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관용표현 연구 : 주제 및 기능과의 연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가 학습해야 할 관용표현을 선정하여 주제기능과 연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관용표현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지만 어떤 관용표현을 어느 단계...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가 학습해야 할 관용표현을 선정하여 주제기능과 연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관용표현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지만 어떤 관용표현을 어느 단계에서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대해 정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기존의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이 교육용 관용표현을 선정함에 있어 현재 대학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바탕으로 관용표현을 추출하고 그것을 다시 목록화하여 등급별로 재배치하였다. 그러나 각 기관별 교재에 수록된 관용표현이 그 수와 목록의 차이가 컸으며 학습 단계 또한 다르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에서 논의를 시작하게 되었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방법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관용표현의 개념과 범주에 대해 살펴보았다. 학자마다 사용되는 용어도 다르고 그 개념도 차이를 두고 있어 본고는 기존 학자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관용표현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였다. 또한 관용표현과 경계가 모호한 선에 있는 것들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본고가 설정한 관용표현에 대한 범주를 밝혔다.
3장에서는 실제 한국인이 자주 사용하는 관용표현을 파악하는 것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는 판단 하에 국립국어원에서 구축한 <21세기 세종 계획> 구어 말뭉치 자료를 바탕으로 한 장동은(2009)와 조혜인(2011)을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표준 교육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심도 있게 이루어진 연구들 중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사전』, 『속담100, 관용어100』, 「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2단계」,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개발 1, 2단계」를 함께 살펴보았다. 이러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추출된 관용표현을 대상으로 한국인 화자를 대상으로 한 사용 빈도 조사와 구성 어휘의 난이도 및 의미의 투명도의 세 가지를 기준으로 하여 등급별 관용표현에 대해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관용표현을 교수함에 있어 본고는 주제 및 기능과의 연계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주제 및 기능과의 연계를 통한 학습은 학습자가 관용표현을 유의미하게 학습하고 적절한 상황에서 알맞은 관용표현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구어 말뭉치에서 출현한 상황과 <한국어 기초 사전>에 사용된 예시를 바탕으로 관용표현별로 주제 및 기능을 연결하였다.
5장에서는 본 연구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고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This study selects idiomatic expressions that Korean-language leaners should know and discusses how to connect the expressions to topics and functions. So many researches have dealt with the idiomatic expressions so far but, it is never considered eas...

This study selects idiomatic expressions that Korean-language leaners should know and discusses how to connect the expressions to topics and functions. So many researches have dealt with the idiomatic expressions so far but, it is never considered easy to define which of the idiomatic expressions should be acquired at which stage of language learning. In regard to other previously-conducted investigations, they basically extracted idiomatic expressions for educational use from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adopted by colleges and then, made a list of the expressions to re-divide them on a grade basis. However, the prior studies faced with huge differences in the numbers of the idiomatic expressions presented both in the textbooks of each organization and the lists drawn up by the studies themselves and plus, they found all the textbooks were working on every different stage of learning. In the end, all those differences became the foundation of a discussion of this study.
In Chapter 1, a research goal and research methods were introduced and, the study took a look into the advance researches.
Chapter 2 developed a discussion on a concept and a category of idiomatic expression that this study aimed to deal with. Since every scholar has one’s own ways to use the idiomatic expressions and to understand the concepts, this study first had to look into the previous arguments of all different scholars in order to define a concept of the idiomatic expressions. Add to that, focusing on these expressions which had always confused any relevant fields or individuals in relation to whether some particular expressions should be regarded as idiomatic expressions or not, this study re-designed a category of the idiomatic expressions.
In Chapter 3, as believing that idiomatic expressions that are frequently used by native Koreans should be these to be first investigated, the study examined discussions of JANG Dong-eun (2009) and CHO Hye-in (2011) which had been proceeded with based on this corpus of colloquial Korean words introduced in <Sejong Planning of the 21st Century> organized by The International Korean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Furthermore, in order to prepare a standard educational referenc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all these in-depth researches that had been handled by organizations of public confidence, the study conducted analyses on 『Korean Dictionary for Foreigners 』, 『Korean 100 Adages and 100 Idioms』, 「International Standar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ge 2」and「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tent Development (Stage1, 2)」. The study carried out a research targeting native Koreans to come up with these three criterions of idiomatic expressions gained from the data mentioned above, and the criterions would include use frequency, vocabulary difficulty and semantic transparency and as a next step, the study discussed the idiomatic expressions by grade.
Chapter 4 talked about ways to help teachers to properly work on topics and functions of the idiomatic expressions when the teachers try to teach the expressions. This topic-function focused learning method leads learners not only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n the idiomatic expressions only significantly but also to strengthen their abilities to use the idiomatic expression at the right time. As being aware of the value of the topic-function focused learning method, this study referred to situations and examples used in the corpus of colloquial Korean words and <Dictionary for Korean Language Beginners> and connected topics to these functions of the idiomatic expressions.
In Chapter 5, the study worked on a summary of its research findings as sharing academic significance and limits of itself.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