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 confliction with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and May Fourth idealism, Eileen Chang’s works brought her to the attention of many Chinese critics and readers in 1943. Her fictions focused on the Chinese people and especially Chinese women’...
In the confliction with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and May Fourth idealism, Eileen Chang’s works brought her to the attention of many Chinese critics and readers in 1943. Her fictions focused on the Chinese people and especially Chinese women’s life in Shanghai and Hong Kong, the flourishing international cities where were a ‘melting pot’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 traditional and modern life, nationalities, beliefs, and the like. Although her works carefully described the real lives with their traditional relationship amongst modern Chinese people, they included the emptiness and sadness from the crossover of ambitions amongst people. Because of the focusing on the real nature of human life, her works became popular in Shanghai in 1940s and spread in Hong Kong, Taiwan, Chinese, and other countries until 2000s. These phenomenon was called as ‘Eileen Chang’s boom’.
When Eileen Chang published her fictions, major narrative of Chinese modern literature was anti-emperialism and anti-feudalism that depicted the women’s terrible life in the modernization of Chinese country. On the contrary, Eileen Chang tried to show her personal awareness and realistic feminism in her works using the narrative of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feminism and narratives in Eileen Chang’s fictions. Therefore, this study consists of four chapters. In Chapter 1, Various literary criticisms about Eileen Chang published in China, Taiwan, Korea, and Western countries are extensively reviewed and analyzed. In Chapter 2, Eileen Chang’s bibliography is deeply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motional background as a strong foundation of her works. With these background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feminism in her works are analyzed in Chapter 3. In final chapter, her narrative style is characterized in the aspect of aesthetics, popularity, and objectivity.
Although Eileen Chang admitted the difference of sexual characteristics and affirmed the female subjectivity, she directly faced the negative aspect of female nature in her works. Secondly, she broke the dichotomous thought on female image that was traditionally recognized as a holy woman vs. a fallen woman. Thirdly, she demonstrated that the status of women lost their comparability with men because the love of female character was egoistic and dependent on male character. From the experience of failing a true love with man, women showed the extremely sadistic and egoistic tendency. Eventually, she did not protect her children but revenge them for the compensation of her life. Fourth, Typical feminine image expressed in Eileen Chang’s fictions was Femme fatale. Although their characters lived in harsh living environments, they showed the strong sexuality and maintained the female individuality. As Eileen Chang emphasized the extreme discrepancy between traditional patriarchy system and modern society, her shape of Femme fatale denied the women’s obligation of mother role as a social requirement. Although ordinary women in times of crisis like a war helped their lover’s success, they turned into being normal and egoistic in a peaceful life. Thus, the shape of women repeated the tragic cycle in her works. In this aspect, Eileen Chang paid her attention to the negative tendency in female nature. She emphasized the social discrepancy in Chinese modernity by liberating the traditionally pent-up female sexuality.
In the Eileen Chang’s narrative characteristics, both the uneven and randomized time contrast emphasized the real Shanghai's environments so that they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aesthetic value in her works. As she considered the Shanghai people(上海人) as her major readers, the Shanghai unique style to tell the story with objectivity endowed the popularity, especially the third dimension mixed with first-person intimacy. In her later works, her narrative was changed into autobiographical. Compared with her early works, the uneven overlayer of background and the intermingle of time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her late works. In the results of switching the narration, the stream of consciousness of the whole story was diverse enough to dismantle the heterosexual and parental love. In this sense, the general impression on her early works was grotesque and disorder, while the peaceful and natural narrative was prominent in her later works.
장아이링張愛玲은 현대 중국인의 고독한 삶을 반영하는 독특한 소설을 창작하였다. 장아이링의 소설은 대체로 1940년대 중/서, 고/금이 착종하는 상하이와 홍콩 등의 국제적인 대도시를 배경...
장아이링張愛玲은 현대 중국인의 고독한 삶을 반영하는 독특한 소설을 창작하였다. 장아이링의 소설은 대체로 1940년대 중/서, 고/금이 착종하는 상하이와 홍콩 등의 국제적인 대도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장아이링이 그린 소설 세계에는 세계적인 현대성과 전통적인 인간관계에서 전개되는 일상생활의 물질적인 디테일이 풍성하다. 하지만 이러한 일상생활의 사소함 너머에는 여성 인물을 위주로 하는 인생의 공허와 삶의 비애가 애잔히 담겨있다. 장아이링은 소설을 통해 인간의 이기심, 사랑, 고독 등 인간의 실존 문제를 탐구하였다. 이런 연고로 장아이링의 소설은 1940년대 상하이, 1960년대 홍콩과 1970년대 타이완, 1990년대 중국 대륙, 2000년대 중화권을 넘어선 ‘장아이링 붐’을 일으키며 시대를 초월한 공감을 얻고 있다.
