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듣기 과제 분석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communicative abiliti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occupational purpose, and for that cause I am going to present the solutions of the problems in Korean language listening textbooks for vocational purpose and to sugg...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communicative abiliti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occupational purpose, and for that cause I am going to present the solutions of the problems in Korean language listening textbooks for vocational purpose and to suggest the considerations for developing those textbooks through critical analysis in listening tasks written in Korean language listening textbooks for occupational purpose.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occupational purpose, unlikely ordinary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placed in distinctive workplace and called for good command of Korean language.
Listening in workplace involves long monologues rather than dialogues, and requires more meaningful communication skills with colleagues, such as business, trade, negotiation, decision-making, education and instruction, etc.
In addition, if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working members is necessary for satisfying performance in workplace, and if not, it can lead to serious result.
In consequence, it means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occupational purpose must be equipped with listening abilities as well as speaking abilities in Korean. That is, it implies that listening education should not be neglected on the part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occupational purpose.
Since the 1990s, as task-based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s began to be appli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In addition, more researches for listening in Korean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forms. At the same time, we face the increasing need to develop listening task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ccupational purposes, and prior learning of listening in that language is called for.
Yet there are a lot short of analysis and researches in listening tasks in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se respects as stated above, this study has critically analyzed listening task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ccupational purposes, and examined whether those listening tasks were designed in compliance with the purposes of advancing listening abilities of job-seeking Korean language learners.
Although listening tasks should involve what can be used to assess how effectively syllabus contents are conveyed to learners, they had the limits that they were not connected between themselves and the types of them were not various, as was pointed out in the previous studies (Kim Su-mi and others, 2008; Cho Wi-su, 2008; Lee Jun-ho, 2011).
Considering the findings from the research above, this study continued to find out suggestions both on the solutions of the problems in Korean language listening textbooks for vocational purpose and on developing listening tasks.
In Chapter I, the purposes and necessities of analysing listening task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ccupational purposes were presented, and, through examining the previous studies, determined in what stage listening tasks of those textbooks are.
In Chapter Ⅱ, this study aimed at defining the concepts and theoretic foundations of listening, and reviewing on listening tasks to job-seeking Korean language learners. Through the study, the theoretical basis on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listening textbooks for occupational purposes was founded.
In Chapter Ⅲ,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ccupational purposes were selected depending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s in Chapter Ⅱ, and, after examining and determining on the analysis criteria in listening tasks, analysed listening tasks already designated for this study.
In Chapter Ⅳ, the results from the above analysis of Chapter IV were arranged and explained by the elements of listening tasks such as objectives, inputs, and activities. Besides, 7 suggestions from analyzed listening textbooks were presented for discussion about developing listening tasks.
Finally, in Chapter Ⅴ, this study reviewed many opinions discussed until now, commented on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this study, and finally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listening tasks for occupational purposes.

연구는 직업 목적 한국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하여 직업 목적 한국교재에 수록된 듣기 과제의 비판적 분석을 통하여 직업 목적 한국어 듣기 과제의 개선점을 찾고 듣기 ...

연구는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하여 직업 목적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듣기 과제의 비판적 분석을 통하여 직업 목적 한국어 듣기 과제의 개선점을 찾고 듣기 과제 개발에 고려할 점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는 일반 한국어 학습자와는 다르게 직장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처해 있으며 능통한 한국어 구사 능력이 요구된다. 직장에서의 듣기는 대화형식보다는 긴 독백형식이 많고 업무에는 거래, 교섭, 의사결정, 교육과 지시 등 직장 동료와 유의미한 의사소통에 더 많은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직장 내에서 업무 수행을 위해서는 직장 구성원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며 그렇지 않을 경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것으로 볼 때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는 한국어 구사 능력뿐만 아니라 정확한 듣기 능력이 동시에 요구될 것이다. 즉 이것은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듣기가 소홀히 될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1990년대 이후 과제 중심 교수법이 한국어 교육에 적용되어 교재와 교수법에 큰 변화가 있었다. 아울러 한국어 듣기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고 다양하게 진행되었고 한국어 듣기 학습의 선행 및 듣기 과제 개발의 필요성도 점점 커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듣기 과제에 대한 분석 및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업 목적 한국어 교재 내의 듣기 과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게 하는 목적에 부합하도록 듣기 과제가 설계되고 제시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듣기 과제에는 학습자들에게 내용이 제대로 전달되었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다양한 구성이 필요하다. 하지만 선행연구(김수미 외, 2008; 조위수, 2008; 이준호, 2011)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듣기 과제의 유형이 다양하지 못하고 연계되지 못한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업 목적 한국어 듣기 과제의 개선점을 찾고 듣기 과제 개발에 대한 제언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I장에서는 직업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듣기 과제 분석 목적과 필요성을 밝힌 후 현재 직업 목적 한국어 교재의 듣기 과제가 어느 지점에 머물러 있는지 선행 연구를 통해 파악하였다.
이어 II장에서는 듣기의 개념 및 이론적 기초와 듣기 과제와 직업 목적 학습자를 위한 듣기 과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과제의 개념과 구성 요소를 살펴본 연구에서 목표로 하는 직업 목적 한국어 듣기 과제 분석의 이론적 근거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III장에서는 II장에서 듣기 과제 분석 이론적 기반에 따라 직업 목적 한국어 교재를 선정하고 듣기 과제의 분석 기준을 고찰하여 듣기 과제의 분석 기준을 선정하고 제시된 분석기준으로 분석 대상 교재의 듣기 과제를 분석하였다.
IV장에서는 제시된 분석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를 과제의 구성 요소인 목표, 입력, 활동으로 정리하였다. 분석 교재의 결과에서 도출된 듣기 과제의 시사점을 7가지로 기술하여 듣기 과제 개발을 위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V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 그리고 앞으로의 직업 목적 한국어 듣기 과제의 나아갈 바를 제언하였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