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최근 들어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은 많이 생겨나고 있지만, 그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이나 교재 및 학습 자료, 전문교육인력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언어...
국문초록
최근 들어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은 많이 생겨나고 있지만, 그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이나 교재 및 학습 자료, 전문교육인력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언어교육에서 많이 활용되는 매체교육에 있어서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을 위해 연구 개발된 교재나 수업자료가 많이 부족하며, 한국 대중문화 매체를 단순히 보고 듣는 것에만 그쳐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안으로서 발전시키는 전략조차도 세우지 못하고 있다.
대다수 한국어교육을 시작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동기가 단순히 학문화된 언어로서의 시작이 아니라, 생활을 위한 필요이거나, 다양한 한국문화를 접할 수 있는 문화적 이타성 및 호기심과 흥미에서 시작된다. 그 동기부여를 지속적으로 이어가며,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촉진제로서의 역할을 체계화되고 다양화된 대중매체 교육이 담당해야 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문화교육의 이러한 방향성과는 달리 기존의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육은 주로 전통문화를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다.
전통문화의 지나친 강조에 대한 자성적 목소리의 영향으로 최근에는 일상문화를 다룬 소재가 급격히 늘어났으나 이마저도 대부분 일시적인 체험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문화와 의사소통간의 상호관계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미비한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여성결혼이민자들은 문화적응을 통해 한국사회로 온전히 편입되어야 하는 대상임에도 단편적인 문화 정보 제공의 수준에 머물러 있는 현장의 문화교육은 이 문제를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으로 보인다. 이에 본고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로 하여금 그들 자신이 문화 행위의 주체가 되어 한국 사회의 문화 현상을 탐구하고, 비교와 분석을 통해 자국 문화와 한국 문화 간의 존재하는 유사점 및 차이점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접근을 시도했다.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