표현구조 대조연구 : 한국어의 대조적 관점에서 [N/の/N]의 동작표현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고는 표현구조론에 입각하여 한국어와 일본어의 표현양상을 대조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언어의 특성을 파악하는 일은 오직 대조관점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표현구조의 대조연구...

본고는 표현구조론에 입각하여 한국어와 일본어의 표현양상을 대조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언어의 특성을 파악하는 일은 오직 대조적 관점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표현구조의 대조연구란, 문법적인 정확성을 넘어 표현의 측면에서 문장의 '언어다움'과 '자연스러움'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동일한 목적하에서 이루어진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는 두 언어 간의 표현에 있어서, 그 두 언어 사이의 표현양상의 상이함을 문제로 삼는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양 국가 간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원활한 위사소통울 하는 데에 있어서 크게 이바지할 것이며, 한국어교육 현장 및 통번역 분야에서 바로 응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 명사표현 [N/N(명사/명사)] 구문을 중심으로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일본어 조사의 'の(no)'로 연결된 두 가지 명사 간의 의미적 관계에 주목하여,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의 동적표현을 연구대상으로 고찰을 하였다. 일본어 명사표현에서 [N/の/N(명사/연체격(連?格)조사/명사)] 구문을 형성하는 두 가지 명사의 의미적 관계를 [착용의 대상물]과 [착용자]로 한정해서 고찰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재분류와 실제 언어자료의 계량조사를 통해서 얻은 통계자료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동적표현에 대해 고찰을 하였다.
계량조사의 분석결과, 복합어의 형성 및 관용적 사용으로 인해 한국어의 조사 '의'와 일본어의 조사 'の'가 일대일 대응을 이루는 경우를 제외하고, 일본어 명사구문 [N/の/N] 구문에 있어서 선행명사와 후행명사의 의미관계가 [착용의 대상물]과 [착용자]를 나타내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은 거의 모든 경우에 선행명사와 공기관계를 형성하는 동사가 출현되어서 동사적 표현을 형성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한국어는 주로 용언을 사용해서 어떠한 상태를 구체적 및 설명적으로 파악하려는 능동성이 강한 언어인데 반해, 일본어의 경우는 동일한 상태를 가능한 한, 간결하고 함축적으로 나타내려고 하는 수동성이 강한 언어라고 하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일본어 명사표현 [N/の/N] 구문에 있어서 일본어의 조사 'の'로 연결된 두 가지 명사 간의 의미적 관계가 착용의 대상물]과 [착용자]를 나타내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은 복합어 등의 어떤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경우 동사적 표현을 성립시킨다는 결론을 내릴 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trastively analyze the aspect of expression i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based on the theory of expression structure.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is only possible through contrastive persp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trastively analyze the aspect of expression i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based on the theory of expression structure.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is only possible through contrastive perspective. A contrastive research on expression strcture focuses on clarifying the 'linguistic character' and 'naturalness' of sentences in terms of expression beyond grammatical accuracy. Thus, in the representation of two different languages that indicate the same event under the same purpose, the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aspects of the two languages is called to attention. This approach will contribute greatly to smooth communication for both countries to interact, and i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be directly applied to Korean education and the field of transl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two nouns connected by 'の(no)' of the Japanese potposition that had not been covered by previous studies, by focusing on the Japanese noun representation of [N/N(noun/noun)] construction.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nouns that form the [noun/postpsition of adnominal case/noun(N/の/N)] construct in Japanese noun expressions was limited to [the object of wearing] and [the wearer]. This study examined the verbal expressions of Korean language be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statistical data obtained from reclassifying previous studies and quantitatively studying the actual language data.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except for certain cases in which Korean postposition 'ui' and Japanese postpositon 'の' are in one-to-one correspondence or form a compound, if the semantic relationship of the former noun and latter noun in the Japanese noun phrase [N/の/N] represents [the object of wearing] and [the wearer], the Korean expression that corresponds to this phrase forms a verbal expression with a certain verb appearing in almost all case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