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원어민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 개발 연구: 태국인 교사를 중심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해외 한국어 학습자의 양적 성장은 지속과 함께 대두되고 있는 자질 있는 비원어민 한국어교사의 ...
비원어민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 개발 연구: 태국인 교사를 중심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해외 한국어 학습자의 양적 성장은 지속과 함께 대두되고 있는 자질 있는 비원어민 한국어교사의 공급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 제시를 위한 비원어민 한국어교사 양성과정 개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1장에서는 국내의 비원어민 한국어교사와 관련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국내에서 비원어민 한국어교사 양성과 관련한 연구가 거의 전무하며, 용어 사용에 있어도 개념이 정리되어 있지 않음을 지적하였다.
2장에서는 1장의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용어 개념 정리와 국내의 타 언어권 비원어민 자국어 교사 양성과정의 실태를 검토하였다. ‘한국어 비원어민’을 ‘한국어를 어린 시절부터 한국어가 쓰이는 환경 속에서 자연스럽게 습득하지 않았고, 언어 구사의 유창한 정도에 대한 원어민 화자들의 평가에서 비원어민이라 판단・정의 내려지며, 한국어의 문법과 사회언어학 측면 모두에 직관이 없는 자’로 규정하고 ‘교사 양성교육’은 ‘교사로서의 기본적인 자질을 갖추도록 하는 예비교사 직전교육’이라 정리하였다.
국내의 타 언어권 비원어민 자국어 교사 양성과정을 검토를 통해 국가가 마련한 자국어 교사 기준을 바탕으로, 이론과 실제가 조화롭게 구성되며, 문화 교육이 포함된 양성과정의 교과과정을 마련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3장에서는 대상 국가를 태국으로 한정하여 비원어민 한국어교사 양성과정과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 조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태국인 한국어교사 양성과정 설계 시, 한국어 능력 향상과 한국어교수능력의 체득을 위한 실습 과목 강화에 대한 요구가 강함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양성과정 대상자, 교육과정 목표, 교육 내용과 교육 시수, 교육 기관은 공통적 고려사항으로 두고 태국의 이해관계자 요구를 반영한 태국인 한국어교사 양성과정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실습 과목에 대한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 수업 시수와 과목을 대폭 확충과 한국인 한국어교사와의 공동 교육을 특별 프로그램에 포함하였다. 또한 해당 교육 기관의 장점을 살린 멘토링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한국어교사 간 네트워크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5장에서는 본고의 내용을 정리하고 연구의 한계점을 밝히며 후행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비원어민과 양성과정의 개념 정립과 타 언어권의 교육과정 검토, 실제적인 이해관계자들의 요구 분석을 반영하여 이제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은 비원어민 한국어교사 양성과정의 체계적인 설계와 개발을 위해 노력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다양한 국가의 상황을 반영한 심화된 비원어민 한국어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