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속담 교재 개발 연구 : 한국어능력시험 문항 분석을 바탕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의 목적은 한국학습자가 한국 속담을 잘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국어 속담 교재 개발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어 속담 교재 개발 방안은 한국어 교재에 제시...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 속담을 잘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국어 속담 교재 개발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어 속담 교재 개발 방안은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속담과 한국어능력시험에 출제된 속담을 바탕으로 한다.
본 논문은 다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관련이 있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는 주로 속담의 선정 기준과 외국어교육에서 속담을 활용한 교육의 필요성과 문화 교육에 대한 중요성, 한국어 속담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등 세 부분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제2장에서는 속담 교육의 현황을 제시하였다. 현재 한국어 교육 기관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서 제시된 속담을 분석하였다. 여기에서는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에서 출판된 통합교재와 계명대학교에서 출판된 <살아있는 한국어 - 속담편> 교재를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속담 교재를 구성하기 위하여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설문조사는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능력시험에 출제 속담에 대한 인지도, 중급 단계 학습자의 속담에 대한 인지도, 고급 단계 학습자의 속담에 대한 인지도 등으로 내용을 구성하고 진행하여 결과를 밝혔다.
제4장에서는 2장과 3장에서 연구된 내용을 바탕으로 속담 교재 개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장에서는 속담 교재 개발 방향, 교재 교수 요목과 교재 단원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재는 난이도에 따라 중급 단계 학습자를 위한 1단계 교재와 고급 학습자를 위한 2단계 교재로 나누어서 각각 30개의 속담 항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어 교육에서 속담 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재를 통해서 학습자들이 속담에 대한 이해와 한국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아가 한국어능력시험 성적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evelopment plan for Korean Proverb Textbooks so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can fully understand and be able to use Korean proverbs well. This development plan for Korean Proverb Textbooks is based on prover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evelopment plan for Korean Proverb Textbooks so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can fully understand and be able to use Korean proverbs well. This development plan for Korean Proverb Textbooks is based on proverbs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and the ones already appeared in test questions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This study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Chapter one demonstrat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explores related preceding studies. Preceding studies are reviewed by dividing into three major parts of 1) standards for selection of proverbs, 2) educational necessity to use proverb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and 3) research on educational methods for Korean proverbs.
Chapter two presents current status of proverb education. It analyzes proverbs appearing in such textbook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he Korean language as integrated textbooks publish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Kyunghee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and the textbook <Living Korean language - Proverbs> published by Keimyung University.
Chapter three deals with the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on Korean language learners to design contents of proverb textbooks. This survey questionnaire is comprised of 1) Korean language learners’ degree of recognition on the proverbs already appeared in the test questions of the TOPIK, 2) intermediate-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degree of recognition on the proverbs and 3) advanced-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degree of recognition on the proverbs.
Chapter four discusses development plan for proverb textbooks on the basis of the study in Chapter two and three. Development direction for proverb textbooks, syllabus of the textbook and composition plan for units of the textbook are presented. Textbooks are divided by the level of difficulty into 1s tstage textbook for intermediate-level learners and 2nd stage textbook for advanced-level learners and each stage contains 30 proverbs respectively
Through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proverb education in overall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verified. The textbooks propos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overbs and language capabilit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o helping to enhance their TOPIK score.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