중국의 현대소설은 ‘국가현대화’를 위한 도구가 되면서 소설 본연의 가치를 상실하였다. 중국현대소설의 주류는 ‘반反제국주의·반反봉건’을 표방하며 대체로 국가의 곤경 상황을 여성의 비참한 처지와 연관 짓곤 하였다. 이러한 시류와 달리 장아이링은 개인적인 자각을 바탕으로 현실적인 여성의식에 대해 고민하였다. 이러한 장아이링의 고민은 전통소설을 차용한 소설의 내러티브를 통해 완성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아이링의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식과 내러티브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의 중요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질문이 제기 되었다: 첫째, 장아이링의 여성의식에 관하여 ‘장아이링의 여성관은 어떠한가?, 장아이링의 소설에서 여성 인물의 주체성은 어떤 양상으로 재현되는가?’, ‘장아이링이 그린 여성들의 여성성은 어떻게 규정되는가?’, ‘장아이링이 추구한 여성성은 과연 무엇인가?’, ‘이러한 여성성은 국가주의와 어떤 연관성을 맺는가?’, ‘장아이링의 여성들은 현실에서 어떤 양상으로 ‘사랑――이성애/모성애――’을 구현하는가?’, ‘이러한 사랑의 양상은 장아이링의 여성의식을 어떻게 체현하는가?’ 등의 문제가 제기된다. 둘째, 장아이링 소설에 나타난 내러티브의 특성에 대하여 ‘장아이링의 소설은 왜 전통으로 회귀하였는가?’, ‘장아이링의 작가의식은 어떠하였는가?’, ‘장아이링의 독자인 ‘상하이 사람들’이 원하는 소설의 내러티브는 무엇이었는가?’, ‘장아이링의 소설은 전통소설과 어떻게 차별되는가?’ 등의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논문은 네 개의 장을 제시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을 제시하고 국어(한국어) 논문과 중어(중국어) 논문 그리고 영어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대상과 방법을 밝혔다.
제2장에서는 장아이링이 여성의식을 형성하고 소설 내러티브를 구축하는데 배경이 되었던 장아이링의 삶을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장아이링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식을 구체적으로 탐구하였다. 첫째, 장아이링은 남녀의 성별 특징을 ‘인정’한 바탕에서 여성의 주체성을 긍정하였다. 소설에서 여성 인물은 대체로 주체적인 발언을 하고 있으며 상당히 자각적이다. 그러나 장아이링은 여성이 비극적인 삶을 살아가는 까닭을 전적으로 가부장제라는 외부적인 요소의 탓만으로 돌리지 않았다. 이보다 근본적인 원인으로 장아이링은 여성 인성의 저변에 자리 잡고 있는 뿌리 깊은 의존성과 통제하기 어려운 정욕 등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둘째, 장아이링은 가부장 사회에서 ‘성녀聖女/탕녀蕩女’로 이분화한 여성성을 해체하였다. 이로써 장아이링은 전통 사회가 억압한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자유롭게 해방시켰다. 셋째, 장아이링 소설에서 여성은 인간이 지닌 이기심을 바탕으로 사랑을 구현하였다. 이성애에서 여성은 대체로 남성에게 의존함으로써 ‘여성’으로서 남성과 건강하게 양립하는데 실패한다. 이성애에서 실패한 여성은 대개 인성이 왜곡된 결과 어머니가 되어서는 가학적이고도 이기적인 모성애를 보이게 된다. 결국 여성이 봉착한 성별 문제의 관건은 여성이 남성과의 관계에서 ‘여성’으로서 건강하게 양립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아이링은 새로운 여성성으로써 팜므파탈femme fatale 형상을 부각시켰다. 장아이링은 이들을 통해 여성의 생명력을 도드라지게 했으며, 가부장 사회가 지닌 불합리한 사회모순을 극명하게 드러냈다. 이들 장아이링의 팜므파탈은 강한 섹슈얼리티를 지니고 ‘여성’으로서 생명력 있게 살아간다. 이들은 국가를 위해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위하여 삶을 영위한다. 장아이링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여성의 형상은 말세에도 굴하지 않고 자주적으로 살아가는 팜므파탈이다. 결과적으로 장아이링은 여성이 주인공이 되어 여성의 삶을 살아가는 여성의 이야기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장아이링은 여권주의의 입장이 아니며 여성중심의 관점에서 여성을 관조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장아이링 소설에 나타나는 내러티브의 특징을 규명하였다. 첫째, 장아이링은 강한 작가의식을 바탕으로 ‘상하이 사람들’을 자신의 독자로 규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장아이링은 ‘상하이 사람들’이 애호하는 소설의 내러티브를 구축하였다. 장아이링 소설의 내러티브의 특징은 중국의 전통소설을 현대적으로 변용하는 것이었다. 장아이링은 독자에게 적합한 소설의 내러티브를 구축함으로써 소설의 대중성을 담보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장아이링이 구축한 소설의 내러티브상의 특징을 전통소설인 『홍루몽紅樓夢』과 비교하여 시점과 대조법 그리고 이미저리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첫째, 장아이링의 소설은 제3인칭 시점과 제1인칭의 친밀성을 적절히 융합함으로써 인물만의 고유한 인간성을 사실적으로 구현하였다. 둘째, 장아이링의 소설은 장아이링이 독특하게 구축한 대조법인 ‘참치參差 대조’를 사용하여 예술성을 확보하였다. 특히 시공時空의 구축에 쓰인 참치 대조는 여성 인물의 ‘현실’ 상황을 부각시킴으로써 이들의 현실적인 자각을 전달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장아이링의 소설은 다양한 이미저리를 통해 소설이 과도하게 감상주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로써 장아이링의 이미저리는 시점과 더불어 소설의 보편타당성을 구축하는 핵심 요소가 되었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