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자료에 나타난 통사적 특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급에서 고급에 이르기까지 문장을 기준으로 하여 형태적인 결합에 관...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자료에 나타난 통사적 특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급에서 고급에 이르기까지 문장을 기준으로 하여 형태적인 결합에 관련된 평균 발화 길이(Mean Length of Utterance: MLU)와 문장의 구조적 복잡성에 관련된 난도(Depth Hypothesis: DH)를 통해 분석하여 실질적이고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평균 발화 길이와 난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어떤 양상이 나타나는지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학습자 언어의 통사적 발달 특성을 단계별로 살펴, 학습자 언어를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설계하거나 교재를 개발하고, 평가체제를 구성하는 데 활용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급, 중급, 고급학습자의 작문 자료와 그 비교 대상으로 한국어능력시험(TOPIK) 쓰기 모범답안을 함께 분석하였다. 한국어능력시험은 한국어 능력 발달의 척도일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가 되므로, 학습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평균 발화 길이를 분석한 결과 한국어 학습자의 평균 어절 수, 평균 낱말 수, 평균 형태소 수가 TOPIK 쓰기 모범답안보다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지만 단계가 올라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난도를 분석한 결과 역시 한국어 학습자의 난도값이 TOPIK 쓰기 모범답안보다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지만 단계가 올라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긴 문장을 생성하기 위해 단어와 문법형태소를 더 많이 사용하고, 간단한 문장보다는 수식 구조가 복잡한 문장을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어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단순히 문장의 길이만 길어지는 것이 아니라 문장의 구조 또한 복잡해지는 것으로 인해 평균 발화 길이와 난도는 서로 상관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한국어 학습자의 통사적 발달의 기초 자료가 되고,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이나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쓰기 평가체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yntactic characteristics shown in Chinese Korean learners’ writing. This investigates it practically as well as concretely by analyzing the sentences written by beginners to advanced learners in term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yntactic characteristics shown in Chinese Korean learners’ writing. This investigates it practically as well as concretely by analyzing the sentences written by beginners to advanced learners in terms of the MLU(Mean Length of Utterance) associated with morphological combination and also the DH(Depth Hypothesis) related with the structural complexity of sentences. Also, with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LU and the DH,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aspects of it as well. This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learner language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its syntactic development step by step and also will be used in designing the curriculum for Korean education, developing textbooks, or devising an evaluation system.
This study analyzes materials written by learners in the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and also the writing answer samples of the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s objects for comparison. TOPIK is not just a scal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proficiency but also a goal that the learners intend to achieve, so we can figure out a learner’s relative position with i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MLU, the Korean learners’ mean number of phrases, mean number of words, and mean number of morpheme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TOPIK writing answer samples in general. However, as the level was higher, they also became high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H, too, the Korean learners’ DH was lower than that of the TOPIK writing answer samples in general. However, as the level was higher, they also became higher. This implies that as Korean learners’ Korean mastery gets higher, they tend to use words or grammatical morpheme more in order to produce longer sentences and also write sentences with a structure of complex modification more often than just simple sentences. From the fact that as their Korean mastery becomes higher, they not just use longer sentences but employ complex structures. Thus, we can see that there exists correlation between the MLU and DH.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the syntactic development of Korean learners and will be also utilized to aid the actual field of Korean education and develop concrete as well as systematic writing evaluation systems.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