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번역문에 나타난 지시 명령표현의 비교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행동요구표현은 화자의 의도 및 바람을 청자에게 전달하여 청자의 행위를 요구하는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표현은 청자 입장에서는 부담을 느끼게 되므로 해당 행위를 회피하거나 거...

행동요구표현은 화자의 의도 및 바람을 청자에게 전달하여 청자의 행위를 요구하는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표현은 청자 입장에서는 부담을 느끼게 되므로 해당 행위를 회피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화자는 의도하는 바를 성공적으로 전달 및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언어표현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행동요구표현 중 지시 명령표현이 일본어와 한국어에서 어떤 식으로 실현되고 있는지 그 경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각 언어에 적합한 지시 명령표현을 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삼고 있다. 지시 명령표현을 명령문, 1인칭 평서문, 3인칭 평서문, 명사구의 4가지 형태로 분류하여 영어의 각 형식에 해당하는 일본어 및 한국어 문장을 비교 분석하였다.
지시 명령표현을 문장형식으로 분류하여 각 형식에 따라 문장이 가진 강제성 및 직접성을 기준으로 청자가 느끼는 부담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다시 일본어 및 한국어 번역에서 어떤 문장형식으로 표현하는지 그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비교 연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7개국 언어로 번역된 미국 워싱턴 주 운전자 안내서 중, 영어판, 일본어판, 한국어판을 이용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일본어의 3인칭 평서문으로 가장 많이 번역되었고 한국어는 명령문 형식으로 번역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는 일본어는 간접적 명령표현, 한국어는 직접적 명령표현으로 주로 번역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특히 가장 많은 용례 수를 가진 명령문 형식에서 그 차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1인칭 평서문 및 명사구는 그 용례 수가 적어 정확한 결과를 추출하기 힘들었으나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일본어의 경우 강제성이 강한 직접적 명령표현을 피하고 간접적 명령표현을 주로 사용하는 청자에 대한 배려를 통해 청자가 느끼는 부담을 줄였다.
반면, 한국어의 경우 원문에 쓰인 표현의 정확한 전달에 초점을 맞춘 경향을 보이며 직접적 명령표현을 많이 사용하고 있어 청자가 느끼는 부담이 일본어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본어의 지시 명령표현은 청자 중심, 한국어의 지시 명령표현은 화자 중심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의도 및 바람을 내포하고 있는 지시 명령표현이 청자에게 전달될 때 일본어 및 한국어에서 다르게 접근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는 초점을 화자에 두느냐, 청자에 두느냐에 따라 달리 표현된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일본어 학습자 및 한국어 학습자가 각 언어의 지시 명령표현을 구사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을 발견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를 고려한 표현을 통해 원활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지시적 언어표현은 명령과 요청뿐만 아니라 금지와 통제 등과 같은 수신자의 이익과 무관한 발신자 중심적 지시표현과 경고 및 충고, 제안이나 안내, 허가, 허락 등과 같은 수신자의 이익과 관계가 있는 수신자 중심적 지시표현이 있다.

Directive expressions are a means for the narrator or the speaker to convey his intent or wishes to the listener to call upon an action. Making demands that involve such expressions can be difficult for the listener to accept, thus making one avoid or...

Directive expressions are a means for the narrator or the speaker to convey his intent or wishes to the listener to call upon an action. Making demands that involve such expressions can be difficult for the listener to accept, thus making one avoid or refuse to take action. Therefore, it is imperative that the speaker take the proper steps to exercise suitable expressions in order to convey one’s message successfully and to carry out the communication smoothly. This study explains the tendencies and entails how such directive expressions are being utilized in Korean and Japanese to meet the study goal of being able to exercise appropriate directive expressions. This study has been broken down into four different categories; using an imperative sentence, declarative sentence in the 1st person, declarative sentence in the 3rd person and a noun phrase.
The study categorizes directive expressions into sentence structures enabling one to comprehend the degree of burden one may feel through each sentence’s forcibleness or immediacy and in turn observes how they are reinterpreted during Korean or Japanese translation. For the sake of this study, a driver’s handbook in Washington State which has been translated into 7 different languages has been investigated and analyzed. Among the 7 languages mentioned are Korean, Chinese, Japanese and English.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Japanese was translated into declarative sentence in the 3rd person most frequently whereas Korean was translated in the form of an imperative sentence the most. This means that for the most part Japanese was translated in the form of an indirect directive expression, and Korean was the opposite by being translated more directly. The bigges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form of a directive that had the most examples. For declarative sentences in the 1st person and noun phrases it was hard to get accurate results because such examples were not common, but as a whole, Japanese translation tried to avoid directive expressions that are too forceful and use indirect directives so that the listener does not feel too overwhelmed.
On the other hand, Korean is too geared towards conveying the expression exactly the way it was meant to be conveyed, so it actually brings more hardship for the listener than Japanese. In other words, Japanese directive expressions are catered toward the listener, but the Korean counterpart is centered towards the speaker. Therefore, you will realize that even though it may encompass identical intent and wishes, the approach is in stark contrast to each other when the directive is being expressed in two different languages. You can infer that based on whether you have a point view of the speaker or the listener can render the same expression in a very different context.
This study shows the caveat for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learners when applying directive expressions in each language. As long as you take these stark differences into account, it will facilitate communicating more smoothly and effectively. Directive expressions also include the act of demanding and requesting as well prohibiting or regulating an action that are unrelated to the benefit of the receiver for it is speaker-oriented, along with warnings, advices, suggestions or guidelines, giving permission and consent that has a direct correlation to the benefit of the receiver as it is centered around the listener.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