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보조용언은 용언 뒤에 기대어 쓰이며 상적 의미나 화자 또는 주체의 심리적 태도 등의 미세한 의미 차이를 나타낸다.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인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려면 보조용...
한국어의 보조용언은 용언 뒤에 기대어 쓰이며 상적 의미나 화자 또는 주체의 심리적 태도 등의 미세한 의미 차이를 나타낸다.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인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려면 보조용언에 대한 정확하고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그러나 중국어에서는 보조용언이라는 개념이 없어 보조용언에 대한 직관이 없는 중국인 학습자들은 보조용언에 내포되어 있는 미세한 상적 의미와 양태적 의미를 이해하고 습득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고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과 내용을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제Ⅱ장에서는 한국어 보조용언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선행연구자들이 제시한 보조용언 목록을 토대로 보조용언의 기본적인 문법적 특성을 판별기준으로 삼아 본고의 보조용언 목록을 다시 선정하였다. 각 보조용언의 의미에 따라 총 20가지로 분류하고 50개의 보조용언이 들어 있는 목록을 다시 만들었다.
제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선정한 한국어 보조용언을 의미 기능별로 제시하면서 중국어와 대응되는 표현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들이 각각 어떤 문법범주에 속하는지 살펴보고 한국어의 보조용언이 중국어와 어떤 대응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뿐만 아니라 중국어와 대응관계를 이루지 않는 보조용언의 상적 의미와 양태적 의미도 분석·고찰하였으며 한국어의 보조용언과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의 상적 대조를 통해 선행용언의 제약에 관한 차이점을 밝혔다.
제Ⅳ장에서는 두 가지 조사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보조용언의 사용양상과 습득양상을 고찰하였다. 우선 중국 현지 한국어 고급학습자와 한국에서 유학중인 한국어 고급학습자를 두 부류로 나눈 뒤 그들의 작문 자료를 대상으로 보조용언의 사용빈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가장 많이 사용하는 보조용언과 사용하지 않은 보조용언이 무엇인지 밝혔다. 또한 그 양상이 보조용언과 중국어의 대응관계에 있어서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도 밝혔다. 두 번째 조사는 보조용언의 상적 의미와 양태적 의미, 그리고 선행용언의 제약에 따라 문항을 출제하고 설문지를 만들어서 중국인 학습자들의 보조용언 습득양상을 고찰하였다.
제Ⅴ장에서는 Ⅲ장과 Ⅳ장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보조용언을 효율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교육 방안의 설계로 교육 모형을 모색하였다. 최근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학습자들의 정확성과 유창성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보조용언의 이해 능력과 사용 능력을 모두 높여야 성취할 수 있다. 분석 결과에 따라 이해 측면을 강조해야 하는 보조용언이 있고, 사용 측면을 더욱 강조해야 하는 보조용언들도 있다. 이에 본고는 이해 측면과 사용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이해 능력과 사용 능력을 함께 신장시키는 교수법을 마련하여 보조용언을 학습하는 수업 모형을 만들었다.
본고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보조용언 교육에 관한 연구로서 우선 한국어와 중국어의 보조용언 대응관계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통사적 대조와 상적 대조를 통해 그 차이점을 발견한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학습자들의 보조용언 사용 실태 조사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보조용언 사용 능력과 습득 능력을 측정한 것도 본 논문의 특색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조용언의 교육 방향을 세우고 교육 방안을 설계하였지만 거시적인 틀에 한정함으로써 각각의 개별적인 보조용언의 수업의 실제를 제시하지 못한 것은 추후 과제로 남긴다.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