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조사결합을 습득하고 있는 양상을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Ⅰ장에서 연구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조사결합을 습득하고 있는 양상을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Ⅰ장에서 연구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고의 연구 문제는 첫째,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상·하 집단은 조사결합 유형에 따라 사용 양상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피는 데 목적을 두었다. 둘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결합 사용 양상은 거주기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보이는지를 고찰하였다.
이어서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조사의 하위 부류를 먼저 살펴본 다음 조사결합의 개념 및 용어 선택에 대해서 정리하고 본고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용어를 '조사결합'으로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조사결합의 유형을 정하고 그 유형에 맞는 문항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Ⅰ장에서 제기했던 두 개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험 도구를 개발하였다. 실험 도구는 O/X로 문법성을 판단과 함께 틀린 부분을 고쳐 쓰는 오류 수정 과제이다. 실험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한국어 모어 화자 25명,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는 13개 대학 및 대학 부속 한국어 교육 기관에 재학 중인 중국인 학습자 중 중·고급 학습자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시행한 실험의 결과를 기술하였다. 첫 번째, 숙달도에 따른 한국어 조사결합 유형의 습득 양상을 살펴본 결과, 조사결합 유형에 따른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중국인 상·하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는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중국인 하집단에 의해 차이가 존재하였다. 조사결합 유형별로 봤을 때, 문법격 조사 후접 유형에서만 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축약형 사용은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에서만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어 조사결합 사용에 있어서 대부분의 문항에서 세 집단 모두 회피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 번째, 한국 거주기간에 따른 한국어 조사결합 유형의 습득 양상을 살펴본 결과, 중국인 3년 미만 집단과 3년 이상 집단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합 유형별로 봤을 때 ‘첨사 후접’ 유형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문항별로 보면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문법격 조사 후접 유형과 첨사 후접 유형에서만 3년 이상 집단은 3년 미만 집단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내 두 집단 사이에 거주기간 변인이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던 학습자의 조사결합 습득 양상을 밝힌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 믿을 만한 연구 결과를 얻기를 기대한다.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로 한국어 교재 개발에 또한 시사점이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quisition of Korean Josa's combination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Chapter I expla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lso presented the research problems based on existent advanced researches.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quisition of Korean Josa's combination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Chapter I expla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lso presented the research problems based on existent advanced researches. The research problems were as follows: first, what Chinese learners' acquisition of Josa's combination in terms of combination types will be reveal when compared to those of korean native speakers? Second, will the length of stay in Korea be taken as a variable in this study of their Josa's combination?
Chapter Ⅱ surveyed theoretical backgrounds. The concept and term of Josa's combination were revealed by reviewing the sub-categories of Josas. The term used in this study was called ‘Josa's Combination'. Based on this, the types of Josa's Combination were established and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sentences were configured.
Chapter Ⅲ described the development of the research instrument. In order to examine the acquisition of Korean Josa's combination of Chinese learners, a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was created, which should also modify the sentence if it's wrong. The test had 25 participants who were Korean native speaker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44 participants consisted of Chines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of Korean. The participants were acquired from 13 separate Korean colleges and Korean teaching institutes within the area.
Chapter Ⅳ presented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test.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arning aspects of Korean Josa's combination typ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group both of higher and lower proficiency,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learners group of a lower proficiency. What's more,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was only found in grammatical case markers proclitic type. And only Korean native speakers used abbreviations of Korean Josa's combination. All the three groups showed a tendency which avoided using Korean Josa's combination in the most instrument sentence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arning aspects of Korean Josa's combination types according to the length of stay in Korea,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ss than three years group and the more than three years group. The significant difference only existed in postposition proclitic type. Although it looked slightly different within all the instrument sentences, the more than three years group showed a higher rate than the less than three years group. This made the length of stay in Korea to be taken as a variable between these two groups.
Finally, Chapter V present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study was really meaningful for korean education circles because it has not been valued much in the past. Also, further studies on categorical acquisition of Korean Josa's combination, which beyond the scope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carried out. Moreover, it will be helpful to compile the teaching books of Korean language.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